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보전절차(가압류 & 가처분)와 민사집행

$37.80
SKU
97889582145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Fri 04/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9 - Fri 04/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20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88958214571
Categories 대학교재 > 법학계열
Description
제 1편 가압류 가처분에서는, 누구든지 보전처분을 응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엮었다. 가압류와 가처분을 구분하여 그 요건, 절차 및 효과 등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보전처분 등의 반대편에 있는 채무자가 가압류나 가처분으로부터 벗어나는 요령에 관련한 내용도 충분히 설명하였다. 이에 더하여 각 신청서 등의 사례를 폭넓게 실었고, 중요한 대법원판례도 충실히 반영하였다. 제2편 민사집행에서는, 악성 채무자들은 자기 소유의 재산을 감추어 두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채무자가 감추어 둔 재산을 찾는 절차인 ‘재산명시명령절차’,‘재산조회절차’ 및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절차’에 관하여 상세히 다루었다.
Contents
제1편 가압류, 가처분

제1장 가압류 20
제1절 가압류의 명령절차 20
1. 보전처분에 관한 이해 20
2. 가압류란? 21
3. 가압류의 요건 22
4. 가압류의 신청절차 26
5. 법원의 심리(審理) 및 재판 58
6. 가압류 결정에 대한 불복(不服) 64
7. 가압류결정의 취소 69
8.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한 효력정지 및 취소 81
9. 가압류신청의 취하 82
10. 제3자 진술최고신청 82
11. 압류할 수 없는 물건 84
12. 압류할 수 없는 채권 86
제2절 가압류의 집행절차 88
1. 가압류의 집행절차란? 88
2. 집행요건의 특칙 88
3. 가압류를 집행하는 방법 90
4. 집행의 효과 95
5. 가압류와 다른 절차의 경합 104
제3절 가압류집행의 취소 및 본압류로의 이전 107
1. 가압류집행의 취소 107
2. 본압류로의 이전 116
3. 압류할 수 없는 물건 121
4. 압류할 수 없는 채권 122
제2장 가처분 125
제1절 가처분의 명령절차 125
1. 가처분이란? 125
2. 가처분의 종류 및 요건 125
3. 가처분의 절차 140
4. 가처분재판에 대한 불복(不服) 162
제2절 가처분의 집행절차 179
1. 집행기간의 기산점(起算點) 179
2. 가처분명령의 집행 방법 180
3. 가처분명령을 집행한 효과 182
4. 가처분과 다른 절차와의 경합 182
제3절 부동산 관련 처분금지가처분집행의 효력 185
제4절 보전처분의 남용에 따른 불법행위책임 187
1. 보전처분의 남용이란? 187
2. 보전처분신청행위와 불법행위의 성립 188
3. 채무자의 손해 범위 191
제3장 부록 (부동산목록 및 각종 보전처분의 신청취지 작성례) 194
1. 부동산목록 작성례 194
2. 가압류 관련 각종 신청취지 작성례 196
3. 가처분 관련 각종 신청취지 작성례 199

제2편 민사집행


제1장 민사집행의 종류 208
제1절 민사집행이란? 208
제2절 민사집행의 종류 208
1. 집행권원(執行權原)에 따른 분류 208
2. 집행 대상에 의한 분류 209
3. 집행 방법에 의한 분류 209
제3절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 210
제4절 유치권 등에 의한 경매 210
제2장 민사집행의 주체 211
제1절 집행기관 211
1. 집행법원 211
2. 집행관 213
제2절 당사자 215
1. 당사자란? 215
2. 당사자능력과 소송능력 215
3. 당사자적격(當事者適格) 215
제3절 대리 221
제3장 민사집행의 객체(책임재산) 222
제1절 책임재산의 범위 222
1. 의의 222
2. 금전채권에 터 잡은 집행 대상 222
3. 특정물채권에 터 잡은 집행 대상 222
제2절 책임재산의 보전수단 223
1. 보전처분 223
2. 사해방지참가(소송상 독립당사자참가) 223
3. 재산명시명령 224
4. 채권자취소권 224
5. 채권자대위권 224
제3절 유한책임(有限責任)의 문제 225
제4절 압류금지재산 226

제3편 강제집행


제1장 강제집행의 요건 231
제1절 집행권원 231
1. 집행권원이란? 231
2. 집행권원의 종류 231
제2절 집행문(執行文) 237
1. 집행문이란? 237
2. 집행문의 종류 237
3. 집행문 부여절차 240
4. 집행문 부여 관련 다툼 248
제2장 강제집행의 절차 253
제1절 강제집행의 개시 253
1. 집행개시에 필요한 요건 253
2. 집행개시를 방해하는 문제 255
제2절 강제집행의 정지 및 취소 257
1. 강제집행의 정지 및 제한 257
2. 강제집행의 취소 및 일시 유지(留止) 259
3. 집행개시 후 채무자의 사망 259
제3절 담보의 제공·보증·공탁 260
1. 담보의 제공 260
2. 기타 보증금의 납부 263
3. 각종의 공탁 263
제4절 강제집행의 종료 및 집행비용 264
1. 강제집행의 종료 264
2. 강제집행의 비용 264
제3장 금전채권에 터 잡은 강제집행 267
제1절 채무자 소유 재산 찾기 267
1. 재산 찾기란? 267
2. 재산명시명령 268
3. 재산조회 276
4. 채무불이행자명부등재 282
제2절 부동산에 대한 집행 총설 287
1. 부동산집행 개관 287
2. 압류 288
제3절 부동산강제경매 290
1. 부동산경매에 있어서의 권리분석 290
2. 부동산경매 관련 기본 지식 293
3. 강제경매개시신청 304
4. 경매개시결정 및 매각준비절차 312
5. 매각기일·매각결정기일의 지정·공고·통지 323
6. 매각조건 324
7. 일괄매각 325
8. 매각의 실시 329
9. 매수대금의 지급 340
10. 매수대금 지급기한 후의 조치 341
11. 매각부동산의 관리명령 및 인도명령(引渡命令) 343
12. 매각대금의 배당 348
13. 배당이의의 소 362
14. 부동산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 369
15. 매수인에 대한 구제방법 370
16. 매각에 따른 등기기록의 정리 372
제4절 부동산 등에 대한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 375
1. 부동산 임의경매에 관한 이해 375
2. 임의경매의 신청 380
3. 일괄경매의 특칙 382
4. 피담보채권의 소멸과 매수인의 소유권 취득 관련 문제 383
5. 담보권실행에 대한 구제 384
6. 청구채권의 확장과 관련한 검토 387
7. 부동산 아닌 물건에 대한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 390
제5절 부동산 강제관리 391
1. 강제관리란? 391
2. 강제관리의 개시 392
3. 관리인 392
4. 배당절차 393
5. 관리인의 계산보고 및 이의신청 393
6. 강제관리의 정지·취소 394
제6절 준부동산에 대한 강제집행 395
1. 선박에 대한 강제집행 395
2. 자동차에 대한 강제집행 400
3. 건설기계에 대한 강제집행 410
4. 항공기에 대한 강제집행 410
제7절 유체동산에 대한 강제집행 410
1. 유체동산이란? 410
2. 유체동산의 압류절차 411
3. 현금화절차 420
4. 배당절차 423
제8절 채권에 대한 강제집행 428
1. 채권에 대한 강제집행이란? 428
2. 금전채권에 대한 집행 428
제4장 비금전채권에 터 잡은 강제집행 460
제1절 개관 460
제2절 물건의 인도집행(引渡執行) 461
1. 동산의 인도집행 461
2. 부동산의 인도집행 461
3. 제3자가 점유하는 물건의 인도집행 462
제3절 작위(作爲)·부작위(不作爲)·의사표시의 강제집행 463
1. 대체집행 463
2. 간접강제 467
3. 의사표시의무의 강제집행 469
제5장 위법·부당집행에 대한 구제 471
제1절 위법한 집행 471
1. 위법한 집행이란? 471
2. 즉시항고 471
3. 집행에 관한 이의 475
제2절 부당한 집행 476
1. 청구에 관한 이의의 소 476
2. 제3자이의의 소 484

서식색인


[가압류 집행 후 3년 도과에 따른 가압류취소신청서] 114
[가압류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서] 196
[가압류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서] 66
[가압류를 본압류로 이전하는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신청서] 118
[가압류신청 취하서] 196
[가압류신청진술서] 29
[가압류집행 해제신청서] 108, 197
[가압류취소신청서] 197
[가처분취소신청서] 200
[가처분신청 취하서] 199
[가처분집행 해제신청서] 199
[각종 가처분 신청취지 기재례] 155
[강제집행 정지명령신청서] 487
[건축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151
[구분건물] 195
[권리신고 및 배당요구 신청서] 353
[권리신고서] 315
[단독주택] 194
[담보권실행을 위한 부동산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서] 386
[담보제공에 따른 가압류취소신청서] 79
[대체집행비용 선지급결정 신청서] 466
[대체집행신청서] 464
[대표이사 직무집행정지 등 가처분신청서] 200
[문서열람·등사 가처분신청서] 201
[배당요구신청서] 351, 424
[배당이의의 소장] 365
[배당절차정지신청서] 367
[보조참가신청서] 198
[부동산 가등기가처분신청서] 201
[부동산 가압류신청서] 36
[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2
[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신청서] 145
[부동산 처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2
[부동산 처분금지 가처분신청서] 142
[부동산강제경매신청서] 309
[부동산인도명령신청서] 346
[부동산임의경매신청서] 380
[분실사유서] 247
[사정변경에 따른 가압류취소신청서] 77
[사정변경에 따른 가처분취소신청서] 177
[선박 점유이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3
[선박 처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3
[소송고지신청서] 448
[소제기증명원] 368
[승계집행문부여신청서] 244
[압류이유 소멸에 따른 가압류취소신청서] 112
[영업금지 가처분신청서] 148
[유체동산 강제경매신청서] 412
[유체동산가압류신청서] 33
[임시주주총회결의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5
[임시주주총회소집정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5
[자동차 가압류신청서] 42
[자동차 목록] 406
[자동차 점유이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4
[자동차 처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4
[자동차강제경매신청서] 405
[자동차인도명령 야간 및 휴일 집행허가신청서] 409
[자동차인도명령신청서] 407
[재산명시명령신청서] 269
[저당권 처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6
[제3자 이의의 소장] 486
[제3자 진술최고신청서] 83
[제3채무자의 공탁사유신고서] 434
[제소기간 도과에 따른 가압류취소신청서-사례] 72
[제소명령 불이행에 따른 가처분취소신청서] 175
[제소명령신청서] 70
[주주총회결의 효력정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5
[질권 처분금지 가처분명령신청서] 206
[집행문 여러 통 부여신청서] 245
[집행문 재도부여신청서] 246
[집행문부여신청서] 242
[집행문부여에 대한 이의신청서] 249
[채권 가압류신청서] 39
[채권가압류집행 취소신청서] 198
[채권계산서] 352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신청서] 454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신청서] 440
[채권자의 각종 채권 표시방법] 53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신청서] 286
[청구이의의 소장] 482
[추심신고서] 444
[추심의 소장] 446
[토지] 195
[해방금공탁에 따른 가압류취소신청서] 110
Author
장인태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세법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조세법) 수료, 미국 Seton Hall Law School 장기연수, 미국 UC Berkeley Law School, International Litigation and Corporate Finance Course(ILCFC)수료, Information Privacy and Security Law Course(IPSL)수료, 사법연수원 제23기 수료.

서울방송(SBS) 법률자문위원, TV ‘대단한 법정’ 진행, 교통방송(TBS) ‘교통백과’ 진행, 서울방송(SBS) 프로덕션, 한국토지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고문변호사, 정보통신부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조정위원, 재정경제부 국세심판원 심판관(비상임), 국무총리 조세심판원 심판관(비상임),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위원, 한국콘테츠진흥원 자문위원, 광운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겸임)

주요저서는 『교통사고처리 이렇게 쉬울 수가』, 『판례로 풀어보는 나홀로 이혼소송』, 『나홀로 부동산 경매박사 Ⅰ,Ⅱ』, 『쉽게 풀자 신용카드 법률분쟁』, 『교통사고 법률천국』, 『상가·아파트 분쟁과 소송』, 조세판례백선(공동집필)』, 『이혼소송 재산분할』, 『유치권 이론과 실무』, 『이론과 실제-계약실무 총람』(공편) (법률출판사, 2017)이 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세법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조세법) 수료, 미국 Seton Hall Law School 장기연수, 미국 UC Berkeley Law School, International Litigation and Corporate Finance Course(ILCFC)수료, Information Privacy and Security Law Course(IPSL)수료, 사법연수원 제23기 수료.

서울방송(SBS) 법률자문위원, TV ‘대단한 법정’ 진행, 교통방송(TBS) ‘교통백과’ 진행, 서울방송(SBS) 프로덕션, 한국토지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고문변호사, 정보통신부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조정위원, 재정경제부 국세심판원 심판관(비상임), 국무총리 조세심판원 심판관(비상임),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위원, 한국콘테츠진흥원 자문위원, 광운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겸임)

주요저서는 『교통사고처리 이렇게 쉬울 수가』, 『판례로 풀어보는 나홀로 이혼소송』, 『나홀로 부동산 경매박사 Ⅰ,Ⅱ』, 『쉽게 풀자 신용카드 법률분쟁』, 『교통사고 법률천국』, 『상가·아파트 분쟁과 소송』, 조세판례백선(공동집필)』, 『이혼소송 재산분할』, 『유치권 이론과 실무』, 『이론과 실제-계약실무 총람』(공편) (법률출판사, 2017)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