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학개론

$27.00
SKU
978895821423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20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88958214236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PIA 탐정, 민간조사 분야는 선진국에서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유망 전문직이지만 OECD 국가 중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민간조사(탐정) 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국가였다. 하지만, 최근 정부에서 민간조사원을 신직업 지원 육성 업종으로 지정하여 활성화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정부의 신직업 육성에 발맞춰 관련 전문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활동 영역 또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2020년 8월부터 신용정보법 일부 개정으로 탐정이라는 명칭의 사용과 탐정업의 영리 활동이 가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탐정업 관련 법률이 법제화가 되지 않은 까닭에, 국내에서 실제 활동하는 탐정인원이 8,000명 정도에 이르고, 또 탐정업을 준비 중인 일반시민 및 학생들이 다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관리감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교육도 없기 때문에 자칫 형법이나 변호사법 등 현행 법규위반 행위로 불법성이 우려되고 있어 탐정활동 및 탐정업무에 대한 실무체계를 갖출 수 있는 전문 이론서의 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현재 무분별하게 양산되고 있는 탐정사 자격을 올바르게 정립하고 탐정사(업)가 현행 법률의 범위 내에서 적법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향후 국회에 입법 계류 중인 공인탐정법에 대비함은 물론 탐정활동에 관한 실무지침을 제시하고자, 탐정에 관한 일반 이론 및 실무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아 총 3편으로 구성하였는데, 제1편 탐정학 일반에서는 탐정에 관한 역사적 배경 및 이론 그리고 외국법제 등의 일반론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였고, 제2편 증거수집론에서는 탐정활동 및 조사의 기초가 되는 조사나 정보수집 그리고 관찰 등 실무적인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제3편 전문분야와 탐정에서는 탐정의 업무분야를 세분화하고 각 분야에서의 탐정의 역할과 탐정활동 기법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탐정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나 현직 탐정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탐정활동의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기를 바라고, 혹 부족하거나 미흡점에 대하여는 독자 분들의 지도편달을 바라며, 계속 판을 거듭하면서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Contents
■ 머리말 _ 3

PART 01
탐정학 일반 _ 29


Chapter 01 탐정의 역할과 업무 31
제1절 개 념 31
1. 탐정제도의 도입 및 법적성격 등 31
가. 탐정제도의 도입 31
나. 법적성격 32
2. 탐정의 법제화 모델 및 관련 법규의 연혁 등 35
가. 탐정의 법제화 모델 35
나. 역대 국회 법률안 발의 현황 36
다. 탐정관련 법규의 연혁 36
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39
3. 탐정의 개념 정의 41
가. 탐정의 정의 등 41
나. 탐정의 업무 48
제2절 탐정의 기원 및 변천과정 57
1. 탐정제도의 기원 57
2. 주요 국가 탐정제도의 기원 등 58
가. 미국 58
나. 영국 60
다. 프랑스 60
라. 일본 61

Chapter 02 탐정활동과 주요 법적쟁점 63
제1절 탐정활동 관련 핵심 법률 64
1. 헌법상 쟁점 64
가. 개념 64
나. 문제의 소재 65
다. 탐정사 甲의 불법행위 성립 및 丙의 기본권 침해 여부 65
라. 소결 66
2. 형사상 쟁점 67
가. 주거침입의 죄 68
나. 절도죄 76
다. 상해죄 82
라. 폭행죄 86
마. 체포와 감금죄 89
바. 재물손괴죄 93
사. 비밀침해죄 98
아. 자동차 등 수색죄 101
3. 민사상 쟁점 103
가. 개관 103
나. 문제의 소재 104
다. 불법행위 및 손해배상 105
제2절 그 외 주요 탐정관련법 109
1. 통신비밀보호법 109
가. 개관 등 109
나. 도청과 감청의 비교 110
다. 문제의 소재 110
라. 타인간의 대화비밀 보호 및 위반시 효력 110
마. 소결 113
2. 개인정보보호법 113
가. 목적 등 113
나. 문제의 소재 116
다.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등 116
라. 위반시 처벌 118
마. 소결 118
3. 위치정보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118
가. 목적 118
나. 손해배상의 가능성 120
다. 문제의 소재 120
라. 위치정보의 수집 등 금지 120
마. 위반시 처벌 121
바. 소결 121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121
가. 목적 121
나. 문제의 소재 122
다. 정보통신망 침해행위 등의 금지 122
라. 위반시 처벌 123
마. 소결 123
5. 변호사법 124
가. 변호사제도의 취지 124
나. 문제의 소재 125
다. 비변호인의 소송사건 알선의 법적 문제 125
라. 변호사법 위반의 범위 126
마. 소결 126

Chapter 03 외국의 탐정제도 현황 127
제1절 미 국 128
1. 탐정제도 운용 및 업무범위 128
가. 탐정제도 운용 128
나. 업무범위 130
2. 관리·감독 기관 132
3. 자격요건 133
4. 교육훈련 135
가. 펜실베이니아 주(州) 135
나. 캘리포니아 주(州) 137
제2절 영 국 138
1. 탐정운용 현황 및 업무법위 138
가. 탐정운용 현황 138
나. 업무범위 139
2. 관리감독기관 140
3. 자격요건 등 141
가. 자격요건 141
나. 면허 141
4. 교육훈련 141
가. 전문조사과정 142
나. 10일 과정의 감시과정 142
제3절 일 본 143
1. 탐정운용 현황 및 업무범위 143
가. 탐정운용 현황 143
나. 탐정의 업무범위 145
2. 관리감독기관 147
3. 자격요건 등 147
가. 자격요건 147
나. 면허 148
4. 교육훈련 148
제4절 호 주 149
1. 탐정운용 현황 및 업무범위 149
가. 탐정운용 현황 149
나. 탐정의 업무범위 149
2. 관리감독 기관 150
3. 자격요건 등 151
가. 자격요건 151
나. 면허 152
4. 교육훈련 152

Chapter 04 탐정업법 제정의 필요성과 법제화 방향 155
제1절 탐정제도에 대한 필요성 155
1. 외국의 공인탐정 등의 활동 현황 및 향후 전망 155
가. 외국의 공인탐정 등의 활동 현황 155
나. 향후 전망 156
2. 시대적 배경 및 관련 법령과 헌법재판소의 태도 157
가. 시대적 배경 157
나. 탐정업 관련 법령 및 헌법재판소의 태도 158
3. 탐정제도 도입의 필요성 162
가. 도입반대의 견해 162
나. 탐정제도 도입의 필요성 162
제2절 탐정제도의 법제화를 위한 입법 경과 및 쟁점 169
1. 국회입법 발의 현황 169
2. 탐정업법 제정을 위한 입법경과 172
가. 제15대~16대 국회 172
나. 제17대 국회 172
다. 제18대 국회 176
라. 제19대 국회 180
마. 제20대 국회 183
바. 제21대 국회 185
제3절 탐정제도의 입법방향 198
1. 서 론 198
2. 입법방향 199
가. 탐정의 자격 : 신고제 또는 등록제 199
3. 탐정의 업무범위 명확화 200
4. 탐정업의 관리와 감독기관 202
5. 탐정의 자격요건 및 결격 사유 204
가. 자격요건 204
나. 결격사유 206

Chapter 05 탐정과 직업윤리 209
제1절 직업윤리의 개념 209
1. 직업윤리의 개념 및 필요성 209
가. 직업윤리의 개념 209
나. 직업윤리의 필요성 210
2. 탐정의 직업윤리 210
가. 탐정의 직업윤리 필요성 210
나. 탐정윤리의 주요내용 212
다. 직업윤리 현황 215
라. 소결 217
제2절 외국 탐정의 직업윤리 218
1. 호주 218
가. 서론 218
나. 윤리강령 : 호주 빅토리아(Victoria)주의 탐정협회 218
2. 미국 219
가. 서론 219
나. 윤리강령 219
3. 영국 221
가. 서론 221
나. 윤리강령 221
4. 일본 222
가. 서론 222
나. 윤리강령 222
5. 시사점 223
제3절 탐정의 윤리문제 해결방법 223
1. 사생활침해 225
2. 형법에 대한 이해부족 225
3. 윤리적 의사 결정에 대한 교육 부족 226

Chapter 06 탐정업과 인권 227
제1절 탐정업과 인권 227
1. 인권일반론 227
가. 인권의 개념 227
나. 인권의 제한 228
2. 탐정과 인권 229
가. 탐정 등 민간조사기관의 불법행위 유형 229
나. 탐정과 인권 230

PART 02
증거수집론 _ 233


Chapter 07 소송절차를 통한 사실조사 및 증거수집 235
제1절 증거신청 235
1. 증거신청의 개념 235
2. 적시제출주의 235
3. 증거신청의 유형 236
가. 증인 236
나. 서증 237
다. 사실조회신청 238
라. 금융거래정보조회신청 239
마. 기타 신청 240
바. 그 밖의 증거신청 243
제2절 증거보전신청 244
1. 의 의 244
2. 증거보전요건 245
가. 대 상 245
나. 미리 조사하지 아니하면 증거를 사용하기 곤란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 245
3. 증거보전의 절차 245
가. 신 청 245
나. 관할법원 246
다. 법원의 결정 246
라. 증거조사의 시행 246
4. 증거보전의 효력 246

Chapter 08 정보수집론 247
제1절 탐정의 기본적인 소양 247
1. 탐정이 갖추어야 할 소양 247
가. 객관성(objectivity) 247
나. 논리성(logic) 248
다. 인내와 부지런함(perseverance and deligence) 248
라. 인간관계기술(human relations skills) 248
2. 탐정의 조사활동 시 필요한 조건 248
제2절 정보수집의 기초 249
1. 정보의 개념 249
2. 정보개념의 구성요소 및 기본적 특성 250
가. 정보개념의 구성요소 250
나. 기본적 특성 251
제3절 정보의 가치에 대한 평가기준 253
1. 정보의 가치 253
2. 평가요소 254
제4절 탐정의 정보수집 256
1. 공개여부에 의한 분류 256
가. 공개된 정보 256
나. 비공개정보 257
2. 정보의 신빙성 판단 257

Chapter 09 탐정의 탐문기법 259
제1절 탐문조사의 개념 등 259
1. 탐문조사 259
2. 범죄정보의 특징 및 탐문조사의 성격 260
가. 범죄정보의 특징 260
나. 탐문조사 성격 - 비권력적 사실조사행위, 주관적 가치판단 지배영역 261
3. 탐문조사의 방법 등 261
가. 탐문조사의 방법 261
나. 질문방법 263
제2절 탐문조사의 준비 265
1. 예비조사 265
2. 탐문의 목적과 방향의 설정 266
3. 탐문대상자의 선정 266
4. 탐문 실행계획의 수립 266
가. 탐문의 요점 확정 266
나. 탐문의 시간과 장소 선정 266
제3절 탐문활동 및 탐문조사 시 유의사항 267
1. 일반적 유의사항 267
가. 상대방을 읽는 관찰력 및 판단력 함양 267
나. 정보출처의 근원 확인 267
다. 연쇄적 탐문실시 267
라. 상대방의 사정 활용 267
마. 탐문내용의 가치판단 268
2. 탐문조사 시 자세와 면담요령 등 268
가. 면담요령 268
나. 청취방법 268
제4절 탐문조사의 종결과 보고서 작성 269
1. 보고서의 구성요소(보고서의 평가) 269
2. 보고서 작성의 5단계 270
가. 계획 270
나. 조직화 270
다. 작성 270
라. 평가 270
마. 교정 270

Chapter 10 탐정의 가장과 변장 271
제1절 가장(假裝)기법 271
1. 가장의 의의 271
2. 가장의 유형 271
가. 장기가장(長期假裝) 271
나. 단기가장(短期假裝) 272
다. 예비가장(豫費假裝) 272
3. 가장계획 272
제2절 탐정의 변장 273
1. 개 념 273
2. 변장기법 274
가. 의복이나 소품에 의한 변장 274
나. 모발의 변장 274
다. 안경에 의한 변장 275

Chapter 11 촬영기법 277
제1절 촬영기법의 의의 277
제2절 촬영행위 등의 초상권 침해여부 277
제3절 탐정의 촬영기법 278
1. 감시촬영 시 일반적 요령 278
가. 감시촬영의 유의사항 278
나. 촬영기법 278
2. 미행시 촬영방법 279

Chapter 12 탐정의 감시·잠복·미행기법 281
제1절 감시(surveillance)기법 281
1. 감시의 개념 등 281
가. 개념 281
나. 주의점 282
2. 감시의 목적 282
가. 목적 282
나. 기타 감시목적의 유형 282
3. 감시기법 283
가. 도보감시 283
나. 차량감시 285
4. 감시보고서 작성 288
가. 감시보고서의 의의 288
나. 감시보고서 작성방법 288
제2절 잠복기법 289
1. 잠복의 의의 289
2. 잠복의 유형 290
가. 내부잠복 290
나. 외부잠복 291
제3절 미행기법 292
1. 미행의 개념 292
2. 미행의 유형 292
3. 미행기법 293
가. 사전준비 사항 293
나. 도보미행 293
나. 차량미행 296

Chapter 13 알리바이 조사 299
제1절 알리바이의 개념 및 목적 299
1. 알리바이(alibi)의 개념 299
가. 개념 299
나. 목적 299
2. 알리바이의 종류 300
가. 절대적 알리바이 300
나. 상대적 알리바이 300
다. 위장 알리바이 300
라. 청탁 알리바이 300
제2절 알리바이의 특징 및 조사요령 301
1. 알리바이의 특징 301
2. 알리바이 조사기법 301
Author
김동근
법학박사/행정사. 숭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법학사), 숭실대학교 법학대학원(법학박사) 졸업.
현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중앙법률사무교육원 교수, 공인행정사협회 부설 공인행정심판학회 학회장, 공인행정사협회 법제위원회 법제위원장, 공인행정사협회 행정심판전문가 과정 전임교수, 한국법무보호학회 이사, 내외일보 논설위원, YMCA 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연구원.
전 서울시장후보 법률특보단장, 대한부동산학회 이사.
법학박사/행정사. 숭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법학사), 숭실대학교 법학대학원(법학박사) 졸업.
현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중앙법률사무교육원 교수, 공인행정사협회 부설 공인행정심판학회 학회장, 공인행정사협회 법제위원회 법제위원장, 공인행정사협회 행정심판전문가 과정 전임교수, 한국법무보호학회 이사, 내외일보 논설위원, YMCA 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연구원.
전 서울시장후보 법률특보단장, 대한부동산학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