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불교철학을 가르치기 위한 교재로 쓰여진 이 책은 중요한 불교경전과 논서를 바탕으로 불교의 철학 전통과 불교사상의 기본 교리를 흥미롭고 분석적으로 소개한다. 저자는 철학으로서의 불교를, 그야말로 철학적 방식, 즉 비판적, 분석적, 논증적으로 파헤쳐 보인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불교철학의 핵심을 보여주는 동시에 철학하는 방법도 가르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린다. 철학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꽤나 흥미롭고 독특한 지적 탐험이 될 것이다.
Contents
발간사·5
이 책에 대해·7
번역문 출처, 발음 안내·13
서론?철학으로서의 불교? 21
1. 철학이란 무엇인가?·21
2. 불교란 무엇인가?·29
3. 철학으로서의 불교 검토하기·42
1장 초기불교: 기본 가르침 50
1. 붓다는 누구였는가?·50
2. 첫 번째 가르침·56
3. 괴로움의 원인과 치료·65
4. 괴로움 없이 살아가기·75
2장 공한 인격체 85
1. 본질로서의 자아·86
2. 오온·93
3. 무상에 근거해 무아를 주장하기·98
4. 통제자 논증·116
5. 편리한 지시어로서의 “인격체”·125
6. 두 종류의 진리二諦·138
7. 세속적 실재로서의 인격체·141
8. 무아와 재생·154
3장 불교 윤리 162
1. 열반은 기술될 수 있는가?·163
2. 단멸론자가 말하는 열반이란 무엇인가?·172
3. 열반은 무엇과 같을까·178
4. 도덕적 의무의 토대·182
5. 온들의 집합의 인과적 연속에는 자유의지가 있는가?·197
4장 니야야에 대한 짧은 해설 204
1. 니야야의 범주 도식·205
2. 앎의 수단·220
3. 자아의 존재에 대한 논쟁·232
4. 자아의 존재는 부정될 수 있을까?·249
5장 아비달마: 공한 인격체의 형이상학 265
1. 부분전체론적 허무주의에 대한 논증·266
2. 부분전체론적 허무주의에 대한 또 다른 논증·279
3. 궁극적으로 실재하는 존재자로서의 법·287
4. 어떤 법이 존재하는가?·291
5. 찰나성·303
6. 기억에는 기억하는 자아가 필요한가?·314
7. 가변적 연합 전략·326
8. 표상주의와 시간 지연 논증·332
9. 원자론에 근거한 표상주의 논증·345
1. 우리가 감각적 경험에서 알아차리는 것은 무엇인가?·393
2. 실재론에 대한 어떤 증거가 있는가?·402
3. 가벼움에 근거한 세친의 논증·409
4. 원자 문제·424
5. 유식에 대한 몇 가지 추가적인 반론·444
6. 유식의 구제론적 요점·462
7. 허무주의를 피하는 방법으로서의 표현 불가능성·474
8장 중관학파: 공성 교리 490
1. 중관학파의 공성 주장을 해석하는 방식들·491
2. 운동에 반대하는 논증·497
3. 처와 계에 반대하는 논증·504
4. 법은 발생할 수 있는가?·517
5. 발생을 일으키는 건 결합이 아닐까?·538
6. 모든 것은 다른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는가?·541
7. 공성의 구제론적 요점·550
9장 디그나가 학파: 불교 인식론 558
1. 두 가지 앎의 수단으로서 지각과 추론·561
2. 유가행경량부식 유명론·567
3. 지각과 지각적 판단·575
4. 추론·581
5. 말의 의미에 대한 아포하 이론·586
6. 실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말할 수 있을까?·597
7. 인지는 인지 그 자신을 인지하는가?·606
용어 해설·621
역자 후기·627
찾아보기·639
Author
마크 시더리츠,강병화
고전 인도 불교철학과 현대철학이 만나는 접점에 관심을 두고 연구해 온 철학자다. 하와이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전공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교(현재는 명예교수)와 서울대학교(2012년 정년퇴임)에서 동·서양의 철학을 가르쳤다. 인도 불교철학 및 비교철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Indian Philosophy of Language(1991), Personal Identity and Buddhist Philosophy(2003), Nagarjuna's Middle Way(2013), How Things Are(2021)가 있고, 공저로는 Apoha(2011)[『아포하』(2019)], Self, no self?(2011)[『자아와 무아』(2022)], Studies in Buddhist Philosophy(2016)가 있다.
고전 인도 불교철학과 현대철학이 만나는 접점에 관심을 두고 연구해 온 철학자다. 하와이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전공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교(현재는 명예교수)와 서울대학교(2012년 정년퇴임)에서 동·서양의 철학을 가르쳤다. 인도 불교철학 및 비교철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Indian Philosophy of Language(1991), Personal Identity and Buddhist Philosophy(2003), Nagarjuna's Middle Way(2013), How Things Are(2021)가 있고, 공저로는 Apoha(2011)[『아포하』(2019)], Self, no self?(2011)[『자아와 무아』(2022)], Studies in Buddhist Philosophy(2016)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