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상례의 인문관

$25.30
SKU
978896071347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12/10
Pages/Weight/Size 153*224*0mm
ISBN 9788960713475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예기』 연구서. 『예기』는 한(漢) 이전의 고대 유가사상을 대표하며, 최초의 예 기록인 동시에 예의 근간을 논한 자료이다. 따라서 『예기』의 내용을 분석하면 유가 문화와 고대 사회의 정치, 사상 및 사회제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예기』를 연구 범위로 하여 상례 이론의 기원과 상장 풍속의 발전추세를 통해 상례의 인문적 의의를 논하고, 상복 제도의 기원과 내용을 통해 그 인문의식을 살펴보고 있다.
Contents
1 선진(先秦) 상례(喪禮)의 기원과 발전
제1절 상례의 기원
1. 영혼불멸관에 기원된 상장풍속
2. 영혼관념에 따른 상장풍속
3. 영혼관념에 따른 상장풍속
4. 매장 풍속
제2절 상장풍속의 발전추세
1. 원시사회의 장속(葬俗)
2. 하상(夏商) 시기의 상장
3. 서주(西周)와 춘추전국(春秋戰國)시기의 상장
제3절 삼년지상(三年之喪)의 기원
1. 당요(唐堯) 설
2. 은상(殷商) 설
3. 주공(周公) 설
4. 공자 창시 설
제4절 후장(厚葬)과 박장(薄葬)이 혼합된 상장풍속

2 제2장 『예기』의 상장(喪葬)이론
제1절 상장이론의 형성배경
1. 인문의식의 흥기
2. 사상의 변환
3. 정치제도의 변화
제2절 성대하고 복잡한 상장의절
1. 초종(初終)
(1) 시사(始死)
(2) 복(復)
(3) 설명(設銘)
(4) 목욕(沐浴)
(5) 반함(飯含)
(6) 습(襲)
(7) 설중(設重)
2. 이렴(二斂)
(1) 효금과 상자를 준비한다(設紵衾床第)
(2) 소렴(小殮)
(3) 당으로 시신을 옮기다(遷屍於堂)
(4) 소렴전(小殮奠)
(5) 대렴의와 전, 빈구를 진설한다(陳大僉衣奠皮殯具)
(6) 대렴(大斂)
(7) 성복(成服)
3. 송장(送葬)
(1) 조석곡삭월전(朝夕哭朔月奠)
(2) 서택복장일(筮宅卜葬日)
(3) 계빈(啓殯)
(4) 조조(朝祖)
(5) 행구(行柩)
(6) 장(葬)
4. 장후(葬後)
(1) 반곡(反哭)
(2) 우제(虞祭)
(3) 졸곡(卒哭)
(4) 소상(小祥)
(5) 대상(大祥)
(6) 담(潭)
제3절 기용
1. 중(重)
2. 관곽(棺槨)
3. 관식(棺飾)
4. 명기(明器)
제4절 상장이론의 의의와 기능
1. 상장이론의 의의
(1) 사친진애(思親盡哀)
(2) 신종추원(愼終追遠)
(3) 칭정절권(稱情節權)
(4) 친친존존(親親尊尊)
2. 상장의 기능

3 『예기』의 상복제도
제1절 상복제도의 기원과 변천
1. 상복제도의 기원
2. 상복제도의 변천
제2절 상복의 의의와 등차(等差)
1. 친친(親親)
2. 존존(尊尊)
3. 명(名)
4. 출입(出入)
5. 장유(長幼)
6. 종복(從服)
제3절 상복제도와 종법제도(宗法制度)의 관계
1. 종법제도의 조직과 정신
2. 종법제도와 상복제도의 관계
제4절 거상(居喪)생활의 주요 규정
1. 음식
2. 거처(居處)
3. 곡읍(哭泣)
4. 용체(容體)
5. 언어

부록
의례궁실도(儀禮宮室圖)
상복도(喪服圖)
예기(禮器)
Author
공병석
경남 창원에서 태어나 자랐다. 대구한의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과 한국고전번역원을 거쳐 대만 사립 동오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중문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립 대만사범대학 국문(중문)연구소에서 달생 공덕성 선생의 지도하에 중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타블라 라사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경학(經學)과 삼례학(三禮學)이며 저서로는 『예기와 묵자 상장사상비교연구』, 『예기 상례의 인문관』 등이며, 「『예기』상장관의 인문의식」, 「『묵자』의 상장관」, 「상례의 이론적 의의와 그 기능 ― 『예기』를 중심으로」, 「『예기』를 통해본 중국고대 교육제도와 교학이론」등 예학관련 논문 다수를 발표하였다.
경남 창원에서 태어나 자랐다. 대구한의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과 한국고전번역원을 거쳐 대만 사립 동오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중문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립 대만사범대학 국문(중문)연구소에서 달생 공덕성 선생의 지도하에 중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타블라 라사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경학(經學)과 삼례학(三禮學)이며 저서로는 『예기와 묵자 상장사상비교연구』, 『예기 상례의 인문관』 등이며, 「『예기』상장관의 인문의식」, 「『묵자』의 상장관」, 「상례의 이론적 의의와 그 기능 ― 『예기』를 중심으로」, 「『예기』를 통해본 중국고대 교육제도와 교학이론」등 예학관련 논문 다수를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