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는 보통 마음이 괴로움을 느끼는 일종의 심리상태, 예를 들어 우울, 근심, 불안, 절망, 공포 등 몹시 괴롭고 힘든 심리상태를 말한다. 한편 불교에서는 ‘번뇌’를 중생의 해탈을 가로 막는 최대의 적으로 간주한다. 왜냐하면, 탐진치도 번뇌의 일종으로, 번뇌를 중생이 겪는 모든 고통의 원인이자 조종자로 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렇듯 다양한 모습을 지닌 번뇌에 대해 초기불교와 대승불교, 선불교, 서양철학, 심리학에서 바라본 ‘번뇌의 의미와 본질, 구조, 그리고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총체적 고찰’이다.
Contents
기획자 서문·5
번뇌를 발판 삼아 성장하기를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번뇌와 번뇌 너머
{초기불교} 번뇌, 알아야 끊을 수 있다(이필원)·39
1. 왜 번뇌를 말하는가?·40
2. 번뇌/정서, 어떻게 이해하나?·42
1) Suttanip?ta 4장과 5장에 나타난 번뇌 용례·45
2) 번뇌의 분류 방식·49
3. 번뇌는 어떻게 발생하는가?·57
1) 번뇌/정서에 드리운 느낌, 그리고 망상·58
2) 번뇌/정서를 끊는 방법·67
4. 번뇌/정서의 인지적 특성과 치유·76
1) 번뇌/정서의 인지적 특징·76
2) 번뇌/정서의 치유·83
5. 번뇌/정서는 밖에 있는가, 안에 있는가·89
약호 및 참고문헌·94
일본 북쿄대학에서 ‘아라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상제 팔정도』(민족사), 『명상, 어떻게 연구되었나?』(공저, 올리브그린), 『인생이 묻고 붓다가 답하다』(마음의 숲), 『불교입문』(공저, 민족사)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의 정서이해」, 「사띠의 심신치유적 기능에 대한 고찰」, 「초기불교의 인성교육적 특성 고찰」 등이 있다.
일본 북쿄대학에서 ‘아라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상제 팔정도』(민족사), 『명상, 어떻게 연구되었나?』(공저, 올리브그린), 『인생이 묻고 붓다가 답하다』(마음의 숲), 『불교입문』(공저, 민족사)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의 정서이해」, 「사띠의 심신치유적 기능에 대한 고찰」, 「초기불교의 인성교육적 특성 고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