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개정판은 2020. 11. 1. 시행 주택임대차보호법,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일부개정안을 반영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금 번 개정안은 주택시장의 불안정 속에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이 빨라지고 주택 임대료가 상승함에 따라 임차가구의 주거 불안과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나, 현행법으로는 안정적인 주거를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아니하다는 지적이 있음에 따라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을 보장하여 현행 2년에서 4년으로 임대차 보장기간을 연장하고, 계약갱신 시 차임이나 보증금의 증액청구는 약정한 차임이나 보증금의 20분의 1의 금액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려는 목적이다. 따라서 본 개정판은 일부 개정되거나 신설된 각각의 법률을 모두 반영하고 관련 규정에 대한 설명을 부가함으로써 독자들이 개정법률 사항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리되었다.
Contents
제1편 임대차 서론
제1장 임대차의 의의 및 성질 26
1. 의 의 26
2. 강행규정성 26
3. 부동산임차권의 물권화 27
4. 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의 특례 27
제2장 임대차의 효력 28
제1절 임대차의 존속기간 28
1. 존속기간의 약정이 있는 경우 28
2. 존속기간의 약정이 없는 경우 29
3. 임대차의 갱신 29
제2절 임대인의 의무 31
1. 목적물인도의무 및 방해제거의무 31
2. 수선의무 31
3. 담보책임 33
4. 보호의무 33
제3절 임차인의 권리 34
1. 임차물의 사용수익권 34
2. 임차권의 대항력 34
3. 비용상환청구권 39
4. 건물 기타 공작물 임차인의 부속물매수청구권 40
5. 토지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42
제4절 임차인의 의무 50
1. 차임지급의무 50
2. 임차물보관의무와 통지의무 54
3. 임차목적물 수선에 대한 인용의무 56
제5절 임차권의 양도와 전대 57
1. 양도와 전대의 비교 57
2. 적법한 임차권양도의 법률관계 59
3. 무단양도의 법률관계 59
4. 적법한 전대차의 법률관계 61
5. 무단전대의 법률관계(무단양도와 기본적으로 동일) 63
제3장 임대차의 종료 65
1. 임대차의 종료 원인 65
2. 임대차계약의 해지 방법 67
3. 임대차 종료의 효과 67
제4장 임대차 보증금 72
1. 개 설 72
2. 보증금의 반환 73
3. 부동산소유권의 이전과 보증금반환청구권의 승계 74
제2편 주택임대차보호법
제1장 서설 78
제2장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범위 80
제1절 개요 80
제2절 적용계약 81
1. 개 요 81
2. 임대차계약 82
제3절 주거용 건물 88
1. 주거용 건물 여부의 판단 기준 88
제3장 대 항 력 93
제1절 서설 93
제2절 대항력의 성립요건 93
1. 개 요 93
2. 주택의 인도 94
3. 주민등록 95
4. 공부상 주소 표시와 주민등록의 불일치 99
제3절 대항력의 발생시기 106
1. 개 요 106
2. ‘다음날’의 의미 106
3. 주민등록의 시기 107
4. 주민등록의 정정과 대항력의 발생시기 107
제4절 대항력의 존속요건 110
1. 개 요 110
2. 점유의 계속 111
3. 주민등록의 존속 111
제5절 대항력의 내용 113
1. 개 요 113
2. 대항력 발생 이후의 신 소유자에 대한 대항력의 내용 114
3. 종전 임대인의 지위 115
제6절 대항력이 미치는 인적 범위 119
1. 개 요 119
2. 양수인 - 유형별 고찰 119
3. 부동산양도계약 해제로 소유권을 회복한 종전 소유자 141
4. 용익물권 또는 다른 임차권 취득자 142
5. 명의신탁의 경우 142
제4장 보증금의 우선변제권 144
제1절 서설 144
제2절 우선변제권의 요건 144
1. 개 요 144
2. 임차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 144
3. 확정일자 145
4. 임차주택이 경매 또는 체납처분에 의하여 매각되었을 것 151
5. 배당요구 또는 우선권행사의 신고를 하였을 것 152
제3절 우선변제권의 행사 기준시기 157
1. 우선변제권의 배당순위 157
2. 다른 권리와의 순위비교 시 기준일 157
3.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들이 소액임차인의 지위를 겸한 경우 159
4. 임대차계약이 갱신된 경우 및 보증금을 인상한 경우의 순위기산일 159
5. 다세대주택(공동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서상 동?호수 표시가 누락된 경우 159
제4절 우선변제권의 행사와 대항력 주장 161
1. 겸유?선택적 행사?순차 행사 가능 161
2. 갱신된 임대차와 우선변제권 행사 161
3. 결 론 161
제5장 최우선변제권 (소액보증금의 임차인) 163
제1절 서설 - 소액보증금의 범위 163
1. 소액임차인 163
2. 보증금 중 최우선변제금액 165
3.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금액 정리 - 보증금 중 일정액 보호 168
4. 주택임대차위원회 172
제2절 최우선변제권 행사의 요건 176
1. 주임법 제3조 제1항의 행사의 요건 176
2. 임차주택이 경매 또는 체납처분에 의하여 매각되었을 것 177
3. 배당요구 또는 우선권행사를 신고를 하였을 것 177
4. 주택의 인도 178
5. 임대차의 종료는 요건이 아님 179
제3절 최우선변제권과 매수인과의 관계 181
1.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는 경우 181
2.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경우 181
제4절 확정일자를 갖춘 소액임차인 182
제6장 임대차의 공시 185
제1절 임차권등기명령제도 185
1. 의의 및 목적 185
2. 요 건 186
3. 절차(제1항 내지 제3항) 188
4. 신청인 189
5. 피신청인 191
6. 임차권등기명령의 대상이 되는 주택의 범위 191
7. 항고와 이의 194
8. 효과(제5항) 195
9. 등기 후 전입한 소액임차인의 지위(제6항) 199
10. 등기된 임차권등기명령권자의 배당순위 199
11. 경매절차에서의 지위 199
제2절 민법에 의한 주택임대차등기 200
제7장 임대차 관련 기타 쟁점 202
제1절 존속기간 202
1. 임대차기간 202
2. 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 206
제2절 계약의 갱신 206
1. 계약갱신요구기간 및 갱신기간 206
2. 계약갱신요구권행사 기회 및 갱신기간 206
3. 묵시적갱신의 경우 계약의 해지 207
4. 갱신거부 및 손해배상 사유 208
5. 4년 이상 임차인의 갱신요구권 212
6. 1년 계약 후 2년 거주의 가부 212
제3절 차임 등의 증감청구 213
1. 전월세 상한제 213
2. 차임등의 증감청구권 214
제4절 당사자지위의 승계 217
1. 서 설 217
2. 임대인지위의 승계 217
3. 임차인지위의 승계 218
제5절 임차주택에 관하여 경매가 진행되는 때 219
제6절 임차보증금의 월차임 전환(주임법 제7조의2) 220
제7절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220
1. 규정의 신설 221
2. 주요내용 221
3. 조정위원회 구성 및 조정절차 등 222
제8절 주택임대차와 일반임대차의 차이 235
제3편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장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목적 등 238
1. 목 적 238
2. 2015. 5. 13. 개정 238
3. 2018. 10. 16. 일부개정 239
4. 2020. 7. 31. 일부개정 240
제2장 적용범위 242
제1절 서설 242
제2절 적용범위 - 요건 245
1. 상가건물에 대한 임대차 246
2. 일정액의 보증금 248
3. 일정액의 보증금을 초과하는 경우 251
4. 기 타 254
5. 주택임대차보호법 및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범위의 상충 256
제3장 대항력 257
제1절 서설 257
제2절 대항력의 성립요건 257
1. 개 요 257
2. 상가건물의 인도 258
3. 사업자등록 259
제3절 대항력의 발생과 존속 266
1. 발생시기 266
2. 대항력의 내용과 범위 266
3. 대항력의 존속 267
제4장 보증금의 회수 269
제1절 서설 269
제2절 우선변제권 269
1. 서 설 269
2. 우선변제권 행사의 요건 269
제3절 소액보증금의 최우선변제권 273
1. 서 설 273
2.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의 범위 273
3. 우선변제를 받을 보증금의 범위 273
4. 개정별 정리 276
제4절 임차인의 경매신청 278
1. 소액사건심판법의 준용 278
2. 집행개시요건의 특례 278
제5장 임대차의 공시 279
제1절 임차권등기명령제도 279
1. 의 의 279
2. 요 건 279
3. 효 과 280
제2절 민법에 의한 임대차등기 282
제6장 임대차기간 283
1. 개 요 283
2. 법정갱신 286
3. 계약갱신요구권 286
4. 계약갱신요구 등에 관한 임시 특례 290
제7장 권리금 292
제1절 상가권리금의 규정 292
1. 상가권리금에 대한 보호대책 추진 이유 292
2. 피해규모 및 구체적 사례 292
3. 우리나라의 상가권리금 시장규모 293
4. 임대인에게 의무부과 등을 할 수 있는 근거 293
5. 권리금보호에 대한 외국 사례 294
6. 기대효과 295
제2절 권리금의 정의 등 295
1. 권리금 295
2. 권리금 계약 302
제3절 권리금 회수기회의 보호 307
1. 원 칙 307
2. 예 외 310
3. 위반시의 효과 314
제4절 적용제외 316
1. 대규모점포 또는 준대규모점포의 일부인 경우 316
2. 국유재산 또는 공유재산인 경우 318
3.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전통시장 320
제5절 권리금회수 기타 321
1. 건물 경매시 권리금회수 321
2. 차임연체시 권리금 보호 321
3. 임대인이 신규임차인에 대한 권리금요구 가능성 321
4. 영업용 건물의 임대차에 수반하여 지급되는 권리금계약의 취소 322
제6절 표준권리금계약서 작성 등 323
1. 도입취지 323
2. ?상가건물임대차 표준계약서?의 주요 내용 323
제8장 상가건물 임대차 관련 기타 쟁점 329
1. 차임증감청구권 329
2.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 제한 333
3. 차임의 연체와 해지 335
4. 상가건물 임대차의 종료 337
5. 상가건물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341
6.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서상의 확정일자 부여 및 임대차 정보제공 343
제9장 주택임대차보호법과의 비교(시행령 포함) 358
제4편 임대차 관련 분쟁 정리
제1장 개요 360
제2장 계약 360
제1절 서설 360
제2절 주택임대차계약 시 유의사항 361
1. 계약 시 준비사항 361
2. 임대차건물의 권리분석 361
3. 계약 시 확인사항 362
4. 계약 직전 확인사항 362
5. 계 약 362
6. 중도금 363
7. 잔금처리 363
8. 임대차 대항력 구비 조치 :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기 위한 대항력 구비요건을 신속하게 준비할 것 363
제3절 임대차목적물에 따른 계약서 366
1. 동 산 366
2. 건 물 382
3. 토 지 390
4. 상 가 396
5. 기 타 409
제3장 내용증명 414
제1절 의의 414
제2절 작성방법 414
제3절 발송방법 415
제4절 사례별 예시 416
I. 계약 계속 중 416
1. 계약 계속 중 임차목적물의 수리 등 요구 416
2. 임대료 등 독촉 421
3. 차임증감청구 423
4. 전대 등 425
5. 계약내용의 변경 등 426
II. 계약의 종료 431
1. 계약종료의 통지 431
2. 계약종료에 따른 보증금반환청구 439
3. 부속물매수청구 등 447
4. 계약종료에 따른 임차목적물반환청구 449
5. 계약종료에 따른 원상회복청구 452
제4장 소송 454
제1절 서설 454
제2절 보전처분(가압류 또는 가처분) 454
I. 보전처분의 개념 454
II. 유형별 접수방법 및 유의사항 455
1. 부동산가압류신청서(민집법 제276조) 455
2. 채권가압류신청서(민집법 제276조) 470
3. 전세권처분금지 가처분신청서(민집법 제300조) 476
4. 부동산점유이전금지 가처분신청서 482
제3절 지급명령신청 또는 조정신청 492
I. 지급명령신청 492
1. 개 념 492
2. 관할법원 492
3. 불복방법 493
4. 지급명령과 집행(민사집행법 제58조) 493
5. 서 식 494
II. 조정신청 500
1. 개 념 500
2. 관할법원 501
3. 접수방법 501
4. 조정이의신청서 501
5. 서 식 502
제4절 임대차 관련 분쟁해결 507
제1항 서설 507
제2항 소장 - 유형별 분류 507
I. 임대차보증금반환청구의 소 507
1. 개 념 507
2. 청구취지, 청구원인 및 요건사실 508
3. 접수방법 509
4. 서 식 510
II. 건물명도청구의 소 547
1. 개 념 547
2. 청구취지, 청구원인 및 요건사실 547
3. 접수방법 548
4. 서 식 548
III. 권리금반환청구의 소 563
1. 개 념 563
2. 접수방법 563
3. 서 식 564
제3항 답변서 - 유형별 분류 572
I. 임대차보증금반환청구의 소에 대한 답변 572
1. 항변 등 572
2. 서 식 573
II. 건물명도청구의 소에 대한 답변 579
1. 항변 등 579
2. 서 식 579
III. 기타 청구에 대한 답변 616
1. 서 식 616
제4항 준비서면 632
1. 서 설 632
2. 서 식 632
제5절 제소전화해 640
1. 개 념 640
2. 제소전화해의 효력 640
?3. 접수방법 641
4. 준재심 642
5. 서 식 643
제6절 임차권등기명령신청 650
1. 서 설 650
2. 접수방법 651
3. 말소절차 651
4. 서 식 652
Author
김동근,정동근
숭실대학교 법학과 졸업
숭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현,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중앙법률사무교육원 교수, 행정사, 공인행정사협회 법제이사(가사이혼소송전담)
YMCA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시민문화학회 이사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이사
내외일보?내외경제신문 논설위원
가나안 가사소송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