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치의(緇衣)」편은 주로 군자의 행동거지, 신하의 자세, 군주의 덕목 등을 기록하고 있다. 공자의 말을 기록하고 각종 인용문을 제시하여 결론을 맺고 있다는 측면에서, 「표기(表記)」 및 「방기(坊記)」편과 기술형식이 일치한다. 또 『논어』의 기술형식과 비교해보면, 「치의」편은 문장이 길고 그 내용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논어』가 주로 공자의 단편적인 말만을 제시한 것에 비해, 「치의」편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인용문들이 등장한다. 『논어』에서 거론하고 있는 경전은 주로 『시』인데 반해, 「치의」편은 『시』 외에도 『서』와 『역』의 기록을 상당수 인용하고 있다. 이것은 전국시대를 거치며 노나라에 남아있던 공자학단에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기 위해 공자의 말로 가탁하고, 당시 지식인들이 공유했던 『시』·『서』·『역』 등의 문헌을 그 증거로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치의」편은 공자사후 유가사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