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학에서 제공하는 지식이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앞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각 분야에서 여론을 주도하는 지식계층의 정책에 대한 올바른 평가와 비판이 바람직한 정책결정과 집행에 가장 큰 힘이 된다. 그러므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전공에 관계없이 정책학에 대한 이해를 어느 정도 하고 있어야 한다.
행정고시를 거쳐 고위관료를 목표로 하는 학생은 말할 것도 없고, 9급시험에 응시하거나 공기업 등 공직에 진출하는 학생들이 정부의 정책결정과 집행에 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공직에 진출하지 않더라도 법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등의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정책학에 관한 기본지식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사회과학은 그 궁극적 목적이 바람직한 사회를 만드는데 있고, 이를 위한 실천적인 방법의 중심부에 국가 또는 정부의 활동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Contents
제1장 정책과 정책학
제1절 정책의 중요성
제2절 정책의 개념
제3절 정책의 구성요소
제4절 정책의 유형
제5절 정책학의 등장
요 약
제2장 정치체제와 정책환경
제1절 정치체제와 정책
제2절 정책결정요인론(Policy Determinants Theory)
제3절 정책환경이 정책에 미치는 영향
제4절 정치체제의 특성과 정책
요 약
제3장 정책과정의 참여자
제1절 공식적 참여자
제2절 비공식적 참여자
제3절 참여자들 간의 관계(1) - 권력모형
제4절 참여자들 간의 관계(2) - 연계모형
요 약
제4장 정책의제설정론
제1절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제2절 정책의제설정 이론
제3절 정책의제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제4절 정책문제의 탐색으로서 의제설정
요 약
제5장 정책결정론(1)-합리적ㆍ분석적 정책결정
제1절 분석적 결정의 의의
제2절 정책문제의 분석 및 목표설정
제3절 정책대안의 탐색
제4절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제5절 정책대안의 비교ㆍ평가 및 선택
제6절 분석적 결정의 한계
요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