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명심보감의 전래와 수용 연구

$31.05
SKU
978896071564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1/15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60715646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명심보감』의 유불도 사상은 중국·한국·일본 등 동양인들의 인생철학과 행동규범·정치이념에 이르기까지 윤리도덕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포교활동을 하던 서양의 선교사들에게도 주목되어 1592년 동양의 한문 서적으로는 최초로 서양어로 번역된 서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서적에서는 일본 중세에서 근세로 이어지는 사적(史的) 흐름에 따라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한 문예서적과 관련지어 조명하였다.

그 결과 일본 『명심보감』은 무로마치시대 승려, 도요 에이쵸(東陽永朝)의 『젠린쿠슈(禪林句集)』와 선교사 하비안의 『아마쿠사판 금구집(天草版金句集)』의 인용 외에, 에도시대 초기 승려출신의 저명한 유학자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슨테츠록(寸鐵錄)』과 그의 제자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도모쇼(童蒙抄)』를 비롯하여 카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 등의 승려·유학자·양명학자, 또 아사이 료이(淺井了意)·미야카와 도타츠(宮川道達)·오오타 난뽀(太田南畝)·산토 쿄덴(山東京?) 등의 문학자·국학자·신도가 등, 『명심보감』을 이해한 사람은 높은 교양을 가진 신분 층의 사람들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본 서적에서는 서장의 『명심보감』의 연구사를 비롯하여 일본 『명심보감』의 수용과 정착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 제1부에서는 중세의 승려들과 『명심보감』과의 관계규명, 제2부와 제3부에서는 『명심보감』의 일본 전래와 관련한 근세 에도시대 전기와 후기의 양상을 지식인과 그들이 출판한 문예서적과의 관련성, 제4부에서는 타 권선서, 특히 『성서』의 권선사상과 『명심보감』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곧, 본 서적에서는 일본의 주자학과 함께 무로마치시대부터 에도시대에 이르기까지 『명심보감』이 어떻게 수용되어졌는지를 시공간을 교직(交織)하면서 『명심보감』 조문을 인용한 문예서적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한국이나 중국과는 다른 독창적 수용상의 의의를 밝혔다.

오래 전부터 동양의 역사·문학·철학·종교 등의 저변에는 사람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인간존중사상이 있었다. 이 인간 존중 사상의 근본에는 자연의 섭리에 따르면 만물이 조화롭고 평화스럽지만 그 뜻을 어기고 道를 거스르면 혼란과 재난이 초래된다는 가르침이 있다. 이러한 동양문화가 지닌 내면 사상이 바로 『명심보감』의 사상이기도 하다.

『명심보감』의 소중한 가르침들은 시대를 뛰어넘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인격함양을 비롯하여 한 가정을 원만하게 이끌어 나가고, 사회에 참여하며, 국가를 다스리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명심보감』이 동아시아 가운데서도 중국에서 한국으로 다시 일본으로 전파되어 수용 정착된 양상이 기술된 본서 『일본 명심보감의 전래와 수용연구』를 통한 일본문화의 특수성 이해는 물론, 복잡다단하게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인간은 어떻게 살아가야 평화로운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 나아가 권선서인 이 책의 숙독은 몸과 마음을 닦고 뜻을 세우며 인생행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야겠다는 의지가 배양될 것이다.
Contents
서장 일본 『명심보감』의 연구목적과 개요_11
  1. 연구목적 13
  2. 연구개요 29

제1부 중세 무로마치 시대의 『명심보감』 관련서적_45
제1장 고잔(五山)승려 토요 에이쵸(東陽英朝)의 사상과『젠린쿠슈(禪林句集)』 47
  1. 들어가면서 47
  2. 일본 선불교와 『젠린쿠슈(禪林句集)』 52
  3. 『젠린쿠슈(禪林句集)』와 『명심보감』 54
  4. 나오면서 63
제2장 고잔승려 하비안의 사상과 『아마쿠사판 금구집(天草版金句集)』 66
  1. 들어가면서 66
  2. 『아마쿠사판 금구집(天草版金句集)』의 출판 배경 67
  3. 고잔 승려의 『아마쿠사판 금구집』과 『명심보감』 70
  4. 나오면서 82

제2부 근세 에도시대 전기의 『명심보감』 관련서적_85
제1장 승려출신 유학자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사상과 『슨테츠록(寸鐵錄)』 87
  1. 들어가면서 87
  2. 후지와라 세이카의 생애와 사상 92
  3. 『슨테츠록(寸鐵錄)』 속의 『명심보감』 106
  4. 나오면서 116
제2장 유학자 오제 호안(小瀨甫庵)의 사상과 『메이호칸(明意寶鑑)』 118
  1. 들어가면서 118
  2. 오제 호안의 『명심보감』 수용 선행연구 122
  3. 『메이호칸(明意寶鑑)』의 『명심보감』 인용 125
  4. 나오면서 150
제3장 오제 호안(小瀨甫庵)의 『세이요쇼(政要抄)』 152
  1. 들어가면서 152
  2. 천(天)의 관념에 관한 인용 153
  3. 정사(政事)에 관한 인용 157
  4. 인간생활의 소양(素養)에 관한 인용 160
  5. 나오면서 163
제4장 유학관료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사상과 『도모쇼(童蒙抄)』 165
  1. 들어가면서 165
  2. 『도모쇼(童蒙抄)』의 『명심보감』 인용 171
  3. 『도모쇼(童蒙抄)』 ?권선부(勸善部)?의 사상 177
  4. 『도모쇼(童蒙抄)』 ?권선부? 외의 『명심보감』 관련 내용 184
  5. 나오면서 198
제5장 유학자 노마 산치쿠(野間三竹)의 사상과 『홋케이간고(北溪含毫)』 201
  1.들어가면서 201
  2.『홋케이간고(北溪含毫)』의 서문 및 인용서적 206
  3. 『홋케이간고(北溪含毫)』의 『명심보감』 관련 내용 214
  4. 나오면서 222
제6장 불교 사상가 아사이 료이(淺井了意)의 사상과 『우키요 모노가타리(浮世物語)』 225
  1. 들어가면서 225
  2. 『우키요 모노가타리(浮世物語)』의 『명심보감』 내용 230
  3. 『우키요 모노가타리(浮世物語)』의 천(天) 사상 233
  4. 『우키요 모노가타리(浮世物語)』의 지족안분론 239
  5. 나오면서 247
제7장 아사이 료이(淺井了意)의 『칸닌키(堪忍記)』 250
  1. 들어가면서 250
  2. 『칸닌키(堪忍記)』와 『명심보감』 256
  3. 권선과 군자의 감인(堪忍) 267
  4. 자제교육과 효행 274
  5. 나오면서 283

제3부 근세 에도시대 후기의 『명심보감』 관련서적_287
제1장 박물학자 카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사상과 『명심보감』 289
  1. 들어가면서 289
  2. 카이바라 에키켄의 사상과 『명심보감』 294
  3. 카이바라 에키켄의 상벌관 296
  4. 카이바라 에키켄의 권선의 독자성 307
  5. 나오면서 316
제2장 카가번사(加賀藩士) 아사카 큐케이(淺香久敬)의 『쯔레즈레구사 쇼쇼다이세이(徒然草諸抄大成) 320
  1. 카가번의 약사(略史) 320
  2.『쯔레즈레구사 쇼쇼다이세이(徒然草諸抄大成)』의 출판배경과 구성 326
  3. 『쯔레즈레구사 쇼쇼다이세이(徒然草諸抄大成)』 속의 『명심보감』 329
  4. 나오면서 344
제3장 극작가?신도가?국학자들과 『명심보감』 346
  1. 들어가면서 346
  2. 『지가바찌 모노가타리(似我蜂物語)』의 권선과 『명심 보감』 349
  3. 『무까시바나시 이나즈마효시(昔話稻妻表紙)』의 권선과 『명심보감』 356
  4. 산토 쿄덴(山東京傳)의 『명심보감』 인용 358
  5. 나오면서 362
제4장 미야카와 도타츠(宮川道達)의 『쿤모요겐로꾸 코지(訓蒙要言錄故事)』와 『명심보감』 364
  1. 들어가면서 364
  2. 『쿤모요겐로꾸 코지(訓蒙要言錄故事)』의 편찬의도 365
  3. 『쿤모요겐로꾸 코지(訓蒙要言錄故事)』의 『명심보감』 관련 370
  4. 나오면서 383
제5장 보덕(報德)사상가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의 사상과 『명심보감』 384
  1. 들어가면서 384
  2. 에도시대 권선사상 수용의 특징 389
  3. 『명심보감』의 권선과 손토쿠의 권선 391
  4. 관념적 권선과 생산적 권선 403
  5. 나오면서 411
제6장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의 분도?추양론과 『명심보감』의 지족안분론 414
  1. 들어가면서 414
  2. 『명심보감』의 지족안분론의 특징 417
  3. 손토쿠의 분도 및 추양론의 특징 423
  4. 나오면서 431

제4부 타 권선서의 사상과 『명심보감』_433
제1장 『성서』와 『명심보감』 권선사상의 공통점 435
  1. 들어가면서 435
  2. 천 관념에 의한 권선 438
  3. 천 관념에 의한 지족안분 449
  4. 타인과의 교제 및 화합의 강조 453
  5. 나오면서 459
제2장 『성서』와 『명심보감』 권선사상의 차이점 461
  1. 들어가면서 461
  2. 효도와 가족관에 대한 견해 462
  3. 타민족과 약자에 대한 견해 474
  4. 나오면서 485

종장 일본 『명심보감』의 전래와 수용 의미_489
   1. 유학(儒學) 이념의 확대와 일상성 491
   2. 근세 일본의 윤리관 형성에 기여 493
   3. 에도시대 후기 『명심보감』 수용상의 변화 498
Author
성해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