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언어학은 하나의 종합적인 과학이며 언어의 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일반 이론이며 또한 방법론이고 원칙이라 할 수 있다. 이론은 실질적인 연구를 거쳐 정리해 놓은 것이기에 기존 학자들이 내놓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구체적인 사실에 입각하여 분석과 연구를 거쳐 그것을 잘 소화하고 파악하고, 한층 더 향상시키고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책은 전대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는 한편, 중국어의 방언에 대한 조사 연구자료도 많이 수록하였다.
Contents
1. 서론 1
1.1 대상과 임무 1
1.2 죽은 자료와 살아있는 자료 4
1.3 이론과 방법 7
2. 언어의 분류 12
2.1 분류의 기준 12
2.2 언어의 계통(발생)적 분류 13
2.3 언어의 유형적 분류 18
2.4 언어의 지리적 분류 29
2.5 언어의 유형적 분류, 지리적 분류가 계통적 분류에 미치는 영향 32
3. 어족 34
3.1 언어의 친족관계에 대한 가설 34
3.2 형태변화, 어음대응 및 언어 친족관계의 결정 37
3.3 서면재료의 운용과 친족관계의 고찰 41
3.4 언어의 분화와 어족의 형성 49
4. 중국-티베트어족 53
4.1 중국-티베트어족의 가설과 그 주변언어 53
4.2 중국-티베트어족 언어의 두 가지 계통 분류 58
4.3 대립적인 분류원칙 67
4.4 감-타이?台, 먀오-야오苗瑤 두 어족 계통관계의 새로운 증명 78
5. 역사적 비교방법(상): 객관적 근거와 재구 단계 87
5.1 역사적 비교방법 및 그 객관적 기초 87
5.2 자료의 수집과 선택 91
5.3 동원성분의 결정 93
5.4 연대순서의 결정 99
5.5 원시형식의 재구 109
5.6 祖語 118
5.7 역사적 비교방법의 성과와 한계 121
6. 역사적 비교방법(중): 규칙과 예외 125
6.1 어음의 대응 규칙과 변천 규칙 125
6.2 그림(Grimm)의 법칙과 역사적 비교방법의 원형 127
6.3 그림의 법칙의 세 가지 예외의 해석과 역사적 비교방법의 개선 132
6.4 “음변화 규칙에는 예외가 없다”와 청년어법학파의 음변화 이론 137
6.5 예외 146
7. 역사적 비교방법(하): 공간과 시간 152
7.1 시공간 결합의 원칙과 문헌자료의 운용 152
7.2 중국어 음운 연구에서 시간과 공간의 운용 158
7.3 자료의 부족이 언어사의 연구에 미치는 영향 164
7.4 ≪切韻≫의 성질에 대한 인식과 중국어사 연구의 이론적인 틀 170
7.5 ≪切韻≫과 방언의 연구 178
8. 구조분석법(상): 구조와 음변화 188
8.1 언어체계 학설과 음변화 이론의 발전 188
8.2 음체계의 구조 192
8.3 쌍향대립과 음운변화의 체계성 195
8.4 단향대립과 음운변천의 특수성 199
8.5 발음기관의 발음능력 불평형과 음체계 중의 비대칭구조 210
8.6 대립의 중화 216
10. 구조분석법(하): 내적 재구 244
10.1 소쉬르의 원시 인구어 후두음의 재구와 내적 재구의 방법의 원형에 관하여 244
10.2 공란 248
10.3 불규칙적인 형태 교체와 내적 재구 253
10.4 내적 재구의 방법의 성과와 한계 259
11. 언어의 확산(상): 지역 확산과 방언지리학 264
11.1 언어의 확산과 파동설 264
11.2 방언지리학의 흥기와 음변화 규칙설에 대한 충격 272
11.3 등어선과 방언 구역의 구분 279
11.4 “모든 어휘에는 자체의 역사가 있다” 285
12. 언어의 확산(하): 어휘확산 300
12.1 변형생성학파 이론의 약점과 어휘확산 이론의 탄생 300
12.2 어휘확산 이론의 기본 특징 303
12.3 어휘에서의 음변화의 확산과 산발적 음변화 307
12.4 산발적 음변화에서의 시간 층위와 그것의 변천 규칙 312
12.5 중단된 변화와 어음체계 중의 불규칙 현상 320
12.6 역사상 이미 완성된 음변화 확산의 해석 325
13. 언어의 변이(상): ‘질서 있는 이질성’ 이론과 언어사 연구의 새 영역 329
13.1 언어 변이와 ‘질서 있는 이질성’ 이론 329
13.2 언어 변이의 연구와 음변화 이론의 새로운 진전 339
13.3 현재의 변이를 이용하여 과거의 변천을 해석한다 342
13.4 규칙과 불규칙의 상호 전환과 변이 이론의 발전 349
14. 언어의 변이(중): 변이의 규칙과 어음체계의 조정 353
14.1 어음체계에서의 변이층과 변이층의 구조 353
14.2 음소의 점진적 변이와 계열적 음변화 358
14.3 단어에서 음류의 교체와 산발적 음변화 366
14.4 변이와 어음체계 구조 틀의 조정 377
14.5 어음체계 내부의 변이와 언어의 공간적 차이간의 내재적 연계 388
15. 언어의 변이(하): 어법의 침투와 예외적 음변화 393
15.1 어음 변화 중의 어법 요소 393
15.2 특수한 예외와 그것의 원시 형식의 추측 397
15.3 원시형식의 성질의 확정 403
15.4 어법 수단의 약화와 잔존 형식의 출현 410
17. 文白異讀(하): 중첩식 변이와 역사적 비교방법 457
17.1 文白異讀과 역사언어학 중 두 가지 대립적 이론 모델의 결합 457
17.2 중첩의 층위와 역사적 비교연구 465
17.3 구조패턴의 비교와 방언 사이 친소관계의 확정 473
17.4 文白異讀과 원시형식의 재구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