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편의 주된 내용은 예(禮)라는 것은 잘못이 발생하기 이전에 불미스러운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백성들을 교화한다는 것이다. 또 [방기]편의 큰 특징은 인간의 본성을 본래부터 선한 것으로 상정하기보다는 이기적이며 불선하다고 여긴다. 즉 선왕이 오래전에 올바른 제도를 만들어 두었지만, 인간은 그 제도를 뛰어넘고자 하기 때문에, 군주는 끊임없이 제방을 보수하듯 정교(政敎)를 펼쳐서 잘못된 길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순자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맹(孔孟) 중심의 유가사상과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만, 전한(前漢)시기 유가가 관학(官學)이 된 후 통치사상으로 활용됨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순자사상이었으며, 순자계열에서 발달한 예치사상이다. 따라서 이 문헌은 유가의 정치사상에 나타났던 다양한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