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5
1. 연구의 내용 5
2. 연구방법 7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8
제2장 전통무예 데이터베이스 구축 개요 11
제1절 데이터베이스 개념과 특징 13
1. 데이터베이스 개념과 정의 13
2.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13
제2절 데이터베이스 운영 사례 14
1. 한국국학진흥원 14
2. 한국문화정보원 15
3. 서울역사편찬원 16
4. 한국문화정보원 16
제3절 전통무예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의의 17
제3장 전통무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인식조사 분석 19
제1절 조사 개요 21
1. 개요 및 목적 21
2. 조사 대상 21
3. 조사 절차 21
제2절 조사 결과 분석 23
1. 1차 조사 결과 분석 23
2. 2차 조사 결과 분석 27
제3절 종합적 논의 및 시사점 36
1. 종합적 논의 36
2. 시사점 41
제4장 전통무예 DB구축 및 활용방안 45
제1절 기본 방향 47
제2절 구축 방안 48
1. 구축 지표 구성 49
2. 구축 방식과 시기 54
3. 관리운영 전담체계 구축 55
4. 법제 정비 56
제3절 활용 방안 57
1. 전통무예육성종목 및 무형문화재 지정 등의 정책자료 57
2. 전통무예 정보 검색 및 제공의 종합적 채널 58
3. 전통무예 정보에 대한 국민 신뢰성 확보 수단 60
4. 전통무예 계승발전 토대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