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전래부터 1990년대 개혁종단까지 1,700여 년에 이르는 장구한 한국불교의 역사를 촘촘히 꿰어 보여주는 책이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대중서를 지향하면서도 개인적 의견이나 추론을 배제하고 철저히 정사正史에 의지한 학술서이기도 해서, 가히 한국불교사의 입문서이자 개론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Contents
발간사·5
서문·7
Ⅰ. 불교전래와 발전의 시대 19
1. 고대 불교전래와 수용 양상·19
1) 고구려의 불교전래와 수용·19
2) 백제의 적극적인 수용·22
3) 신라의 불교전래와 순교·24
4) 가야의 불교전래와 발전·27
2. 고대 불교발전과 전교활동·29
1) 고구려불교의 구법승·29
2) 고구려불교의 전교활동·31
3) 백제불교의 구법승·34
4) 백제불교의 전교활동·35
5) 신라불교의 발전과 특색·37
6) 신라불교의 구법승 활동·40
Ⅱ. 민족불교의 정착 시대 45
1. 신라의 삼국통일과 불교·45
1) 통일에 기여한 불교사상·45
2) 신라 지도자의 불교관·47
3) 통일에 기여한 신라의 고승·50
2. 통일신라의 불교교단과 문화·53
1) 통일신라의 불교학 발전·53
2) 교단의 정립과 승직제도·56
3) 대중적 불교신앙의 발전·58
4) 통일신라의 불교문화·63
3. 통일신라불교의 교류 활동·66
1) 신라불교와 인도불교의 교류·66
2) 신라불교와 중국불교의 교류·68
3) 신라불교의 일본 전래·72
4. 신라 후기 선의 전래와 구산선문·75
1) 신라 하대 선사상의 전래·75
2) 도의국사의 남종선 도입·77
3) 구산선문의 시작과 지역·80
Ⅲ. 사회적 지평의 확대 시대 87
1. 고려의 건국과 불교정책·87
1) 태조 왕건의 불교정책·87
2) 고려 초기의 불교제도·89
3) 고려 초기의 교학 경향·91
4) 불교정책 기조의 변화·94
2. 고려불교의 의례와 문화·96
1) 고려불교의 신앙의례·96
2) 불교발전을 위한 경제제도·99
3) 초조대장경과 고려교장의 간행·102
3. 고려불교의 변화와 결사운동의 대두·104
1) 천태종과 조계종의 설립·104
2) 불교의 귀족화와 묘청의 개혁·107
3) 무신武臣과 불교계의 갈등·112
4) 지눌의 정혜결사와 의의·114
5) 혜심慧諶과 수선사 사주社主·117
6) 요세了世의 백련결사와 의의·120
4. 원나라 간섭과 불교교류·123
1) 원의 침략과 재조대장경 조성·123
2) 일연의 불교통합과 『삼국유사』 저술·124
3) 원의 간섭과 고려불교의 변화·126
4) 고려불교의 원나라 진출·129
5) 고려와 원나라의 불교문화 교류·131
5. 고려 말 선풍진작과 벽이론의 대두·134
1) 고려 말 불교계의 선풍진작·134
2) 신돈의 등용과 불교계의 갈등·139
3) 유교의 확산과 벽이론의 대두·142
Ⅳ. 민중신앙의 확대 시대 147
1. 조선의 건국과 불교정책·147
1) 태조의 배불과 흥불·147
2) 정도전의 불교관과 『불씨잡변』·151
3) 태종의 배불정책과 국행불사·153
4) 세종의 배불정책·159
5) 승니도성출입금지의 실시와 추이·161
6) 세종의 불교숭신·163
7) 배불정책 속에서 활동한 고승·165
2. 숭불과 억불의 교차·167
1) 숭불군주 세조의 불교중흥·167
2) 성종의 억불정책·170
3) 『경국대전』 완성과 배불조항·172
4) 연산군의 불교탄압·175
5) 중종의 강력한 배불정책·178
6) 흥불과 배불 속에서 활동한 고승·180
3. 불교교단의 중흥과 의승군 활동·183
1) 문정왕후의 불교중흥·183
2) 임진왜란과 팔도도총섭 서산 휴정·186
3) 의승도대장 사명당 유정·188
4)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승군·190
5) 임진왜란 이후의 불교정책·193
4. 조선 후기 선문 계승과 신앙활동·197
1) 임란 이후 선문 계승과 교학 연찬·197
2) 조선 후기 선학논쟁과 결사운동·200
3) 조선 후기 승가교육의 체계·202
4) 조선 후기 대중신앙의 양상·205
5) 불서의 편찬과 시대 인식·207
Ⅴ. 개혁과 통제의 혼재 시대 211
1. 근대 사회와 불교계의 변화·211
1) 불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211
2) 개항과 일본불교의 침투·214
3) 개화승의 등장과 활동·216
2. 대한제국의 불교정책·219
1) 승려의 도성출입금지 해제·219
2) 대법산 원흥사의 창건과 역할·221
3) 사사관리서 설치와 현행세칙·223
3. 근대 불교계의 변화와 종단건립·226
1) 경허와 근대 선풍의 진작·226
2) 만공과 한암의 결사정신 계승·228
3) 명진학교의 설립과 불교교육·231
4) 승가교육의 근대적 변화·235
5) 원종의 설립 과정과 활동·237
6) 임제종의 설립과 활동양상·239
7) 불교개혁론의 대두와 혁신 내용·244
4. 일제의 조선불교 통제와 저항·247
1) 통제법령의 제정과 30본산·247
2) 조선불교의 3.1운동 참여·253
3) 임시정부 참여와 독립운동·255
4) 불교청년회의 결성과 활동·257
5) 한국불교의 전통수호 운동·260
5. 식민지 체제 속의 한국불교·264
1) 일제하 교단체제의 변화·264
2) 일제의 침략전쟁과 불교정책·266
3) 총본사 건설의 의의와 한계·271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고대불교와 근대불교를 연구하였다. 대한불교진각종 교육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국대, 중앙승가대, 성균관대 외래교수와 위덕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인천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외래교수로 있다. 『한국 근대불교사』, 『한국불교 개혁론 연구』, 『역사로 읽는 한국불교』 등 20여 권의 한국불교 관련 전공 서적을 집필하였으며, 한국 근, 현대불교를 연구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고대불교와 근대불교를 연구하였다. 대한불교진각종 교육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국대, 중앙승가대, 성균관대 외래교수와 위덕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인천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외래교수로 있다. 『한국 근대불교사』, 『한국불교 개혁론 연구』, 『역사로 읽는 한국불교』 등 20여 권의 한국불교 관련 전공 서적을 집필하였으며, 한국 근, 현대불교를 연구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