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방언 통사의 몇 측면

$40.25
SKU
978895996839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15
Pages/Weight/Size 152*224*35mm
ISBN 9788959968398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제주 방언 통사 영역의 핵심 요소인
어미 형태소들이 공통어의 형식을 이용하고 있음을 밝히다


이 책에서는 제주 방언의 통사 영역의 문법 형태소들 중에서 종결어미와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하여, 제주 방언이 한국어의 공통 형태들을 이용하면서도 또한 다른 기능들도 포함하고 있음을 밝혔다.

제주 방언의 종결어미는 크게 전형적인 것과 비전형적인 것이 있는데, 전자는 공통어와 공유되는 형식이며, 후자는 공통어와 공유되는 반말투 종결어미 ‘?어’를 기반으로 하여 다시 종결어미가 융합된 형식을 지닌다.

선어말어미도 소리값이 다르더라도 공통어와 기본 형상을 공유하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음도 밝혔다. 가령, 공통어의 양태 형태소 ‘?겠?’은 근대 국어시기에 ‘?을 것 같았?’으로부터 문법화되었겠지만, 제주 방언에서 짝이 되는 양태 형태소 ‘?으크?’는 일찍이 ‘?을 거 같?’의 형상에서 문법화를 거쳐 융합됨으로써 마치 하나의 형태처럼 쓰이는 것이다.

이런 중요한 언어 사실들은 제주 방언을 왜곡해 온 ‘제주어’ 신봉자들에 의해 공통어와 공유된 것이라면 맹목적으로 ‘개신 물결’에 오염된 것으로 치부해 왔고, 결과적으로 제주 방언이 한국어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황당무계한 일까지 일어나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현대 언어학을 열어 놓은 소쉬르는 그 이전의 역사주의 언어학이 일부 언어 자료만으로 과장되고 왜곡된 주장을 하던 잘못을 말끔히 씻어내고, 전체 체계를 중심으로 개별 형태들의 가치와 기능을 밝혀야 함을 주장하였는데, 이런 합리적 주장이 전세계적인 공감을 얻으면서 새로운 시대를 맞은 것이다. 제주 방언의 연구에서도 소쉬르의 혁명이 일어나야 한다.

이 책에서 논의한 제주 방언 통사 영역의 문법 형태소들의 질서가 올바른 결론을 담고 있다면, 공시적으로 다른 방언의 변이체들에 대한 연구를 크게 일어나도록 자극이 될 수 있고, 또한 통시적으로 우리말의 역사가 변동하고 변화하는 계기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데에 제주 방언의 문법 형태소 형성 방식과 체계를 파악하는 일이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Contents
머릿글

제1장 제주 방언의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체계

1. 들머리
2. 선어말어미의 하위범주 및 그 짜임
3. 종결어미의 하위범주 및 그 짜임
4. 마무리

제2장 제주 방언의 인용 구문과 매개인자

1. 들머리
2. 인용 구문에 대한 기술과 해석
3. 유사 인용 구문의 다양한 실현 모습
4. 마무리, 그리고 남은 문제

제3장 ‘-고’ 어미를 지닌 제주 방언의 내포 구문

1. 들머리
2. 발화 인용과 무관한 사례들에서의 ‘-고’ 어미
3. 융합된 내포어미 ‘-곤’과 접속어미 ‘-곡’의 재구성 가능성
4. 마무리

제4장 Non-canonical Ending Systems in Jeju Korean

1. Introduction
2. Addressee Honorific Markers
3. Canonical Sentential Endings of Plain Register
4. Two Kinds of Non-canonical Sentential Endings
5. Extended Modality as an Explanation of Non-canonical Endings
6. Closing Remarks

제5장 {-겠-}에 대응하는 {-으크-}에 대하여: 특히 분석 오류의 시정 및 분포 확립을 중심으로 하여

1. 서론
2. 형태소 분석과 변이형태 지정에서의 문제점
3. 분포의 확립 및 분석 오류의 시정
4. 마무리
【 삼십 년 뒤에 새로 덧붙임 】

제6장 제주 방언 대우법 연구의 몇 가지 문제

1. 들머리
2. 대우법 연구에서의 모순과 극복 방법
3. 이 방언의 대우 연구들에서 찾아지는 오류
4. ‘-수-, -으우-’: ‘-소, -으오’와 ‘-ㅇㅣ-’로의 재분석 가능성
5. ‘-읍네-, -읍데-’와 ‘-수-, -으우-’의 분포에 대한 해석
6. 이 방언의 연구에서 직관 및 사실 사이 간격

제7장 몇 가지 단어 형성 접미사에 대하여: 특히 ‘-이다, -대다, -거리다, -하다, ø’의 관련을 중심으로

1. 들머리
2. 접미사의 의미자질을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3. 일련의 접미사 분포를 고려한 의미자질의 수립
4. 접미사들의 결합 모습을 근거로 한 하위 분류
5. 제안된 의미자질들에 대한 검사와 입증
【 뒤에 새로 덧붙임 】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김지홍
Author
김지홍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그간 40여 권의 저역서 중에서 10종이 대한민국학술원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의 서양편 명저번역 2종을 출간했고, 한문 번역서로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것 이외에 몇 권이 있다. 저서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 논항구조 접근』(경진출판, 2010)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경진출판, 2010)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경진출판, 2014)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경진출판, 2015)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 접속문과 내포문, 1∼2』(경진출판, 2020) 『제주 방언 통사의 몇 측면』(경진출판, 2021) 언어와 현대 사상 번역서무어(1953), 『말철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문제』(경진출판, 2019) 심리학(언어의 산출 및 이해), 그리고 담화 분석 번역서르펠트(1989),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1∼2』(나남, 2008) 킨취(1998), 『이해 : 인지 패러다임 1∼2』(공역, 나남, 2009) 클락(2003), 『언어 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경진출판, 2009) 머카씨(1998),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경진출판, 2010) 페어클럽(2001), 『언어와 권력』(경진출판, 2011) 페어클럽(2003), 『담화 분석 방법 :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경진출판, 2012) 위도슨(2004),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경진출판, 2018) 언어 교육 평가 및 현장 조사 연구 번역서윌리스(1998), 『언어 교육현장 조사 연구 방법』(나라말, 2000) 루오마(2001), 『말하기 평가』(글로벌 콘텐츠, 2011) 벅(2001), 『듣기 평가』(글로벌콘텐츠, 2013) 앤더슨·브롸운·쉴콕·율(1984), 『모국어 말하기 교육』(공역, 글로벌콘텐츠, 2014) 브롸운·율(1984), 『영어 말하기 교육』(공역, 글로벌콘텐츠, 2014) 올더슨(2001) 『읽기 평가 1∼2』(글로벌콘텐츠, 2015) 한문 번역서유희(1824), 『언문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최부(1489), 『최부 표해록』(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장한철(1771), 『표해록』(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노상추(1746∼1829) 『국역 노상추 일기, 1∼3』(공역, 국사편찬위원회, 2019) 등이 있다.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그간 40여 권의 저역서 중에서 10종이 대한민국학술원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의 서양편 명저번역 2종을 출간했고, 한문 번역서로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것 이외에 몇 권이 있다. 저서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 논항구조 접근』(경진출판, 2010)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경진출판, 2010)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경진출판, 2014)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경진출판, 2015)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 접속문과 내포문, 1∼2』(경진출판, 2020) 『제주 방언 통사의 몇 측면』(경진출판, 2021) 언어와 현대 사상 번역서무어(1953), 『말철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문제』(경진출판, 2019) 심리학(언어의 산출 및 이해), 그리고 담화 분석 번역서르펠트(1989),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1∼2』(나남, 2008) 킨취(1998), 『이해 : 인지 패러다임 1∼2』(공역, 나남, 2009) 클락(2003), 『언어 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경진출판, 2009) 머카씨(1998),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경진출판, 2010) 페어클럽(2001), 『언어와 권력』(경진출판, 2011) 페어클럽(2003), 『담화 분석 방법 :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경진출판, 2012) 위도슨(2004),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경진출판, 2018) 언어 교육 평가 및 현장 조사 연구 번역서윌리스(1998), 『언어 교육현장 조사 연구 방법』(나라말, 2000) 루오마(2001), 『말하기 평가』(글로벌 콘텐츠, 2011) 벅(2001), 『듣기 평가』(글로벌콘텐츠, 2013) 앤더슨·브롸운·쉴콕·율(1984), 『모국어 말하기 교육』(공역, 글로벌콘텐츠, 2014) 브롸운·율(1984), 『영어 말하기 교육』(공역, 글로벌콘텐츠, 2014) 올더슨(2001) 『읽기 평가 1∼2』(글로벌콘텐츠, 2015) 한문 번역서유희(1824), 『언문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최부(1489), 『최부 표해록』(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장한철(1771), 『표해록』(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노상추(1746∼1829) 『국역 노상추 일기, 1∼3』(공역, 국사편찬위원회, 2019)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