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소크라테스의 변론

$14.04
SKU
9788960605596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8/03
Pages/Weight/Size 143*210*20mm
ISBN 9788960605596
Description
위대한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진면목이 압축된 불멸의 고전!

이 책은 소크라테스의 법정 변론을 그의 제자 플라톤이 정리한 불후의 명저로, 소크라테스가 처형된 후 몇 년에 걸쳐 집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플라톤이 재구성했지만 소크라테스의 변론과 증언은 진정한 삶과 지혜란 무엇인지 일깨우고 되묻게 한다. 소크라테스는 왜 재판에 회부되었을까?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는 젊은이들을 타락시키고 국가가 신봉하는 신이 아닌 다른 신을 믿는다는 혐의로 고발당했다. 아테나이 시민들 앞에서 당당하게 자신을 변론했다. 하지만 그는 “나는 죽으러 가고, 여러분은 살러 가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 중에서 어느 쪽이 더 나은 운명을 향해 가는지는, 신 말고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가 죽기 전에 남긴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죽음으로 삶의 원칙과 신념을 지킨 소크라테스의 당당한 면모는 철학사를 통틀어 단연 압권으로 꼽힌다.
Contents
옮긴이의 말 _ 끊임없이 음미하고 반성하며 살아간다는 것

1장 이 재판의 성격과 고발자들에 대해
이 자리에서 모든 진실을 들려드리겠습니다
나를 고발한 두 부류의 사람들
내게는 초인적인 지혜나 지식이 없습니다

2장 고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반박
델포이의 신을 증인으로 부르겠습니다
신의 속뜻을 알기 위해 만났던 사람들
내가 미움을 산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젊은이들을 타락시켰다는 고발에 대한 반박
신들을 믿지 않는다는 고발에 대한 반박
무고한 사람들이 유죄를 받는 이유

3장 무죄 판결을 청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죽음보다도 더 염려스러운 것은 치욕입니다
사형을 받더라도 태도를 바꾸지 않겠습니다
나를 대신할 사람을 찾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정의에 반하는 행위를 용인한 적이 없습니다
어느 누구의 선생이 되어본 적이 없습니다
무죄방면을 애원하지 않겠습니다

4장 배심원 표결에 따라 유죄가 확정된 이후
내가 대체 어떤 형벌을 받아야 마땅한가요?
내 자신을 고소할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5장 사형 판결이 언도되고 난 이후
유죄 판결을 받아들이는 가장 중요한 이유
유죄 판결을 내린 이들에게 건네는 예언
지금의 이 죽음이 내게는 축복입니다
나는 죽으러 가고, 여러분은 살러 가야 합니다
Author
플라톤,김세나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