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속담에 “산은 높은 것이지만 사람을 산봉우리로 생각해야 한다. (山高, 以人爲峰)”는 말이 있다. 여기서 산은 고정적이고, 변동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은 움직일 수 있고, 변화시킬 수 있다. 때문에 사람은 산을 움직일 수도 있고, 산을 정복할 수도 있으며, 산을 다스릴 수가 있다. 사람이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사고로써 산을 대하지 않는다면, 산에 살고 있는 한 마리 새, 한 마리 노루, 한 마리 토끼에 불과한 인생일 것이다. 사람을 산봉우리로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공자도 일찍이 말한적이 있다. “인자는 산을 좋아하고, 지자는 물을 좋아한다. (仁者樂山, 智者樂水)” 여기서는 인자의 성품과 지자의 성품을 비유하여 말하고 있다. 어진자는 좋은 도덕적 품격을 변화시키지 않으려 하고, 지혜로운 자는 새로운 지식을 쫓으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산은 변하지 않는 도덕적 문화를 뜻하고, 움직이는 물은 새로운 변화를 의미한다. 산은 변화하지 않은 고정적인 대상이다. 결국 공자 자신도 기존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은 서로 융합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4. 춘추시대(春秋時代) (기원전770-481) 인문사조(人文思潮)의 흥기(興起)
1) 천도(天道)는 멀고(요원하고), 인도(人道)는 가깝다(천근하다). (天道遠人道邇)
2) 백성은 신이 의탁하는 것이고, 신은 사람에 의탁해서 행하는 것이다. (民爲神之主, 神依人而行)
3) 사물은 두 가지 대립면을 만들어낸다. (物生有兩)
4) 《주역(周易)》의 철학사상(哲學思想)과 구조(構造)
(1) 《주역(周易)》은 또한 《역경(易經)》혹은 《역(易)》이라고 칭한다
(2) 《역전(易傳)》의 구성
2-1 《역전(易傳)》의 중요사상
5. 주대(周代)의 천인관계(天人關係)와 정치(政治)에 관한 사유방법
6. 상제(上帝), 왕(王), 천(天)의 지위와 변화
1) 신(神), 군(君), (民)의 관계
2) 민(民)에 대한 정치작용의 인식
3) 예(禮)의 작용
4) 거현(擧賢)의 주장
7.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8. 인내의외(仁內義外)와 인의내재(仁義內在)
9. 유가(儒家) 13경(經)의 형성(形成)
1) 유가(儒家) (Confucianism as a fammily)
2) 유교(儒敎) (Confucianism as a cult)
3) 유학(儒學) (Confucianism as a from of learning)
10. 출토문헌과 문화적 의의
1) 황제사경(黃帝四經)
2) 곽점초간《郭店楚簡》 오행편《五行篇》의 천도(天道), 인도(人道)의 문제와 수양(修養)의 문제
2-1 오행(五行)의 정의(定義)
2-2 천도(天道)와 인도(人道), 음악(音樂)의 관계
2-3 수양의 단초(端初)인 심(心)의 역할
2-4 수양의 과정과 완성
11. 공자(孔子)(기원전551-479) 당시의 사상사적(思想史的) 특징
12. 공자(孔子)의 인(仁)사상의 변증법적 논리
1) 공자는 “애친(愛親)”을 “인(仁)”의 근본적인 시작으로 여겼다.
2) 공자는 또 “인(仁)”을 “애인(愛人)”으로 규정하였다.
3) “인(仁)”과 “예(禮)”의 사회윤리적 형식
4) 중용(中庸)
13. 노자(老子) (道德經)의 논리적 사유
1) 실존적 의의의 “도(道)”
2) 우주의 생성
3) 규율성의 “도(道)”
14. 맹자(孟子)(기원전 390-305)의 윤리사상
1) 인정학설(仁政學說)
2) 성선론(性善論)
3) 사람의 마음이 선으로 향한다는(人心向善) 도덕 형이상학
3-1 진심(盡心), 지성(知性), 지천(知天)과 존심(存心), 양성(養性), 사천(事天)에 관하여
3-2 진심(盡心), 지성(知性), 지천(知天)
3-3 존심(存心), 양성(養性), 사천(事天)
18. 고대 중국의 선진(先秦) 명변(名辯) 논리학(論理學)의 발전 및 기본적인 단계
1) 명변사상(明辯思想)의 계몽과 개척
2) 명변사상(明辯思想)의 초보적인 발전
3) 명변논리학(明辯論理學)의 창립
4) 명변논리학(明辯論理學)의 계승(繼承)과 발전(發展)-순자(荀子)의 명변논리학(明辯論理學)
5) 명(名)과 실(實)의 관계(關係)-노자(老子)의 “무명(無名)과 ”유명(有名)“
5-1 무명(無名), 천지지시(天地之始)
5-2 유명(有名), 만물지모(萬物之母)
6)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7) 묵자(墨子)의 “명을 써서 실제를 취한다.”(用名以取實)는 이론
8) 맹자(孟子)의 “변(辯)”과 “사(思)”
9) 맹자철학에서 “권도(權道)”의 철학적 해석
9-1 “권(權)”철학의 단서
9-2 “권(權)”도(道)의 적용
9-3 “권(權)”도(道)와 “중용(中庸)”의 관계
10) 장자(莊子)의 “만물과 나는 하나가 된다.(萬物與我爲一)”는 사상과 “바로 생겨나고 바로 죽는다.(方生方死)”는 사상
11) 혜시(惠施)(기원전370-318)의 역물십사(歷物十事) 중의 명실(名實)
12) 공손룡(公孫龍)의 이견백론(離堅白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