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인 마음(心)과 의식(識)에 대한 통찰을 담은 책이다.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이 주제에 대해 유식학파의 알라야식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불교의 마음이론에 대한 정치한 체계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발간사·5
서언·7
주제에 따른 서문 자아와 세계의 구성에 대한 불교의 비판·17
제1부 알라야식의 배경과 맥락 29
I. 초기불교의 배경 31
1. 존재의 세 가지 특징·31
2. 연기의 정형구·36
1) 자아 없는 인과와 지속성·47
3. 연기의 정형구에서 식(vinn??a)·53
1) 의식으로서의 식·57
2) 인지적 앎으로서의 식(vinn??a)·74
3) 인지적 과정들과 업의 산출·80
4. 잠재적 경향성(anu?aya, 隨眠)·86
1) 아만의 잠재적 경향성과 희론(papanca)·92
2) 잠재성 vs. 분출성에 대한 논쟁·99
5. 식의 두 측면 사이의 상호적인 인과성·105
II. 아비달마의 맥락 115
1. 아비달마 프로젝트와 그것의 문제점·115
1) 아비달마의 배경·118
2. 아비달마의 목적과 방법: 경험의 불가환원적 요소로서의 다르마·124
3. 기본적인 문제점: 설법의 두 차원, 심의 두 차원·136
4. 심과 심작용(心所)의 분석·141
1) 공시적 차원에서 문제점의 최초의 형성: 『논사』에서 업의 잠재성의 축적과 잠재적 경향성의 나타남, 그리고 그것들의 정화·147
2) 통시적 차원에서 문제: 즉각적인 연결 vs. 업의 잠재성의 존속·156
5. 전통적인 지속성의 존속: 『구사론』에서 업과 번뇌·168
6. 아비달마의 문제점들과 그 반응·176
1) 유부의 ‘득’(pr?pti) 이론·179
2) 심의 흐름(sant?na)에서 경량부의 ‘종자(b?ja)’설·184
7. 심과 종자, 심의 흐름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190
8. 상좌부의 유분심(bhava?ga-citta)·202
9. 결론·212
I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1) 306
1. 전통적 불교 체계에 따른 구성·309
1) 성문승에서 알라야식의 동의어·311
2) 두 가지의 식과 두 가지 연기·313
3) 알라야식의 종자: 동시적인 내성 심리적 인과성으로서의 업의 과정·320
2. 아비달마적인 문제의 해결·329
1) 업과 재생 그리고 알라야식·331
2) 번뇌(kle?a)들의 지속성·336
3) 세간적이고 출세간적인 청정한 수행도·353
3. 아비달마를 넘어서: 우연적 번뇌와 청정한 종자, 자성청정심·358
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2) 369
1. 명언습기와 아견, 그리고 생명의 구성요소·371
2. 공통된 경험, 공통된 체화: 언어와 알라야식, 그리고 “세계의 생기”·373
미국 미시간에서 태어났다. 60년대의 젊은이들처럼 그는 실존적 관심에서 인도와 네팔 등지를 여행했으며, 티베트불교에 대한 관심으로 Wisconsin-Medison 대학에서 인도불교와 티베트불교를 공부했다. 도중에 교환학생으로 대만 타이완대학과 일본 교토대학에서 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웠다. 그리고 1990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후에 그는 진화생물학 등의 학제적 연구에도 몰두했는데, 이는 그가 후에 불교철학과 인지과학을 접목시켜 강의하고 연구하는 데 기여했다. 1996년 그는 저명한 Liberal Art College 중의 하나인 Middlebury College에 자리를 잡고 힌두이즘과 불교, 티베트 종교, 비교심리학과 심리철학 등 다양한 영역을 강의하면서 저술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미국 미시간에서 태어났다. 60년대의 젊은이들처럼 그는 실존적 관심에서 인도와 네팔 등지를 여행했으며, 티베트불교에 대한 관심으로 Wisconsin-Medison 대학에서 인도불교와 티베트불교를 공부했다. 도중에 교환학생으로 대만 타이완대학과 일본 교토대학에서 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웠다. 그리고 1990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후에 그는 진화생물학 등의 학제적 연구에도 몰두했는데, 이는 그가 후에 불교철학과 인지과학을 접목시켜 강의하고 연구하는 데 기여했다. 1996년 그는 저명한 Liberal Art College 중의 하나인 Middlebury College에 자리를 잡고 힌두이즘과 불교, 티베트 종교, 비교심리학과 심리철학 등 다양한 영역을 강의하면서 저술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