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한자는 저지독일 상인들의 교역조직으로 유럽 전역을 활동무대로 삼았으며, 그리하여 유럽 여러 지역의 성장에도 기여했다. 그렇지만 한자는 간접적으로나마 중세와 근대 초기의 세계 교역에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럴 것이 한자가 중개한 물품 중에는 비단길의 다양한 루트로 건너와서 러시아의 노브고로트나 흑해 또는 홍해를 거치고 베니스와 제노바를 거쳐 수입된 극동의 재화들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간접적이긴 하지만 전통 깊은 이러한 관계를 염두에 둘 때, 이 책은 한자 역사서로서 한국어로 출간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독자들에게 이 교역조직에 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Ⅰ. 머리말
1. 한자는 무엇이었나?
2. 한자 역사 연구의 새로운 경향들
Ⅱ. 한자는 어떻게 생성되었나?
1. 세 가지 기본 요인
2. ‘한자’라는 단어와 개념
3. 한자 교역 체제의 형성
4. 초기한자 상인들과 그 조직형태
5. 변화의 요인들
6. 14세기의 상인 합의체와 도시 합의체
Ⅲ. 한자는 어떻게 조직되었나?
1. 한자의 법제
2. 한자의 교역 조직
Ⅳ. 몰락인가 이행인가?-한자 해체의 이유들
1. 유럽 경제 구조의 변화
2. 정치적 상황: 속령화와 법치화
3. 외국의 상황
4. 한자와 베스트팔렌 조약
Author
롤프 하멜-키조,조현천
1949년 독일 슈트트가르트 출생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이래로 ‘한자와 발트해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키일 대학 역사학과의 객원교수이자 한자 학회의 회장도 겸하고 있다. 주요 단독 저작으로는 『도시 가옥과 궁정 연구 방법』(1993), 『항해, 선박, 선원: 뤼베크 선원 조합 600년: 1401~2001』(2001), 『은과 금 그리고 한자무역』(2007) 및 『한자』(2008)가 있으며, 주요 공저서로 『실버러시와 함포 소리-유럽의 세계 재패 과정에서 독일의 은과 구리의 역할』(2001), 『한자 역사 연구의 방법 비교론』(2002), 『한자 도시 뤼베크의 기억』(2005) 그리고 『한자』(2009) 및 『독일 한자』(2011)가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한자』(2008)는 독일 C. H. Beck 출판사가 간행하는 ‘베크셰 라이에’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된 것으로 본격적 연구서라기보다는 입문서에 가까운 저작이다. 그러나 독일의 권위 있는 일간지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의 서평에서 이 책은 새로운 세대의 역사가에 의해 집필되고 한자 연구의 최신 인식 수준을 반영한 저작으로 크게 환영을 받았다.
1949년 독일 슈트트가르트 출생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이래로 ‘한자와 발트해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키일 대학 역사학과의 객원교수이자 한자 학회의 회장도 겸하고 있다. 주요 단독 저작으로는 『도시 가옥과 궁정 연구 방법』(1993), 『항해, 선박, 선원: 뤼베크 선원 조합 600년: 1401~2001』(2001), 『은과 금 그리고 한자무역』(2007) 및 『한자』(2008)가 있으며, 주요 공저서로 『실버러시와 함포 소리-유럽의 세계 재패 과정에서 독일의 은과 구리의 역할』(2001), 『한자 역사 연구의 방법 비교론』(2002), 『한자 도시 뤼베크의 기억』(2005) 그리고 『한자』(2009) 및 『독일 한자』(2011)가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한자』(2008)는 독일 C. H. Beck 출판사가 간행하는 ‘베크셰 라이에’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된 것으로 본격적 연구서라기보다는 입문서에 가까운 저작이다. 그러나 독일의 권위 있는 일간지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의 서평에서 이 책은 새로운 세대의 역사가에 의해 집필되고 한자 연구의 최신 인식 수준을 반영한 저작으로 크게 환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