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으로의 초대
삶의 지혜, 그리고 세상 사는 이야기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08/05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59591145
Categories
에세이
Description
평소 낙서를 즐기던 저자는 매월 말일마다 이방 저방 지천으로 걸려 있는 달력들을 넘기다보면 십여 장이나 되는 고급스런 용지 뒷면의 깨끗한 공백을 그냥 버리기가 너무 아까웠단다. 그래서 매월 십여 장의 크고 작은 것들을 알맞은 크기로 잘라서 낙서를 즐기는 습관이 되어버렸고, 거기에 쓰이는 대부분이 바쁜 현대인을 위한 삶의 길잡이며 지침의 내용이었다.
제1권 『신호등』, 제2권 『집착을 버리면 세상이 보인다』에 이어 삶의 지혜가 가득한 세 번째 책. 여기서 저자는 가식(假飾)없이 평범한 그런 삶, 배를 쥐고 웃을 수 있는 요절복통(腰絶腹痛), 박장대소(拍掌大笑)하는 그런 날을 기대하며 세상사는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인생여로(人生旅路)
풍찬노숙(風餐露宿)
귀소본능(歸巢本能)
금혼식(金婚式)
◇약방(藥房)에 감초(甘草)
◇포복절도(抱腹絶倒)
스트레스(Stress)
신경증(神經症)
◇관광여행(觀光旅行)
관국지광(觀國之光)
여가(餘暇)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놀이(play)
◇백수문(白首文)
우몽등초(愚蒙等?)
심동신피(心動神疲)
전패비휴(顚沛匪虧)
◇시종일관(始終一貫)
◇포트폴리오(Portfolio)
와부뇌명(瓦釜雷鳴)
욕속불달(欲速不達)
적수공봉(赤手空峯)
◇취생몽사(醉生夢死)
점입가경(漸入佳境)
춘치자명(春雉自鳴)
◇치인설몽(痴人說夢)
치지도외(置之度外)
◇병문졸속(兵聞拙速)
제인확금(齊人攫金)
호가호위(狐假虎威)
◇상상력(想像力)
◇경제확대(經濟擴大)
◇숙맥불변(菽麥不辨)
불변(不辨)과 불변(不變)
변증법(辨證法)
◇삼불(三不)
학벌(學閥)
능력주의(能力主義)
나이(奈伊, Age Year)
전량(錢糧)
◇삼불정책(三不政策)
삼고초려(三顧草廬)
양반과 상민(兩班常民)
◇자화상(自畵像)
측천양지(測天量地)
양의지명다병(養醫之明多炳)
◇투저의(投?疑)
토포악발(吐哺握發)
◇표절(剽竊)
◇자작문구(自作文句)
◇대도소도(大盜小盜)
홍길동전(洪吉童傳)
택당집(澤堂集)
활빈당(活貧黨)
◇집념(執念)
비누(Soap)
청결(淸潔)
요법(療法)
◇구개음화(口蓋音化)
◇정당방위(正當防衛)
잔다르크
안중지인(眼中之人)
설계(設計)
산중여유인대작(山中與幽人對酌)
◇대학지도(大學之道)
◇전문가(專門家)
탐독완시(耽讀翫市)
포어팽재(飽?烹宰)
계영배(戒盈杯)
◇동심(童心)과 고희(古稀)
감모변색(鑑貌辨色)
형단표정(形端表正)
지학과년(志學瓜年)
희수(喜壽)
종심(從心)
소언약어(少言弱語)
◇복고풍(復古風)
◇심산유곡(深山幽谷)
◇배산기루(背山起樓)
조망권(眺望權)
담합(談合)
◇양상군자(梁上君子)
◇청춘수사(靑春受謝)
자등청춘(子登靑春)
화인악적(禍因惡積)
답습(踏襲)
◇복고풍(復古風)
◇심산유곡(深山幽谷)
◇배산기루(背山起樓)
조망권(眺望權)
담합(談合)
◇양상군자(梁上君子)
◇청춘수사(靑春受謝)
자등청춘(子登靑春)
화인악적(禍因惡積)
답습(踏襲)
◇속물(俗物)
◇미동(微動)
◇건설기술인(建設技術人)
◇타락(墮落)과 패륜(悖倫)
◇살풍경(殺風景)
◇노력(勞力)의 대가(代價)
◇정답(正答)과 오답(誤答)
◇법망(法網)
수작(酬酌)
◇저술(著述)
훈몽자회(訓蒙字會)
삼보일심(三寶一心)
◇논술(論述)
◇수필(隨筆, Essay)
조침문(弔針文)
◇오방신(五方神)
운주유악(運籌?幄)
◇회자인구(膾炙人口)
탄핵소추(彈劾訴追)
괴력난신(怪力亂神)
◇도절(盜竊)
개벽(開闢)
잉여(剩餘)
명품(名品)
◇망담피단(罔談彼短)
언사안정(言辭安定)
◇욕연칙불달(慾連則不達)
옥상옥(屋上屋)
◇연운상연(煙雲相連)
◇부귀이달(富貴利達)
◇논쟁(論爭)
재약부경(齋弱扶傾)
◇가능성(可能性)
종신(終身)
◇운칠기삼(運七技三)
◇정신세계(精神世界)
◇신출귀몰(神出鬼沒)
◇주안점(主眼点)
◇소탐대실(小貪大失)
호구(虎口)
면종복배(面從腹背)
구밀복검(口蜜腹劍)
◇어이아이(於異阿異)
마부작침(磨斧作針)
산유천석(山溜穿石)
애강두(哀江頭)
곡강(曲江)
◇참과 왜의 갈등
성질(性質)
미달(未達)
예산(豫算)
지방자치제(地自制)
기준미달(基準未達)
◇수준미달(水準未達)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도달(到達)
번장제도(蕃將制度)
◇증후군(症候群)
◇대운하(大運河)
◇운하(運河)
◇가담항설(街談巷說)
◇인지정야(人之精也)
◇분서갱유(焚書坑儒)
분서(焚書)
◇무병무우(無病無憂)
병균(病菌)
원생식물(原生植物)
하등식물(下等植物)
마고(??)
잠충(蠶蟲)
식자우환(識字憂患)
◇인생(人生)과 예술(藝術)
◇마음으로 본 이야기
실락원(失樂園)
◇유치인무치법(有治人無治法)
◇산소(酸素, Oxygen)
◇화룡점정(畵龍點睛)
Author
김홍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