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자연주의적 해석
$31.75
SKU
978895733813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9/30
Pages/Weight/Size 152*224*28mm
ISBN 978895733813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우리 학자가 저술한 세계 수준의 연구서에 대한 갈증과 염원을 해소시켜줄 역작
엄밀한 텍스트 읽기와 입체적 서술로 완성한 독창적 비트겐슈타인 해석


해설서와 입문서, 교양서가 주류를 이루는 한국의 인문학계와 독서계는 언제쯤 우리 학자가 저술한 세계 수준의 연구서를 접할 수 있을까? 알렉상드르 마트롱(Alexandre Matheron)의 스피노자 해석, 피터 스트로슨(Peter Strawson)의 칸트 해석, 마이클 더밋(Michael Dummett)의 프레게 해석과 같은 일급 작품은 우리에게는 요원한 그림의 떡일까? 학문의 사대주의는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우리의 숙명인가? 평생 비트겐슈타인을 연구해온 이승종 교수가 사반세기에 걸쳐 준비해 내놓은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자연주의적 해석??은 이러한 갈증과 염원을 해소시켜줄 묵직한 역작이다. 엄밀한 텍스트 읽기와 입체적 서술로 완성한 이승종 교수의 독창적 해석은 이 책을 추천한 세 분의 한국철학자들이 인정하듯이 비트겐슈타인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책의 얼개

I부 자연주의

1장 자연주의와 해체주의
1. 자연주의와 해체주의 | 2.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는 어떤 전통에 반대하는가? | 3. 자연주의와 해체주의는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가? | 4. 자연사와 자연수 | 5. 일치와 불일치 | 6. 칸트로부터

2장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
1. 철학에서의 비판적 전통 | 2. 의미의 문제와 진리의 문제 | 3. 지식론의 이율배반 | 4. 비판철학의 전통 | 5. 보론 I: 김영건 교수의 비판에 대한 답론 | 6. 보론 II: 콰인의 자연주의와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 7. 보론 III: 비트겐슈타인의 현상학

3장 삶의 형식
1. 문맥 속의 삶의 형식 | 2. 기존 해석들에 대한 고찰 | 3. 자연주의적 해석 | 4. 보론: 정대현 교수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4장 종교철학
1. 유신론과 무신론 | 2. 실재론과 반실재론 | 3. 외재론과 내재론 | 4.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 5.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 6. 이율배반의 변증법 | 7. 자연주의적 종교관 | 8. 종교의 자연화

5장 토대와 자연사 논쟁
1.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랄프 샤인) | 2.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치료 철학 (하상필) | 3. 답론: 토대와 자연사 | 4. 보론: 베이커와 해커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II부 수학과 언어

6장 수학의 인류학
1. 문제의 제기 | 2. 플라톤주의 | 3. 더밋의 규약주의적 해석 | 4. 스트라우드와 수학의 인류학 | 5. 수학적 필연성과 강제력 | 6. 수학의 동적 인류학

7장 수학철학의 주제들
1. 증명 | 2. 집합 | 3. 논리주의 | 4. 수학은 문법인가? | 5. 괴델/비트겐슈타인 논쟁

8장 해석과 언어게임
1. 언어를 보는 두 관점 | 2. 해석의 불확정성 | 3. 극단적 일반화 | 4. 경험주의 비판 | 5. 언어게임 | 6. 문법 | 7. 이해의 양식 | 8. 보론: 홉킨스의 데이빗슨적 모델

III부 모순

9장 모순론
1. 모순의 물음 | 2. 전기의 모순론 | 3. 중기의 모순론 | 4. 후기의 모순론 | 5. 보론: 다시 찾은 케임브리지 1939

10장 모순과 타당성
1. 1913년 6월 15일 | 2. 비트겐슈타인 vs. 타르스키 | 3. 논리학의 방법 | 4. 타당성 증명 | 5. 상호독립성 증명 | 6. 비트겐슈타인과 타당성 | 7. The Summing Up

11장 모순 논쟁
1. 박정일 교수의 서평 논문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 요약 | 2. 답론 | 3. 비트겐슈타인의 색깔 배타성 문제에 관한 연구 (이희열) | 4. 답론 I | 5. 답론 II

IV부 토론

12장 칸트와 비트겐슈타인
1. 칸트학회에서의 토론 | 2. 비트겐슈타인은 자연주의자인가? (김영건)

13장 의미와 진리
1. 이영철 교수의 논평 ?의미와 진리, 그리고 비트겐슈타인과 데이빗슨? 요약 | 2. 답론 | 3. 분석철학회에서의 토론

14장 삶과 자연

15장 자연주의적 수학철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
주제
Author
이승종
연세대 철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고, 뉴욕주립대(버팔로) 철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어바인대 철학과 풀브라이트 방문교수와 카니시우스대 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있으며 같은 대학의 언더우드 국제대 비교문학과 문화 트랙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논리철학적 탐구』(문학과지성사, 2002,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크로스오버 하이데거-분석적 해석학을 향하여』(생각의나무, 2010, 수정증보판 동연, 2021, 연세학술상 수상작), 『동아시아 사유로부터-시공을 관통하는 철학자들의 대화』(동녘, 2018),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김영사, 2020), 뉴턴 가버(Newton Garver) 교수와 같이 쓴 Derrida and Wittgenstein(Temple University Press, 1994)과 이를 우리말로 옮긴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민음사, 1998, 수정증보판 동연, 2010)이 있으며, 연구번역서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아카넷, 2016)가 있다. 페리 논문상, 우수업적 교수상, 우수강의 교수상, 공헌 교수상, 우수연구실적 표창을 수상하였다.
연세대 철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고, 뉴욕주립대(버팔로) 철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어바인대 철학과 풀브라이트 방문교수와 카니시우스대 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있으며 같은 대학의 언더우드 국제대 비교문학과 문화 트랙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논리철학적 탐구』(문학과지성사, 2002,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크로스오버 하이데거-분석적 해석학을 향하여』(생각의나무, 2010, 수정증보판 동연, 2021, 연세학술상 수상작), 『동아시아 사유로부터-시공을 관통하는 철학자들의 대화』(동녘, 2018),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김영사, 2020), 뉴턴 가버(Newton Garver) 교수와 같이 쓴 Derrida and Wittgenstein(Temple University Press, 1994)과 이를 우리말로 옮긴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민음사, 1998, 수정증보판 동연, 2010)이 있으며, 연구번역서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아카넷, 2016)가 있다. 페리 논문상, 우수업적 교수상, 우수강의 교수상, 공헌 교수상, 우수연구실적 표창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