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고령자의 문화활동 현황 진단
제1절 고령자의 문화활동 참여 실태
1. 국민여가활동조사(2014)
2. 문화향수실태조사(2014)
3.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2015)
4. 국민여행실태조사(2015)
5. 노인실태조사(2014)
6. 시사점
제2절 고령자 대상 정책 개발을 위한 전문가 조사
1. 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분석
3. 시사점
제3장 고령자 대상 문화정책의 사례 분석
제1절 국내 사례
1. 고령자 대상 문화정책 기반
2. 고령자 대상 문화ㆍ여가프로그램 제공 시설
3. 고령자 대상 문화ㆍ여가 서비스 제공
4. 시사점
제2절 국외 사례
1. 고령자 대상 문화정책의 인프라 구축
2. 고령자의 문화향유 경험 확대 프로그램
3. 고령친화적 문화환경 조성
4. 고령자 대상 일자리 사업
5. 시사점
제4장 고령화시대 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제1절 고령화시대 문화의 역할
제2절 고령자 대상 문화정책의 기본방향
1. 기본방향
2. 목표
3. 고려사항
제3절 고령화시대 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1. 새로운 세대형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2. 신노년층의 새로운 문화참여 및 여가활동 경력 증진
3. 고령자 친화적인 문화환경 조성
4. 소통하고 역할을 다하는 관계망 조성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 미국의 창의적 노화에 관한 회담(2015) 결과 요약 전문
- 고령자 대상 문화정책 제안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