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易)을 연구한다는 것은 신과 인간의 조화와 겸손의 중정(中正) 사상은 물론 온고지신(溫故知新)을 알아 남의 스승이 될 뿐만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를 예측하고 취길피흉(取吉避凶)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명리학의 핵심은 천지개벽의 수와 천간과 천간, 지지와 지지, 천간과 지지의 생극제화(生剋制化) 변화를 공부하는 것이다. 이 책은 사주명리의 기초학부터 명리학의 핵심 및 운명에 대해서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제6편 육친론(六親論)
1. 비겁(比劫)
1) 비겁 길(吉) 때
2) 형충파해 흉(凶) 때
3) 흉운(凶運) 때
2. 식상(食傷)
1) 식상 길(吉) 때
2) 형충파해 흉(凶) 때
3. 재성(財星)
1) 재성 길(吉) 때
2) 형충파해 흉(凶) 때
4. 관살(官殺)
1) 정관(正官) 길(吉) 때
2) 편관(偏官) 흉(凶) 때
5. 인수(印綬)
1) 정인(正印) 길 때
2) 인수 길(吉) 때
3) 편인(偏印) 흉(凶) 때
4) 흉운(凶運) 때
제7편 격국(格局) 용신론(用神論)
십이운성(十二運星)
격국론(格局論)
1. 내격(內格)
1) 건록격(建祿格)
2) 양인격(羊刃格)
3) 식신격(食神格)
4) 상관격(傷官格)
5) 정재격(正財格)
6) 편재격(偏財格)
7) 정관격(正官格)
8) 편관격(偏官格)
9) 인수격(印綬格)
2. 외격(外格)
1) 육친에 종하는 외격
2) 기세에 따르는 외격(外格)
3) 합화(合化)로 이루어진 외격(外格)
3. 특수격(特殊格)
1) 연주(年柱)로 이루어진 특수격
2) 월지(月支)로 이루어진 특수격
3) 일주(日柱)로 이루어진 특수격
4) 시주(時柱)로 이루어진 특수격
5) 천간(天干)으로 이루어진 특수격
6) 사주 간지(干支)로 이루어진 특수격
7) 사주 연월일시로 이루어진 특수격
8) 암합(暗合)으로 이루어진 특수격
9) 암충(暗沖)으로 이루어진 특수격
제8편 용신론(用神論)
1. 용신의 핵심은 중화(中和)에 있다
2. 용신은 조후(調喉)를 우선한다
3. 용신은 건왕(建旺)함이 마땅하다
4. 용신은 유력(有力)해야 한다
5. 용신은 천간 투출(透出)됨을 우선한다
6. 암장(暗藏)된 용신은 천간에 투출된 용신보다 힘이 부족하다
7. 지지용신이면 동주(同柱)하는 천간을 흉(凶)이라 하지 않는다
8. 용신(用神)은 손상을 당하면 안 된다
9. 인원용사(人元用事)인 12지지(地支)에 감춰진 천간(天干), 즉 지장간(支藏干)을 잘 숙지하여야 한다
10. 용신을 도우는 자 길신(吉神), 용신을 상하게 하는 자 흉신(凶神)
11. 용신의 청탁(淸濁)
12. 용신은 제2의 육친(六親)
13. 다섯 가지 용신(用神)
·격국용신(格局用神)
·조후용신(調喉用神)
·억부용신(抑扶用神)
·병약용신(病藥用神)
·통관용신(通關用神)
14. 용신 없는 자 무용(無用)한 자
15. 명리(命理)의 핵심은 용신(用神)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