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마을과 행정 사이를 오가며 짱가가 들려주는 마을살이의 모든 것
$17.28
SKU
97889586274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12/03
Pages/Weight/Size 145*225*18mm
ISBN 9788958627401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마을’은 도시의 미래일 수 있을까?

도시에서도 마을이 가능할까? 관이 주도하는 마을이 마을일 수 있을까? 모두를 위한 마을은 환상이 아닐까? 우리 사회에서도 대안적 삶의 방식으로 마을이 주목받은지 꽤 오래되면서 한층 깊은 고민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근래 주민들의 자발적인 마을하기의 노력이 행정과 만나면서, 빠르게 확산되는 만큼 과연 정부가 나서는 마을정책이 괜찮을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이 책은 성미산마을에서 20년 가까이 마을살이를 했고, 현재는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센터장으로 있는 저자가 들려주는 마을살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에 대한 종합 보고서이다. 저자가 성미산마을에서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마을살이의 원리라고 할 만한 것들을 정리하고, 마을살이를 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과 매력을 가능한 한 망라하고 있다. 더불어 2012년 이후 3년 간 진행된 서울시 마을공동체정책의 수립과 실행의 과정을 섬세하게 기록함은 물론 이후 서울시 마을정책의 방향과 전망을 보여준다. 우리에게 마을이 대안일 수 있는지, 그렇다면 나는 어떻게 나설 것인지 찾아가고 싶은 이들에게 권한다.
Contents
프롤로그 2025년 서울, 어느 마을의 마을살이

1부 마을살이의 원리, 마을 형성의 동력
1장 왜 마을인가?
마을, 그 매력과 두려움
마을, 호혜적 생활 관계망│“아파트에서도 마을이 될까요?”│‘마을’ 만든다고 세상이 바뀌나?
아이와 여성이 안심하는 마을살이
노출과 개입의 관계망│살가운 이웃이 내 가족을 지킨다
복지 패러다임의 전환, ‘마을지향 복지’
복지 전달 체계의 문제│복지 수혜자에서 생활의 주체로

2장 주민이 열이면 마을도 열
마을살이, 하고 싶은 사람이 한다
하고 싶은 사람이 하기│알면 못했죠 vs. 초이성적 바보│누적적 플래닝과 경과적 실천
약한 연결망의 위력
강한 연결망의 피로│모인 사람 즐겁게, 안 온 사람 샘나게│맘 맞는 사람 vs. 뜻 맞는 사람
마을, 진화된 민주주의
마음만큼 형편대로│주민이 열이면 마을도 열
수용적 관계와 마을 창의론
진상총량불변의 법칙│‘바구니 토론’과 집단지성│마을 창의론

3장 예술로 마을하자
우린 마을에서 예술로 논다
일상의 연장이자 일상의 전복│마을동아리, “나도 하고 싶다”│마을극장 vs. 마을회관
경계와 소통, 놀이와 공감
술에서 수다로, 다시 예술로│커뮤니티 아트 유감│마을축제와 ‘두 달 작전’
스페이스 vs. 플레이스
동아리, 축제, 그리고 공간│구성되는 공간
마을 미디어와 아카이브
스스로 등장해서 서로를 연결한다│마을 아카이브,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4장 오래된 미래, 오래가는 마을
공유와 인정
공유 경제와 지속적인 마을살이│공유 경제와 인정 관계
백수론 시비(是非)
마을 노동은 저임금 착취 구조?
마을기업의 운영 원리
마을 고용과 일거리 시대│출자와 십시일반│‘까칠한 소비자’, 주인으로 초대하기│‘내부 거래’와 풀뿌리 확장

5장 마을살이의 주역들
마을에는 누가 있나?
마을살이의 주역, 아줌마│마을이 주목하는 30대 싱글│청년, 인공위성과 우주 정거장│마을의 아이들
주민의 ‘나서기’와 ‘설치는’ 주민
생활인으로 활동하기│활동가, 두 번의 실망과 ‘주민 되기’
풀뿌리 단체들의 성장통
풀뿌리 단체들의 위상과 역할│돌아볼 경험과 내다볼 안목

2부 시민사회의 미시적 재구성과 마을공공성
1장 행정 혁신과 협력적 거버넌스
관 주도와 ‘마을지향 행정’
마을정책, 기대와 우려│주민 주도형 정책과 행정 혁신
당사자주의와 보충성의 원리
나랏돈은 독일까 약일까?│지속가능성과 자발성
맞춤형 지원
‘마중물’ 지원│‘불쏘시개’ 지원│‘다지기’ 지원
마을지향 행정 ver1.0 공모제 개선
수시 공모제│깔때기 지원│패자부활전 지원 제도│포괄예산제도
용역업자 vs. 시정 참여자
마을사업지기, 능동적 시민성의 표상
?보충1 : 평가 시스템
협력적 거버넌스, 통역이 필요한 사이
협력적 거버넌스, 신뢰와 위험 감수
?보충2 : 민과 관의 역할 분담

2장 시민사회 재구성의 열쇠, 마을공공성
주민의 등장과 연결
주민의 등장과 문턱 낮추기│주민의 연결, 자랑질과 하소연
인큐베이팅 시스템
찾아가는 상담│대면 컨설팅과 자기주도평가
섬세한 손길과 예리한 눈
자치구생태계지원단│이제는 성장, 마을 씨앗과 지역 생태계 조성
보충3 : 왜 자치구 마을지원센터인가?
국가적 공공성에서 마을공공성으로
공공성의 위기와 마을공공성

3장 동네 관계망에서 지역사회 공론장으로
마을이 혁신이다!
마을은 혁신의 장소다
마을정책 1기의 성과
2012, 기대와 우려│2013, 등장과 연결│2014, 성장과 마을 생태계
마을정책 1기의 한계와 과제
사회적 공감과 확장성│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경제│‘행정 혁신’과 협력적 거버넌스│지역사회 생태계와 공론장
마을 생태계 조성과 융합적 지원 시스템
지역사회와 생태계│마을 단위 기획 지원│자생단 강화와 세 가지 융합
지역사회의 공공적 재구성
주민 주도 마을계획: 시민·주민 주도권│공공적 기획사업: 혁신적 해결 사례와 ‘제도화’ 전략│시민사회단체의 지역사회 접속│융합적 실천조직│민간의 강화와 거버넌스 재구성

4장 누구나 살고 싶은 마을의 미래
아이 함께 기르는 마을
돌봄+교육, 마을이 학교다│놀이로 크는 아이들│학교, 마을의 중심
안심하고 오래 살 수 있는 마을
물리적 주거재생│사회·경제적 주거재생│내 집 마련과 임대주택
동네 가게가 살아 있는 마을
골목경제, ‘단골의 경제학’│동네 자영업의 활로, ‘내부 거래망’│골목경제와 재래시장
세대가 어우러지는 마을
마을살이의 돌파구, 청년의 마을 접속│인생 후반전, 마을에서 ‘이모작’│세대가 어우러지는 마을│현대판 청년 브나로드 운동을

에필로그 마을, 마을살이, 마을하기
Author
유창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