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전공자들이 가장 설레면서도 두렵고 책임감을 느끼는 과목이 사회복지현장실습이다. 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좋은 길잡이가 되어주기 위해 집필된 이 책은 첫째, 가장 최신의 정보를 담고 있다. 즉 2019년 새로 개정된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법령과 내용, 서식을 수록하여 실습규정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둘째, 친절하다. 실습내용별, 시기별, 주제별, 관련 서식은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떻게 써야하는지? 등 사례를 수록하여 이해하기 쉽다.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 순서를 고려하여 파트를 구성하고 장을 배치하였다. 그래서 실습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과 실습 지도를 하는 교수들이 참고하기 좋다. 넷째, 실습의 길라잡이이다. 실습 과제를 할 때 참고할 수 있고, 실습 세미나에 적합하도록 실례를 들어서 설명하였다. 다섯째, 학생과 지도교수 모두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체계를 세우고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제1부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실제로서 실습오리엔테이션부터 실습 끝날 때까지 시간 순으로 준비서류 및 진행절차, 실습관련 중요사항을 실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제2부는 사회복지현장의 이해로서 실습에 임할 때 사회복지전공자가 알아야 하는 내용들로 구성하였다. 제3부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할 때 필요한 이론과 지식으로서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포절 작성, 사례관리 등을 포함하였다. 한편 부록에서는 사회복지사 자격증 신청서 서식,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서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신청서 양식 및 프로포절 사례를 소개하였다.
Contents
1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실제
1장 사회복지현장실습 오리엔테이션
2장 실습과정 및 종결
3장 실습생의 자세와 역할
4장 외국의 사회복지현장실습
2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이해
5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이해
6장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슈퍼비전
7장 사회복지실습현장과 임파워먼트
8장 사회복지현장실습 기관 및 시설의 이해
3부 사회복지현장실습관련 이론과 지식
9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0장 지역사회 욕구조사와 기관분석
11장 사례관리
12장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13장 사회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
Author
류미령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강동대학교 글로컬 사회복지학부 교수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강동대학교 글로컬 사회복지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