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모든 행동에 대해서 무엇이 올바른 행동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이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을 레이첼즈는 어느 한 쪽의 주장에 쏠리지 않으면서 다양한 주제와 광범위한 쟁점을 자신만의 사고체계에 따라 설명한다.
인간의 행위 기준에 대해 고민하면서 저자가 주요 해결책으로 선택한 철학의 분야가 왜 도덕철학 또는 윤리학이었는지는, '우리가 인간 행위나 태도의 옳고 그름에 관한 판단을 내릴 때 기준으로 사용하는 도덕적 실체들인 가치, 혹은 규칙이나 원칙의 존재근거는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이 우선되어야만 이를 토대로 실제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 가능한 바람직안 윤리이론 체계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 이다.
그래서 이 책은 도덕성의 최소 개념, 문화상대주의, 관습, 윤리적 주관주의, 종교에 따른 신명론, 심리적 이기주의, 윤리적 이기주의, 공리주의, 인간 존중 사상 등을 각각의 쟁점에 가장 알맞은 사례와 그 논증 방식에 따라 설명하면서 합당한 결론에 이르게 하고 있다.
Contents
제1부 도덕과 도덕철학
1. 도덕이란 무엇인가?
1.1. 정의의 문제
1.2. 첫 번째 사례: 아기 테레사
1.3. 두 번째 사례: 조디와 메리
1.4. 세 번째 사례: 트레이시 라티머
1.5. 이성과 공정성
1.6. 도덕성의 최소 개념
제1부 해설 도덕과 도덕철학의 기초이론
제2부 메타윤리학의 이론들
2. 문화 상대주의의 도전
2.1. 서로 다른 문화는 서로 다른 도덕률을 갖고 있다
2.2. 문화 상대주의
2.3. 문화 차이성 논증
2.4. 문화 상대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였을 때의 결과
2.5. 왜 실제 가치 기준의 차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보다 적은가?
2.6. 든 문화에는 공통적인 가치 기준이 있다
2.7. 어떤 사회의 관습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
2.8. 문화 상대주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3. 윤리학에서의 주관주의
3.1. 윤리적 주관주의의 기본개념
3.2. 윤리적 주관주의의 발전과정
3.3. 첫 번째 단계: 단순 주관주의
3.4. 두 번째 단계: 정서주의
3.5. 도덕적 사실이란 과연 존재하는 것인가?
3.6. 윤리학은 증멸될 수 있는가?
3.7. 동성애의 문제
4. 도덕은 종교에서 나온 것인가?
4.1. 도덕과 종교 간의 추정된 관계
4.2. 신명론
4.3. 자연법 사상
4.4. 종교와 특정 도덕적 쟁점들
제2부 해설: 도덕적인 것의 의미와 정당화
제3부: 규범윤리학 이론들
5. 심리적 이기주의
5.1. 이간은 진정 이타적일 수 있는가?
5.2. 동기를 재해석하는 전략
5.3. 심리적 이기주의를 지지하는 두 가지 논증
5.4. 몇 가지 혼동의 정리
5.5. 심리적 이기주의의 가장 핵심적인 오류
6. 윤리적 이기주의
6.1. 굶주리는 사람을 도와야 할 의무가 있는가?
6.2. 윤리적 이기주의를 지지하는 세 가지 논증
6.3. 윤리적 이기주의를 반대하는 세 가지 논증
7. 공리주의적 접근
7.1. 윤리학에서의 혁명
7.2. 첫 번째 사례: 안락사
7.3. 두 번째 사례: 인간 이외의 동물
8. 공리주의에 관한 논쟁
8.1. 고전적 공리주의
8.2. 중요한 것은 오직 행복뿐인가?
8.3. 결과만 중요한가?
8.4. 우리는 모든 사람에 대해 똑같은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가?
8.5. 공리주의의 방어
9. 절대적 도덕규범이란 존재하는가?
9.1. 해리 트루먼과 엘리자베스 앤스콤
9.2. 정언명령
9.3. 절대 규범과 거짓말하지 않을 의무
9.4. 규범들 사이의 갈등
9.5. 칸트의 기본 사상에 대한 또 다른 관점
10. 칸트와 인간존중
10.1. 인간 존엄성 사상
10.2. 처벌 이론에서의 응보와 공리
10.3. 칸트의 응보주의
11. 사회계약사상
11.1. 홉스의 주장
11.2. 죄수의 딜레마
11.3. 도덕에 관한 사회계약론의 이점
11.4. 시민 불복종의 문제
11.5. 이론의 난점
제3부 해설 도덕적 판단의 기준: 쾌락, 인권, 약속, 무엇이 궁극적인가?
제4부 새로운 윤리의 모색
12. 여성주의와 들봄의 윤리학
12.1. 여성과 남성은 윤리에 대해 다르게 생각하는가?
12.2. 도덕적 판단에 대한 시사점
12.3. 윤리이론에 대한 시사점
13. 덕의 윤리
13.1. 덕의 윤리와 옳은 행위의 윤리
13.2 미덕
13.3 덕의 윤리가 지닌 장점
13.4 불완전성의 문제
14. 바람직한 도덕이론이란 무엇인가?
14.1. 오만하지 않은 도덕성
14.2. 사람들에게 마땅한 대접을 하는 것, 그리고 다른 동기들
14.3. 다중 전략적 공리주의
14.4. 도덕 공동체
14.5. 정의와 공정성
14.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