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42.55
SKU
978895746539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2/26
Pages/Weight/Size 162*232*40mm
ISBN 9788957465394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불교의 사회화, 불교의 사회참여는 한국 불교계의 오랜 화두이자 뜨거운 감자이다. 특히 근현대 격동의 한반도 상황에서 불교계가 취해온 여러 행태들은 안팎에서 논쟁과 비판의 대상이 되곤 하였다. 이 책은 40여 년 동안 학문의 길을 걸으며 ‘불교의 사회화’를 화두 삼아 참구한 결실을 한데 모아 엮은 것으로, 현대 사회에서 ‘불교의 사회참여’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여 한국 불교학의 ‘불교사회교리’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 5

제1장 불교의 사회화를 위한 이론적 정초 15
I. 초기불교 연기상의설 재검토 / 17
1. 연기설의 일반적 해석 / 20
2. 연기상의설의 재검토 / 29
3. 연기설의 재해석 / 41
II. 업설을 통해 본 불교의 역사정신 / 47
1. 역사발전의 근본원인에 대한 제학설 / 49
2. 불교의 업설 / 54
III. 불교 업설에서의 동기론과 결과론 / 65
1. 윤리학에서의 동기론과 결과론 / 67
2. 업설에서의 동기론 / 결과론 문제 / 76
IV. 불교 업보윤회설의 의의와 해석 / 96
1. 업설과 윤회설의 기본 의의 / 98
2. 불교 공업설의 사회적 의의 / 103
3. 인과응보의 심리적 해석 / 107
4. 윤회설의 의의 / 109

제2장 대승불교에 관한 소고 115
I. 대승경전관 정립을 위한 시론 / 117
1. 대승경전의 성립과 그 배경 / 119
2. 대승 불설 / 비불설론의 대두와 전개 / 132
3. 대승 불설 / 비불설론의 내용 검토 / 143
II. 대승 『열반경』에 나타난 일천제 성불론 / 165
1. 일천제 사상의 대두와 개념 / 167
2. 일천제의 불성 유무론 / 174
3. 일천제의 성불론 / 188
III. 빨리어 경전과 대승경전의 사상적 차이 / 204
1.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갈등과 대립 / 205
2. 『숫따니빠따』와 『법화경』의 비교 / 206
3. 빨리어 경전과 대승경전의 사상적 차이 / 228

제3장 재가자의 위상과 수행의 지향 235
I. 재가자는 출가자에 비해 하열한가 / 237
1. 출가와 재가의 이원구조 / 238
2. 재가자의 수행 경지 / 240
3. 불교의 평등사상과 성위 / 243
4. 유마거사와 승만부인 / 245
II. 전륜성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248
1. 전륜성왕 사상의 기원 문제 / 250
2. 32상과 7보의 의미 / 263
3. 전륜성왕의 Dharma정치와 국방의 문제 / 283
4. 전륜성왕과 불타의 비교 / 291
III. 『대지도론』에 나타난 대승의 염불과 선 / 299
1. 『대지도론』의 성립과 의의 / 301
2. 『대지도론』의 염불사상 / 304
3. 『대지도론』의 선사상 / 312
IV. 육조혜능의 선사상과 청화의 실상염불선 / 326
1. 육조혜능의 선사상 / 328
2. 청화의 실상염불선 / 341

제4장 불교에서 본 문화의 진보 361
I. 문화의 진보에 대한 불교적 관점 / 363
1. 불교의 문화관 / 365
2. 불교적 관점에서 본 진보 / 368
3. 불교적 대안으로서의 열반 문화 / 376
II. 불교적 관점에서 본 소비대중문화 / 387
1. 소비대중문화의 개념과 배경 / 389
2. 불교에서 본 소비대중문화 / 393
3. 새 문화를 향한 몇 가지 제언 / 409
III. 인도불교 계율에 있어서의 노동문제 / 413
1. 노동에 대한 계율의 입장 / 414
2. 노동에 대한 불교의 입장 / 425
3. 불교적 노동관 정립을 위하여 / 431
IV. 태고보우의 사회적 갈등 인식 / 434
1. 태고사상으로 본 경제문제 / 435
2. 태고사상으로 본 사회적 불평등 문제 / 446

제5장 불교의 개혁과 사회참여 461
I. 빔라오 람지 암베드까르의 불교관 / 463
1. 『붓다와 그의 가르침』의 출간과 구성 / 465
2. 암베드까르의 불교관 검토 / 471
3. 암베드까르 불교관의 특징과 문제점 / 486
II. 암베드까르와 분노 그리고 불교 / 494
1. 암베드까르와 분노 / 496
2. 암베드까르와 불교 / 502
3. 분노와 불교 / 509
4. 암베드까르의 메시지 / 513
III. 퇴옹 성철의 현실참여 문제 / 516
1. 퇴옹의 불교관 / 517
2. 퇴옹의 현실참여 문제 / 522
IV. 휴암의 한국불교 개혁론 / 533
1. 휴암의 생애와 사상 / 534
2. 휴암 개혁론의 배경 / 536
3. 휴암 불교개혁론의 내용 / 539
4. 휴암의 개혁론 평가 / 552
V. 문수 / 정원의 소신공양 고찰 / 555
1. 두 스님의 행장 / 555
2. 소신공양의 경전적 근거와 역사적 실례 / 561
3. 소신공양의 의미와 평가 / 569
4. 불교의 사회적 실천 / 576

제6장 전법과 교화 581
I. 전법교화학 정립의 방향과 과제 / 583
1. 전법교화학 명칭의 문제 / 585
2. 전법교화학 정립의 필요성 / 587
3. 전법교화학의 연구분야 / 590
4. 전법교화의 선결 과제 / 598
II. 현대사회와 불교의 효사상 / 602
1. 효윤리 붕괴의 사회적 배경 / 604
2. 불교의 근본 교의와 윤리 / 608
3. 효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 / 612
4. 불교 효사상의 현대적 실천 / 618
III. 불교적 가족개념과 가족포교 / 624
1. 한국불교의 현주소 / 624
2. 현대 가족의 변화와 위기 / 626
3. 초기경전의 가족개념과 가족윤리 / 630
4. 출가와 효 / 637
IV. ‘풍경소리’ 글의 성격과 내용 분석 / 640
1. ‘풍경소리’ 참여 작가 분석 / 643
2. ‘풍경소리’의 형식과 내용 검토 / 644
3. ‘풍경소리’의 몇 가지 문제점과 발전 방향 / 660
V. 종교인 과세에 대한 불교적 관점 / 663
1. 종교인 과세 현황 / 665
2. 종교인 과세에 대한 불교적 관점 / 667
3. 종교인 과세의 필요성 / 675

제7장 불교생태학의 미래 683
I. 지속가능한 발전과 불교경제학 / 685
1. ‘지속가능한 발전’의 대두와 전개 / 687
2. 불교경전 상의 자연 인식 / 696
3. 불교사상의 관점에서 본 자연 / 703
4.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불교경제학 / 719
II. 한국의 불교생태학 연구 동향 / 729
1. 한국불교학 연구의 새로운 흐름 / 730
2. 불교생태학 연구 현황 / 732
3. 불교생태학 연구의 과제와 유의사항 / 748
III. ‘불교생태학 프로그램’의 발전적 추진방향 / 754
1. 불교생태학의 개념과 방법론 / 757
2. 추진사업의 내용 / 761
3. 사업추진 방법과 일정 / 771

참고문헌 / 777
수록 논문 출처 / 798
찾아보기 / 801
Author
박경준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장, 중앙도서관장, 평생교육원장, 에코포럼 운영위원장, 불교학연구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공직자종교차별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불교방송시청자위원회 위원, 『풍경소리』 작가, 정의평화불교연대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불교사회경제사상』, 『다비와 사리』, 『민중불교의 탐구(공저)』,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공저)』 등 다수, 역서로는 『근본불교와 대승불교』, 『원시불교사상론』, 『아시아의 참여불교』,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동남아시아의 불교 수용과 전개』, 『불교사회경제학(공역)』 가 있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장, 중앙도서관장, 평생교육원장, 에코포럼 운영위원장, 불교학연구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공직자종교차별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불교방송시청자위원회 위원, 『풍경소리』 작가, 정의평화불교연대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불교사회경제사상』, 『다비와 사리』, 『민중불교의 탐구(공저)』,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공저)』 등 다수, 역서로는 『근본불교와 대승불교』, 『원시불교사상론』, 『아시아의 참여불교』,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동남아시아의 불교 수용과 전개』, 『불교사회경제학(공역)』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