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근대화와 대중화에 앞장선, 한국 근세불교의 중흥조이자 독립운동가인 용성의 사상과 불교실천운동을 당대의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 정리한, 용성 관련 최초의 단행본 학술서이다. 용성은 출가 후 열반에 들 때까지 60년 이상을 비구로서 당시 조선불교계에 수많은 업적들을 남겼음에도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가 주로 생애나 행적, 역경 및 포교, 저술 등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에 그쳐 아쉬움이 많았었는데, 이 책으로 인해 불교를 현실에 구현한 불교실천운동의 관점으로 그의 삶 전체를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이로서 용성이 보여준 불교 개혁 방안이나 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서 아직도 미완으로 남은 과제들을 다시금 성찰해보고 이를 토대로 지금 이 시대의 불교실천운동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5
Ⅰ. 서론 11
Ⅱ. 용성의 수행 체계 21
1. 탄생 및 유년 시절의 시대적 배경 21
1) 탄생 시기 조선의 정국과 불교계 21
2) 용성 이전의 불교실천사상 태동 23
2. 용성의 출가 수행과 불교사상 32
1) 용성의 덕밀암 출가 32
2) 조선개항 이후 일본불교 39
3) 용성의 해인사 출가 42
4) 다라니 염송과 1차 깨달음 44
3. 용성의 수행 체계와 실천 49
1) 무융 선사의 간화선 49
2) 통도사 금강계단에서의 비구계 수지 54
3) 해인사에서의 2차 깨달음 58
4) 용성의 선문답과 선수행 64
4. 용성의 중국불교 사찰 순례 71
5. 용성의 미타회 수행과 원종의 탄생 74
Ⅲ. 일제하 용성의 불교실천운동 79
1. 일제강점 직후 조선불교계의 변화 79
1) 조선불교선교양종 30본산 변화 79
2) 조선불교 전통성 회복 운동 80
2. 용성의 도회지 불교포교 서원 83
1) 용성의 『귀원정종』 간행 84
2) 용성의 불교 대중화 88
3. 용성의 도회지 포교당 건립 91
1) 임제종중앙포교당에 참여 91
2) 용성의 대각사 창건 95
3) 용성의 법계고시, 대종사 100
4) 포교 재원 확보를 위한 금광 경영 103
4. 용성과 3 · 1운동 105
1) 3 · 1운동 이전, 용성의 독립정신 105
2) 민족대표, 태화관에서 조선독립선언 110
3) 경성지방법원의 신문 내용 114
5. 용성 · 만해의 영향과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 121
Ⅳ. 용성의 불교실천과 대각운동 129
1. 용성의 옥중 체험 이후 불교포교 129
1) 역경과 출판을 통한 문서포교 129
2) 서대문감옥에서의 체험 131
3) 삼장역회 설립 및 출판 활동 133
4) 용성의 『각해일륜』 간행 144
2. 용성의 불교 대중화 실천운동 149
1) 선학원 건립과 선수행 결사 149
2) 대각교 창립과 대중선 운동 156
3) 용성의 잡지 창간과 출판 162
(1) 저술 170
(2) 번역 경전 및 논서 171
(3) 논술 172
4) 용성의 해인사 대승계단 수계법회 172
3. 전통 비구계단 상실에 대한 대응 176
1) 전통 계율 상실에 대한 입장 176
2) 용성 중심으로 한 건백서 제출 179
(1) 1차 건백서 179
(2) 용성의 2차 건백서 184
3) 망월사 만일참선결사회 창립 187
(1) 망월사 만일참선결사의 전개 187
(2) 통도사 내원암으로 만일참선결사회 이전 199
4. 대각교 용정 포교당과 화과원 농장 208
1) 대각교 용정 포교당 208
2) 화과원과 선농불교 217
Ⅴ. 대각교 운동의 좌절과 과제 225
1. 대각교의 전법의식 225
1) 대각사상 선양을 위한 노력 231
2) 용성의 『각설범망경』 번역 홍포 237
3) 금강계단 계맥 전승의 전법 의식 242
2. 용성 불교실천운동의 한계와 좌절 249
1) 조선총독부의 유사종교 탄압과 대각교 해산 249
2) 대각교당의 조선불교선종총림으로 전환 255
3) 용성의 불교실천운동의 의의와 한계 259
3. 용성의 열반과 미래 불교운동 264
1) 용성의 열반 이후의 역할 264
2) 용성의 계율 전승과 불교정화운동의 체용體用 269
Ⅵ. 결론 275
참고문헌 281
찾아보기 291
Author
진관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와 불교생명윤리연구소 소장, 대한불교조계종 사형제도폐지위원장을 맡아 인권과 생명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북한학과에서 통일정책을 전공해 석사 학위를, 중앙승가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특히 스님은 근대 한국불교에 큰 족적을 남긴 용성, 효봉, 무진장 큰스님의 전법과 독립운동, 수행, 불교개혁을 위한 행적을 찾고 기록하는 데 매진해왔다.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와 불교생명윤리연구소 소장, 대한불교조계종 사형제도폐지위원장을 맡아 인권과 생명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북한학과에서 통일정책을 전공해 석사 학위를, 중앙승가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특히 스님은 근대 한국불교에 큰 족적을 남긴 용성, 효봉, 무진장 큰스님의 전법과 독립운동, 수행, 불교개혁을 위한 행적을 찾고 기록하는 데 매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