『한어형태론(···法·)』은 제목 그대로 한어의 형태론에 관한 책이다. 그런데, 고립어인 중국어(본 서문의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이하 ‘한어’라는 명칭을 사용함)에 형태 변화가 있나· 형태론이 있나· 일반적으로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경우는 대부분 ‘없다’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언어를 다루는 사람들조차 중국어는 통사론 중심의 언어이며 형태론은 허사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고 여기는 이들이 많다. 본서에서 저자는 이런 의견의 맞은편에 서서 한어는 인도·유럽어처럼 형태 변화가 풍부한 언어는 아니지만 한어 단어는 한어 나름의 구조 방식과 형태 특징이 있으며 기능적으로도 구분이 된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나아가 한어 단어의 형태론적 특성을 기능주의에 입각한 관점에서 풍부한 예문과 함께 체계적으로 밝혀 기술하고 있다. 원서 『한어형태론』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앞부분에서는 한어 형태론과 품사 분류를 다루고 있고, 뒷부분에서는 한어 형태론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개별적이고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Contents
제1편 한어 형태론의 제방면
1. 어법에서 형태론의 위치 27
1.1 어법:형태론(?法)과 통사론(句法) 27
1.2 형태론 연구의 중요성 29
1.3 한어 형태론 연구의 심화 31
2. 형태소(?素)와 단어(?) 33
2.1 형태소 33
2.2 단어 39
3. 한어의 단어구성법(??法) 49
3.1 단어구성법(??法)과 단어조성법(造?法) 49
3.2 한어 단어구성법의 기본 유형 51
3.3 어근(?根)과 접사(??) 52
3.4 복합어(?合?) 61
3.5 한어 형태 구조의 특징 연구 74
4. 한어의 형태변화법(?形法) 76
4.1 한어 형태변화법의 기본 유형 76
4.2 접사 부가법(加?法) 77
4.3 중첩법(重?法) 89
4.4 한어 형태변화법 특징에 대한 토론 98
5. 품사:한어 형태론의 핵심 105
5.1 형태론에서 품사의 위치 105
5.2 품사는 한어 형태론의 주된 내용이다 106
제2편 한어 단어의 기능적 분류
1. 품사에 대한 인식 111
1.1 품사는 오래되었으면서도 항상 새로운 과제이다 111
1.2 품사와 형태류(形?) 112
1.3 한어 품사 문제에 대한 공통된 인식 113
2. 기능 품사설:이론과 방법 119
2.1 기능 품사설의 이론적 토대 119
2.2 기능 품사설의 기본 관점 121
2.3 품사 분류의 기본 방법 132
3. 한어의 품사 체계 135
3.1 한어 품사의 층차 135
3.2 한어 품사분류표 138
4. 체언(??)과 점별사(点??) 139
4.1 명사(名?) 139
4.2 대명사(代?) 143
4.3 시간사(???) 144
4.4 처소사(?所?) 146
4.5 수사(??) 148
4.6 지시사(指?) 150
4.7 구별사(???) 151
5. 용언(用?)과 부사(副?) 156
5.1 동사(??) 156
5.2 형용사(形容?) 165
5.3 형사(衡?) 169
5.4 단사(??) 171
5.5 부사(副?) 174
6. 허사(??), 감탄사(感?), 의성사(象??) 178
6.1 방위사(方位?) 178
6.2 개사(介?) 180
6.3 연사(??) 181
6.4 조사(助?) 183
6.5 양사(量?) 186
6.6 어기사(???) 192
6.7 감탄사(感?) 196
6.8 의성사(象??) 197
7. 한어 품사의 착종 198
7.1 단어 분류 및 귀속 198
7.2 품사의 착종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