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일체유부의 수행도론
현관도現觀道 형성의 배경 연구를 중심으로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Wed 12/1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2 - Wed 1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
2024/07/10 |
Pages/Weight/Size |
152*224*30mm |
ISBN |
9788957467879 |
Categories |
종교 > 불교 |
Description
설일체유부에서 수행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현관(現觀) 개념에 대해 초기경전과 아비달마 논서를 다각도로 분석 고찰함으로써 설일체유부의 이론과 수행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한 책이다.
Contents
서언·5
제1장 서론 17
1. 유부 수행도의 특징·17
2. 본서의 구성과 주요 내용·22
제2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현관도의 전개 41
- 현관의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
1. 서론·41
2. 사성제 현관의 배경·44
3.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성제 현관·48
1) 『집이문족론(集異門足論)』·48
2) 『법온족론(法蘊足論)』·52
3) 『품류족론(品類足論)』·54
4) 『비바사론(毘婆沙論)』·57
5) AKBh·『순정리론(順正理論)』·62
4. 결론·67
제3장 설일체유부의 부정관과 지식념에 대한 고찰 69
1. 서론·69
2. 유부 수행도에서 부정관과 지식념·74
1) 염(sm?ti)과의 관계·74
2) 부정관을 수행하는 유가행자·86
3. 지식념(입출식념)·95
1) 초기단계 가행위로서의 지식념·95
2) 지식념의 여섯 가지 원인·102
4. 결론·108
제4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사념주의 전개 112
1. 서론·112
2. 초기불교에 있어서 사념주·113
3. 제1기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념주·119
1) 『집이문족론』·119
2) 『법온족론』·122
4. 제2기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념주·126
1) 『품류족론』·126
2) 『비바사론』·128
5. 제3기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념주·138
1) 『아비담심론』·『아비담심론경』·『잡아비담심론』·138
2) AKBh·『순정리론』·『현종론』·141
6. 결론·149
제5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사선근 151
- 신(信)과 단선근(斷善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1. 서론·151
2. 유부(有部) 수행도(修行道)에 있어서 사선근(四善根)·153
1) 난(煖, ??magata)·156
2) 정(頂, m?rdhan)·159
3) 인(忍, k??nti)·163
4) 세제일법(世第一法, laukik?gradharma)·167
3. 단선근(斷善根)과 속선근(續善根)에 있어서 신(信)의 역할·171
4. 단선근(斷善根)과 오근(五根)의 관계를 통해 본 신(信)의 의미·176
5. 결론·181
제6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번뇌의 고찰 183
- 수면(隨眠)의 개념과 단절의 의미를 중심으로 -
1. 서론·183
2. 유부 번뇌론의 특징·185
1) 번뇌(煩惱, kle?a)의 일반적 의미와 작용원리·185
2) 번뇌의 동의어인 수면(隨眠, anu?aya)의 두 측면에 관한 고찰·191
3. 유부에 있어 번뇌 단절의 의미·203
1) 번뇌의 발생의 주요 원인과 번뇌의 단절·203
2) 일체법의 변지(遍知)·210
4. 결론·215
제7장 혜의 통찰대상에 대한 고찰 217
1. 서론·217
2. 혜의 통찰대상·219
1) 혜의 통찰대상인 일체법·219
2) 3의관과 7처선·229
3) 일체법의 의미·235
3. 존재를 보는 두 가지 관점 -세속제와 승의제-·240
1) 설일체유부에서 2제설의 의미·240
2) AKBh에서 설명하는 2제설·247
4. 결론·255
제8장 현관, 인무아의 통찰 257
- 설일체유부를 중심으로 -
1. 서론·257
2. 고성제와 유신견의 관계와 의미·259
1) 고성제와 유신견의 관계·259
2) 고성제와 유신견의 의미·266
3. 아비달마불교에 있어서 유신견·271
1) 존재론적인 관점·275
2) 인식론적 관점·282
4. 결론·287
제9장 결론 289
참고문헌·299
찾아보기·311
Author
김경희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학사와 동국대학교 대학원(서울)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 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도일, 일본 오타니대학 대학원에서 불교학전공으로 박사학위(아비달마 전공)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학사와 동국대학교 대학원(서울)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 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도일, 일본 오타니대학 대학원에서 불교학전공으로 박사학위(아비달마 전공)를 취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