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가족의 다양성의 확대에 따른 사회복지사로서의 관점을 정립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가족복지에 접근하는 방법을 학습하며, 가족의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로 개입하고 지원하는 실천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이 책을 통해 국내·외의 가족복지정책, 가족복지서비스와 가족중심의 사회복지 실천방법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이론과 사례중심으로 학습함으로써 가족복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로서의 실천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공저자들이 뜻을 모아 집필하였다.
한국 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2021~2022)의 가족복지론 목차를 기반으로 하여 총 14장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제1장은 가족에 대한 이해, 제2장은 가족복지의 이해, 제3장은 복지국가와 가족복지정책, 제4장은 한국과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제5장은 가족복지 관련 법, 제6장은 가족복지실천과정, 제7장은 가족치료, 제8장은 빈곤가족, 제9장은 한부모가족, 제10장은 폭력가족, 제11장은 다문화가족, 제12장은 중독자가족, 제13장은 장애인가족, 제14장은 1인가족(독신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하고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가족복지와 관련된 법, 제도, 서비스 전달체계 및 가족의 욕구와 문제 등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가족복지 실천현장의 이러한 변화들을 반영하고자 가급적이면 최신 자료와 정보를 사용하였다.
Contents
1장 가족에 대한 이해
2장 가족복지의 이해
3장 복지국가와 가족복지정책
4장 한국과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5장 가족복지 관련 법
6장 가족복지실천과정
7장 가족치료
8장 빈곤가족
9장 한부모가족
10장 폭력가족
11장 다문화가족
12장 중독자가족
13장 장애인가족
14장 1인가족
Author
박용오,기은광,탁순자,이정숙,조성상,백혜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교수(학과장)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위원회 위원장
(사) 사회복지법제학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