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집설대전 방기

$29.16
SKU
97889607156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2/2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60715677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방기]편의 주된 내용은 예(禮)라는 것은 잘못이 발생하기 이전에 불미스러운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백성들을 교화한다는 것이다. 또 [방기]편의 큰 특징은 인간의 본성을 본래부터 선한 것으로 상정하기보다는 이기적이며 불선하다고 여긴다. 즉 선왕이 오래전에 올바른 제도를 만들어 두었지만, 인간은 그 제도를 뛰어넘고자 하기 때문에, 군주는 끊임없이 제방을 보수하듯 정교(政敎)를 펼쳐서 잘못된 길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순자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맹(孔孟) 중심의 유가사상과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만, 전한(前漢)시기 유가가 관학(官學)이 된 후 통치사상으로 활용됨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순자사상이었으며, 순자계열에서 발달한 예치사상이다. 따라서 이 문헌은 유가의 정치사상에 나타났던 다양한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
Contents
역자서문 _ v
일러두기 _ vii

제1절 군자의 도(道)와 방(坊) 24
제2절 예(禮)와 약(約).교(驕).겸(慊) 34
제3절 규제와 반(畔) 47
제5절 예(禮)와 의(疑).미(微) 85
제5절 별(別)과 무혐(無嫌) 89
제6절 군자의 사양(辭讓) 101
제7절 이록(利祿)과 사(死).망(亡) 113
제8절 귀인(貴人)과 상기(尙技) 125
제9절 군주와 민언(民言) 129
제10절 남에게 돌리고 자신을 탓하는 일 138
제11절 부모에 대한 효 166
제12절 효(孝)와 목(睦) 189
제13절 효(孝)와 경(敬) 193
제14절 효(孝)와 자(慈) 200
제15절 군주와 효 203
제16절 경(敬)과 예(禮) 206
제17절 제례(祭禮)와 교화 223
제18절 빈례(賓禮).상례(喪禮)와 교화 240
제19절 효제(孝弟).상례(喪禮).빈례(賓禮)와 교화 275
제20절 예(禮)와 이(利) 288
제21절 이(利)와 교화 303
제22절 예(禮)와 남녀유별(男女有別) 319
Author
진호,정병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