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말 문순홍이 엮어 출간한 『생태학의 담론: 담론의 생태학 』의 후속작업. 1999년판에서는 주요 생태사상가들의 핵심적인 주장을 그들의 논문을 번역하여 소개했다. 2006년판에서는 이 부분을 문순홍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한국 사회에 주는 함의를 찾는 시도로 재구성하였다. 여기에 머레이 북친과 울리히 벡의 사상을 소개한 두 편의 글을 다듬어 추가하였다.
이 책은 문순홍 선생님이 생전에 재출간을 염두에 두고 다듬고 고쳐 쓰던 글을 모아 동료 및 후배 연구자들이 대신 마무리하여 펴낸 것이다. 이 책에서 문순홍은 근본 생태론, 사회 생태론, 생태 마르크스주의, 생태 발전론, 생태 지역론, 생태 여성론, 김지하의 생명론, 지속가능 발전론 등 1970년대 이후 사회과학을 재정향화하려는 시도로서의 새로운 생태 패러다임을 생태 담론 차원의 논의로 풀어내고 있다.
Contents
제1장 생태 패러다임, 생태 담론 그리고 생태 비평의 언어 전략
비평사에서 생태 비평의 자리|생태 비평의 출발, 생태 패러다임론|생태 담론의 생태 비평|생태 비평의 정의와 태도|생태 담론의 생태 비평 전략들
제2장 생태 사상의 스펙트럼
생태 위기와 새로운 사상에 대한 요구|분류의 기준|생태 사상 등장의 배경|근본 생태학|사회 생태학|녹색사상과 사회주의간 접합
제3장 장기적 관점의 생태운동, 안 네스
제4장 생태 발전론의 아버지, 슈마허
이 책의 기본 메시지|등장 배경: 근대화의 풍요의 사회|위기의 원인: 지속적인 성장이란 환상|위기 극복의 방향과 토대|전략들
제5장 사회 생태학과 머레이 북친
왜 ‘생태론’인가?|사회 생태론자로서 북친 삶의 시작|근본 생태론과 그 차이|사회 생태론의 체계화를 향하여
제6장 사회 생태학과 루돌프 바로
실천적 지식인으로서 삶의 이력|이념적 성향과 현실 인식에 대한 진단|사회 생태학적 문제해 결의 방향|대안 사회를 향한 정치전략
제7장 김지하와 생명
한국 환경운동과 생명론|한국 생명운동의 등장과 생명론|생명론의 논의 구조|죽임 세계의 극복: 한국 생명운동|생명정치|결어
제8장 앙드레 고르, 현대자본주의 비판과 사적영역의 재탈환 정치
고르의 지적 발전 단계|과잉축적과 재생산의 위기|미시전자혁명과 노동의 양극화|사적영역의 상업화, 합리화가 의미하는 것|합리성의 위기와 사적영역의 재탈환 정치|자활 기반사회와 비계급|에필로그: 생태적 관점과 합리성
제9장 울리히 벡과 재귀적 근대화
번역, 공적인 영역 그리고 해제|울리히 벡 사유의 지적인 배경|위험 그리고 위험사회|재귀적 근대화|재귀적 근대화의 두 축: 개성화|재귀적 근대화의 두 축: 지구화|아정치: 조직화된 무책임성, 위험의 사회적 폭발, 생태 민주주의|울리히 벡과 생태론
제10장 ESSD와 생태 발전론
생태 발전론의 기원과 역사|지속 가능한 발전과 생태 발전|생태 발전론의 전제 그리고 기본 요소들|생태 발전의 사회 불평등 비판|생태 발전, 생활양식 그리고 소비과정 분석|기술 합리성 비판|지구화 시대의 생태 발전론:자기 충족성과 자율성|결론
제11장 시간, 공간 그리고 생물 지역론
생태 위기와 녹색 대안: 시공간의 결합|시간의 공간화에서 공간의 시간화를 향하여|생명으로 서의 지역: 지역 지리학의 부활|생물 지역|생물 지역주의|생물 지역주의 운동 사례:프리만 하우스와 연어 살리기 운동|생물 지역 논의의 평가와 한계
제12장 생태 여성론, 그 닫힘과 열림의 이론사
1960년대 서구 사회에 대한 진단|생태 여성론의 등장|1980년대와 생태 여성론의 분화|급진 여성론과 근본 생태론의 접합|사회적 생태 여성론|사회주의적 생태 여성론|한국적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