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 수행 방법
제2장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에서 정책으로
제1절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과 국가보고서의 위상
1.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및 정책의 진행과정
2.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과 국가보고서의 관계
제2절 문화다양성 협약 당사국 국가보고서 제출 현황
1. 협약으로 바라본 문화다양성 국가보고서 작성의 필요성
2.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국가보고서 국가별 제출 현황
제3장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국가보고서 사례 조사 및 분석
제1절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당사국 보고서 내용 분석
1. 유네스코 사무국의 당사국 보고서 분석 종합
2. 당사국 제출 국가보고서 개요 분석 및 종합
제2절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조사 대상 국가보고서 분석
1. 대상 국가 선정 및 일반 현황 조사
2. 대상 국가별 문화다양성 종합 정책 조사 및 분석
가. 캐나다의 문화다양성 정책
나. 덴마크의 문화다양성 정책
다. 오스트리아의 문화다양성 정책
라. 베트남의 문화다양성 정책
마. 아르헨티나의 문화다양성 정책
바. 부르키나파소의 문화다양성 정책
제3절 국가보고서를 통한 문화다양성 정책 분석
1. 국가보고서 상의 문화다양성 정책 방향
2. 문화다양성 관련 문화예술 정책 시행 사례 분석
3. 문화다양성 관련 국제협력 정책 시행 사례 분석
4. 지속가능발전에서 문화의 도입과 위기에 처한 문화적 표현의 보호 사례 분석
5. 문화다양성 정책에서 민간과 시민의 참여 사례 분석
6. 향후 계획과 도전
7. 분석 종합
제4장 문화다양성 국외사례를 통해 바라본 국내 문화다양성 정책의 방향
제1절 국내 문화다양성 정책 개요
1. 문화다양성 협약 이행 기관 및 역할
2.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다양성 정책
3. 국내 문화다양성 정책 분야별 종합
제2절 국외 사례로 바라본 문화다양성 정책 향후 방향
1. 국내 문화다양성의 개선점
2. 향후 다양성 정책 방향 수립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