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상 오디세이

한국 사상의 흐름을 따라서
$9.72
SKU
97889590600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4/10/29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5906002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에서 저자는 단군신화부터 현대까지 이르는 그 긴 이야기들 중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대목을 선정하여 논의를 제기하였다.

첫째. 한국 사상의 큰 맥을 이루고 있고 우리의 생각을 지배해 온 신라의 화랑정신, 고려의 풍수도참설, 조선조 주자학의 이기론에 대하여 그 허구성과 사변성 등 잘못된 측면을 찾아보았다.

둘째. 조선조 후기에 나타난 실학사상과 나라의 개혁을 주장하며 평생 저작 활동에 몸 바쳤던 실학자들의 면모를 비교적 자세히 다루었다. 이들 실학자들은 당시 폐쇄적인 학문 풍토에서 나름으로 개혁적 지식인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후대 학자들에게 귀감이 되는 면모를 보여 준 선구자임이 분명하다.

셋째. 지도력에 대한 동서양, 고대, 현대의 사례들을 제시하고 이들의 지도 스타일과 의사 결정 유형 등을 비교해 보았다. 오늘의 정치 지도자는 성왕도 철인왕도 패왕도 될 수 없고, 도덕군자도 완벽한 인격자도 정치 9단도 별다른 의미가 없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은 이들 지도자에게 과도한 수준의 지도력을 요구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 시대에는 어떤 지도자의 모습이 필요한가? 저자는 오늘날 요구되는 지도자의 모습에 관해서도 논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역사가 흐르는 동안 사람들의 생활과 생각 속에 스며든 문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기본을 우선 가족주의라고 규정하고 그 이후의 변화와 포스트모던의 문화까지를 살펴보았다.

Contents
제1부 한국 사상의 원류를 찾아서
1. 단군은 존재하였는가
2. 화랑정신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2부 한국 불교의 발자취를 따라서
1. 미륵신앙은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가
2. 불교사상, 고해에서 극락까지
3. 우리나라 고유의 불교적 성격은 무엇인가
4. 고려 불교의 빛과 그림자

제3부 유학의 흐름을 밟아서
1. 유학의 대가 공자
2. 주자의 신유학
3. 우리나라의 주자학

제4부 우리에게 실학은 무엇인가
1. 실학은 어떤 학문인가
2. 경세치용의 선구자 이이
3. 실천하는 철학자 이지함
4. 이상향을 꿈꾼 허균
5. 실학을 체계화한 유형원
6. 경세치용의 학자 이익
7. 실학자면서 풍수가였던 이중환
8. 이용후생의 북학파 박지원
9. 서자 출신 실학의 대가 박제가
10.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

제5부 오늘날 우리 의식의 근본을 짚다
1. 시대의 흐름은 어떠했는가
2. 지도자의 모습을 논하다
3. 한국인의 의식은 어떠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