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경제사상

참여불교를 위한 이론적 정초
$28.75
SKU
978895746716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09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88957467169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전통적으로 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추구하고 내세의 안락을 지향하는 종교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불교가 과연 초세간적이고 피안적인 것에만 몰두할 뿐 이 세상의 사회경제적 현실과 일상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일까? 이 책은 먼저 이런 전통적 불교 인식에 대한 원론적인 비판과 해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기 위해서 불교의 개인 구원적인 단면에만 시선을 고정해서는 안 되며, 시야를 넓혀 항상 전체적인 불교(Buddhism as a whole)의 모습을 조망해야 하며, 불교를 하나의 단순한 종교사상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전반을 포괄하는 유기적이고 역동적이며 총체적인 인생의 지혜 또는 삶의 예술(the Art of Living)로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Contents
책머리에·7

제1장 불교 흥기의 배경 15

1. 자연환경·17
2. 정치적 정황·25
1) 문명의 이동·25
2) 정치적 과도기·29
3) 석가족의 정치적 위상·33
3. 사회·경제적 배경·39
1) 계급질서의 변화·39
2) 도덕적 타락·43
3) 상업의 발달과 도시화·48

제2장 불교사상의 실천적 기조 55

1. 열반의 바른 이해·59
1) 열반의 개념·59
2) ‘욕망의 역설’ 비판·66
2. 근본 교설의 실천적 이해·84
1) 사성제·84
2) 무상과 무아의 실천론·93
3. 불교의 실천적 가르침·104
1) 현실적 실천의 강조·104
2) 사회적 실천의 강조·107

제3장 불교의 사회사상 113

1. 불교의 사회관·116
1) 불교에서 본 세간과 사회·116
2) 불교의 사회기원론·119
2. 승가의 사회적 기능·125
1) 사회통합·125
2) 정신적 계도·132
3. 불교의 이상사회론·135
1) 불교의 이상사회와 그 실현 방법·135
2) 통치자론·148
4. 인간관계의 윤리·154
1) 『육방예경六方禮經』의 분석·154
2) 사섭법四攝法·164

제4장 불교의 경제사상 167

1. 재財의 효용론·168
1) 윤리적 삶의 기초로서 재의 효용·168
2) 사회적 복지 개념으로서 재의 효용·172
2. 생산론·175
1) 생산의 윤리·175
2) 불교경전의 생산관·178
3. 분배론·185
1) 복전福田으로서의 분배 개념·185
2) 국가의 분배정책에 관한 경전의 입장·188
4. 직업론·192
1) 직업의 의의·192
2) 경전의 직업관·197
5. 소비지출론과 사분법·202
1) 올바른 소비·202
2) 사분법의 내용 검토·212
3) 사분법의 바른 해석·220
6. 불교의 노동관·233
1) 노동의 개념·237
2) 노동에 대한 불교의 기본입장·240
3) 불교에서 본 노동의 의미·246
7. 불교교단경제 약사·264
1) 인도의 교단경제·264
2) 중국의 교단경제·267
3) 한국의 교단경제·270

제5장 현대 이데올로기에 대한 불교적 조명 275

1.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그 역사적 전개·276
2. 이데올로기 문제의 불교적 조명·282

제6장 불교의 사회참여 사상 301

1. 공업설로 본 사회참여·301
1) 업설의 통속적 이해와 그 문제점·302
2) 공업사상의 대두·308
3) 공업사상과 사회적 실천·316
2. 대승불교사상과 ‘깨달음의 사회화’·328
1) 깨달음의 사회화·329
2) 대승불교의 기본 성격·332
3) ‘깨달음의 사회화’의 대승사상적 근거·336
4) 대승 보살의 사회참여·343
3. 현대 아시아의 참여불교운동·353
1) 참여불교운동의 역사적 배경·354
2) 아시아 참여불교운동의 제 양상·356
3) 참여불교운동의 특징과 문제점·380
4. 한국 민중불교운동의 평가·387
1) 민중불교운동의 흥기 배경·388
2) 민중불교운동의 전개·394
3) 민중불교의 이념과 문제점·400
4) 민중불교운동의 의의와 반성·410

참고문헌·415
찾아보기·425
Author
박경준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장, 중앙도서관장, 평생교육원장, 에코포럼 운영위원장, 불교학연구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공직자종교차별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불교방송시청자위원회 위원, 『풍경소리』 작가, 정의평화불교연대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불교사회경제사상』, 『다비와 사리』, 『민중불교의 탐구(공저)』,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공저)』 등 다수, 역서로는 『근본불교와 대승불교』, 『원시불교사상론』, 『아시아의 참여불교』,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동남아시아의 불교 수용과 전개』, 『불교사회경제학(공역)』 가 있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장, 중앙도서관장, 평생교육원장, 에코포럼 운영위원장, 불교학연구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공직자종교차별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불교방송시청자위원회 위원, 『풍경소리』 작가, 정의평화불교연대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불교사회경제사상』, 『다비와 사리』, 『민중불교의 탐구(공저)』,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공저)』 등 다수, 역서로는 『근본불교와 대승불교』, 『원시불교사상론』, 『아시아의 참여불교』,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동남아시아의 불교 수용과 전개』, 『불교사회경제학(공역)』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