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
$27.00
SKU
978895746610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5/2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57466100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보리도차제란 ‘완전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반드시 배우고 익혀야 하는 핵심 가르침이자 순서를 말한다. 즉 보리도차제는 부처님의 말씀(가르침) 전체를 문聞·사思·수修의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을 해설한 것으로, 대소승의 핵심적인 교리, 불교의 핵심적인 수행 방편들이 망라된 가르침이라고 하겠다. 이 책은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어떤 순서와 방법으로 실천 수행해야 하는지’를 상세하고 정확하게 보여주는 지도이자 안내서로, 보리도차제에 관한 수많은 논서 가운데 8대 논서의 하나로 꼽히며, 한국에는 처음 소개된다.
Contents
옮긴이의 말_5
옮긴이의 안내_11

보리도차제의 해제_31
뻰첸라마 롭상예쎼의 전기 개괄_107
보리도차제(를 전승한 스승들에 대한) 간청문 최상의 도의 문을 여는 (차제)_113

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_137
Ⅰ. (보리도차제를) 전승한 스승의 근원을 해설하는 측면에서 수행과제의 수와 순서에 대한 확정을 일으키는 방법에 대한 해설_140
Ⅱ. 확정이 생기고 나서 도의 차제에 마음을 익히는 방법에 대한 본 해설_153
1. 도의 근본인 선지식을 의지하는 방법_153
1)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153
(1) 관상 준비_154
① 머무는 집을 쓸고 닦고 (부처님의) 몸과 말씀과 마음의 (공덕을 수념하는) 토대(인 불단)을 장엄하기_155
② 공양은 정직하고 장엄한 것으로 마련하여 아름답게 배치하기_157
③ 편안한 방석에 앉는 자세 여덟 가지 또는 행行_주住_좌坐_와臥에 가장 편안한 자세로 머물러 귀의, 발보리심, 사무량심을 수습하기_158
A. 앉는 자세 여덟 가지_158
B. 귀의하는 방법_164
C. 발보리심의 방법_174
D. 사무량심을 수습하는 방법_175
④ 자량전을 또렷하게 떠올리는 방법_179
⑤ (자량을) 쌓고 (죄업과 장애를) 소멸하는 핵심이 응집된 칠지공양을 멘델과 함께 올리기_191
A. 예경하기_192
B. 공양 올리기_200
C. 죄업을 참회하기_203
D. 수희隨喜하기_206
E. 법륜을 굴려주시기를 권청하기_208
F. 열반에 들지 마시기를 간청하기_209
G. 회향하기_210
H. 멘델 올리기_211
⑥ 간청하는 것은 긴요한 가르침과 같이 반드시 마음과 합일되게 하기_212
(2) 본 관상_219
① 선지식을 의지하는 이익_219
② 의지하지 않는 허물_224
③ 마음으로 의지하는 방법_232
A. 근본인 믿음을 익히기_232
B. 은혜가 큼을 수념隨念하기_241
④ 행으로 의지하는 방법_247
(3) 마무리 관상_252
2)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253
2. 의지하고 나서 마음을 익히는 순서_254
1) 유가와 원만의 (몸을 받은 이때에) 정수를 취하기_254
(1)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254
① 관상 준비_254
② 본 관상_256
A. 유가와 원만이 의미가 크다고 관상하기_256
A) 팔유가를 관상하기_256
B) 십원만을 관상하기_258
(A) 내적인 원만한 다섯 가지 조건_259
(B) 외적인 원만한 다섯 가지 조건_259
B. 얻기 어렵다고 관상하기_264
③ 마무리 관상_268
(2)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269
2) 정수精髓를 취하는 방법_269
(1) 하사와 공통의 도차제에 마음을 익히기_270
①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270
A. 관상 준비_270
B. 본 관상_271
A) 죽음무상을 관상하기_272
B) 악도의 고통을 관상하기_280
(A) 지옥의 고통을 관상하기_280
a. 대열중생지옥[팔열지옥]_280
b. 근변지옥_283
c. 한냉지옥[팔한지옥]_284
d. 잠깐씩 고통을 덜어 주는 지옥[소허지옥]_286
(B) 아귀의 고통을 관상하기_288
(C) 축생의 고통을 관상하기_290
C) 삼보에 대한 귀의를 익히기_292
(A) 귀의의 원인_292
(B) 귀의의 대상_293
(C) 귀의의 방법_294
(D) 삼보에 귀의하는 유익한 공덕_298
(E) 귀의의 학처_299
a. 개별적인 학처_299
a) 하지 말아야 할 학처_299
b) 해야 할 학처_300
b. 공통적인 학처_300
D) 업과에 대해 믿는 신심을 일으키기_300
(A) 흑업도[불선업도]_302
(B) 백업도[선업도]_305
(C) 이숙과異熟果의 여덟 가지 공덕을 인지하기_307
(D) 이숙과의 여덟 가지 공덕의 역할을 인지하기_307
(E) 이숙과의 여덟 가지 공덕의 원인을 인지하기_307
C. 마무리 관상_311
②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12
(2) 중사와 공통의 도차제에 마음을 익히기_316
① 해탈을 희구하는 마음을 일으키기_316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16
A) 관상 준비_316
B) 본 관상_317
(A) 윤회의 일반적인 고통을 관상하기_317
(B) 윤회 각각의 고통을 관상하기_326
a. 인간의 고통_327
b. 아수라의 고통_332
c. 욕계 천신의 고통_332
C) 마무리 관상_335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35
② 해탈로 나아가는 도의 자성을 확정하기_335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36
A) 관상 준비_336
B) 본 관상_337
C) 마무리 관상_345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45
(3) 상사의 도차제에 마음을 익히기_346
①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_347
A. 보리심을 일으키는 실제_347
A) 인과칠요결因果七要訣에 의해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_347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48
a. 관상 준비_348
b. 본 관상_349
a) 어머니로 아는 마음을 수습하는 방법_356
b) 은혜를 기억하는 마음을 수습하는 방법_360
c)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는 마음을 수습하는 방법_363
d) 자애심을 수습하는 방법_364
e) 연민심을 수습하는 방법_368
f) 이타利他적 발원을 수습하는 방법_372
g) 보리심을 수습하는 방법_373
c. 마무리 관상_377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77
B) 자타평등상환법에 의해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_377
B. 발보리심을 의궤에 의해 수지하는 방법_383
A) (보살)계를 수지하지 않은 이가 수지하는 방법_383
B) 수지하고 나서 쇠퇴하지 않도록 지키는 방법_385
② 보리심을 일으켜서 행을 익히는 방법_388
A. 법왕자[보살]의 일반적인 행을 익히는 방법_388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388
(A) 관상 준비_388
(B) 본 관상_390
a. 자신의 마음을 성숙하게 하는 육바라밀수행_390
a) 보시수행_390
b) 지계수행_396
c) 인욕수행_398
d) 정진수행_401
e) 선정수행_405
f) 지혜수행_406
b. 타인의 마음을 성숙하게 하는 사섭법수행_407
(C) 마무리 관상_409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409
B. 특히 (육)바라밀의 마지막 두 가지를 익히는 방법_410
A) 선정수행인 사마타[止]를 익히는 방법_410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410
a. 관상 준비_410
b. 본 관상_411
c. 마무리 관상_422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422
B) 지혜수행인 위빠사나[觀]를 익히는 방법_422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422
a. 관상 준비_422
b. 본 관상_423
a) 보특가라무아를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_423
(a) 부정할 바의 현현顯現하는 방식을 요해하는 핵심_423
(b) 충분(조건)을 요해하는 핵심_425
(c) 자성으로 존재하는 하나가 아닌 것을 요해하는 핵심_425
(d) 자성으로 존재하는 다른 것도 아닌 것을 요해하는 핵심_430
b) 법무아法無我를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_433
(a) 유위법이 자성이 없다고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_433
ⓐ 색법_434
ⓑ 심법_435
ⓒ 불상응행법_435
(b) 무위법이 자성이 없다고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_437
c. 마무리 관상_438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_438

쫑카빠 대사의 『대보리도차제』 저술 회향 서원문_447

부록] Ⅰ. 간청문과 서원문_453
Ⅱ. 다라니와 만뜨라_463

참고 문헌_467


Author
뻰첸라마 롭상예쎼,법장
1663년 티벳의 짱지방에서 탄생하였다. 그 이듬해에 제5대 달라이라마 악왕롭상갸초로부터 제4대 뻰첸라마 롭상최곈의 환생자로 인정을 받아 제5대 뻰첸라마가 되었다. 8세가 되던 해 악왕롭상갸초로부터 사미계 등을 수지하였으며, 22세에 밀종사 꾄촉곌첸으로부터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1670년부터 열반에 든 1737년까지 68년간 따시훈뽀 대사원을 수호하였다. 상수제자로 제6대 달라이라마 창양갸초와 제7대 달라이라마 롭상껠상갸초를 비롯한 수많은 제자들이 있었다. 선설善說의 저술로는 『보리도차제 마르티 지름길』과 자서전 등 목판본 경서 4권이 있다.
1663년 티벳의 짱지방에서 탄생하였다. 그 이듬해에 제5대 달라이라마 악왕롭상갸초로부터 제4대 뻰첸라마 롭상최곈의 환생자로 인정을 받아 제5대 뻰첸라마가 되었다. 8세가 되던 해 악왕롭상갸초로부터 사미계 등을 수지하였으며, 22세에 밀종사 꾄촉곌첸으로부터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1670년부터 열반에 든 1737년까지 68년간 따시훈뽀 대사원을 수호하였다. 상수제자로 제6대 달라이라마 창양갸초와 제7대 달라이라마 롭상껠상갸초를 비롯한 수많은 제자들이 있었다. 선설善說의 저술로는 『보리도차제 마르티 지름길』과 자서전 등 목판본 경서 4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