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방언의 사용이 한국어 사용에 대한 통찰뿐만 아니라
인간 정신 작동 방식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 고찰하다
이 책은 제주 방언의 통사 현상 중 접속 구문과 내포 구문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 설화 채록 자료들을 통해서 밝혀 놓은 책이다. UNESCO에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재되면서 마치 유구어가 일본어가 아닌 듯이, 제주 방언이 한국어가 아니라고 왜곡된 주장이 외국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지만, 이 방언의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하나하나 이 방언의 자료가 공통어와 긴밀하게 대응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미 1980년대에 70대 전후의 토박이 화자들의 설화를 말해 준 자료를 중심으로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사례들을 모았고, 이를 위하여 저자 나름대로의 이론 구축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비단 절과 절을 이어주거나 절을 자기 안에 포함하고 있는 상위절이라 하더라도, 그 작용과 해석에서는 통사 영역을 넘어서서 화용 및 담화 전개 차원의 원리들이 긴밀히 작용하고 있음도 처음으로 밝혀냈다. 그리고 매우 간단해야 무의식적으로 쓸 수 있는 언어 사용 원리는, 밑바닥에서 여러 층위의 복합적으로 동시에 작동해야 하는 정신 작동 방식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함도 부각시키고 있다.
Contents
[도서]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1
제1부 들머리
제2부 담화 전개에서 접속 및 내포 현상과 이에 대한 설명 이론
복합 작용 영역: 서설
제1장 통사론 쪽에서의 접근
제2장 담화 및 화용론 쪽에서의 접근
제3장 언어심리학 쪽에서의 접근
제4장 사고의 과정을 다루는 인식론 및 인지과학에서의 접근
제5장 제2부에 대한 요약
제3부 복합 구문에서 관찰되는 전형적인 어미 형태소들과 그 기능의 변동
제1장 들머리
제2장 등위 접속 구문
제3장 필수적 선행절을 요구하는 종속 접속 구문
제4장 선행절이 수의적으로 덧얹히는 부가 접속 구문
제5장 발화나 생각(추정)과 관련된 필수적 내포 구문: 내포 구문 1
제6장 행동 목표 및 실현 모습과 관련된 필수적 내포 구문: 내포 구문 2
제7장 제3부에 대한 요약
제4부 개방적 등위 접속 구문과 관련 모습들
제1장 들머리
제2장 등위 접속 구문과 관련 사건들의 위상: 나열·동시 진행·역방향의 접속
제3장 등위 접속 항들을 묶어 내포 구문으로 만들어 주는 특이한 형식
제4장 ‘-곡 -곡 ?다’ 구문에서 접속 어미 및 ‘?다’의 범주와 관련된 의문
제5장 제4부에 대한 요약
제5부 필수적 종속 접속 구문: 다항 접속 및 2항 접속
제1장 들머리
제2장 다항의 종속 접속: 순차적 사건 전개·사건의 전환·사건의 배경 제시
제3장 순차적 사건 전개를 표시하는 전형적인 접속 어미의 짝‘-안 vs. -앙’, 그리고 ‘-아서, -아설랑’: 문법 형태소의 중층성
제4장 사건 전개 흐름에서의 사건 전환을 나타내는 경우: ‘-단 vs. -당’, 그리고 ‘-다가, -다서, -다설랑’
제5장 사건의 배경 제시 기능을 떠맡은 접속 어미: ‘-은디(-은데)’, ‘-자’, ‘-으니’
제6장 이항 종속 접속에서 시상·양태 형태소의 결합 모습: 조건·이유·추정의 관계
제7장 제5부에 대한 요약
[도서]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2
제6부 내포 구문의 두 부류: 발화·마음가짐의 표상 및 행동 목표·실현 모습의 표상
제1장 들머리
제2장 내포 구문의 정의 및 이 방언에서 관찰되는 형식
제3장 온전한 문장(완형 보문)으로 나오는 발화 인용의 내포 구문
제4장 온전한 문장으로 나오는 의도·추측의 내포 구문
제5장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는 내포 구문의 어미: ‘-아, -게, -지, -고’
제6장 당위나 필수 조건을 표현하는 ‘-아사 {되다, ?다}’ 구문, 그리고 행위의 의도나 추측을 표현하는 ‘-을랴고 ?다’ 구문
제7장 기능이 확정되어야 할 내포 어미와 접속 어미의 범주: 양태 범주
제8장 제6부에 대한 요약
제7부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에 대한 결론
제1장 각 부마다의 논의 요약
제2장 최종 마무리
부록
1. 접속 및 내포 구문의 어미 목록과 용례
접속 어미(그리고 접속 어미로부터 전성된 종결 어미)
내포 어미(그리고 내포 어미로부터 전성된 종결 어미)
2. 참고문헌
3.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