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 국가 중심의 산업 발전모델. 근대화 이후 우리 사회가 지향한 발전전략이다. 이 책은 이러한 발전전략의 유통기한이 다했다고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서 '생태사회적 발전모델'을 제안한다. '생태사회적 발전'의 씨앗이라 할 만한 국내외 현장을 찾아 이러한 발전전략이 한 국가 또는 전 세계의 발전전략이 될 수 있는지도 탐색한다.
보수와 진보, 환경운동 세력이 국가권력을 쟁취함으로써 개혁과 혁신을 이루는 것을 추구한다면, '생태사회적 발전모델'은 아래로부터의 혁신과 변화, 자율적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저자들은 국가주도의 계급타협과 생태적 근대화에 동시에 성공한 북유럽 국가모델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어 '생태사회적 발전모델'을 정립해 나가지만, 이에 더해 자유로운 개인들의 자발적인 결사체, 즉 어소시에이션들이 생태적 순환구조를 만들어가는 모습에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한다.
Contents
제I부 한국의 지속가능성 평가
1장. 한국 발전모델의 지속가능성
2장. 환경부하와 경제발전의 국제비교
3장. 한국인들의 현실평가
4장. 한국 사회 발전에 대한 행복경제학적 분석
5장. 한국 사회 발전과 신뢰
제II부 생태사회적 발전 현장
6장. 일본의 순환형 사회경제모델
7장. 영국의 지속가능발전, 성과와 한계
8장. 네덜란드의 지속가능발전 모델
9장. 독일의 생태사회적 지역발전모델
10장. 독일의 사회경제 발전모델과 사회적 기업
11장. 한국의 생태사회적 발전 현장
제III부 대안발전모델 구상: 생태사회적 발전
12장. 생태나눔사회 구상
13장. 생태적 전환을 통한 대안발전모델
14장. 한국의 생태사회적 발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