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은 “의지와 열정과 생각의 완벽한 공감”
우정과 행복한 삶의 관계를 탐구한 일상의 철학
이 작품은 로마 귀족들의 상식을 기반으로 우정을 칭송하고 우정과 행복한 삶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화편이다. 작중 화자인 현자 라일리우스는 스키피오를 회상하며 두 사위 판니우스와 스카이볼라에게 우정의 본질과 계율을 일러준다. 라일리우스의 세 강연은 우정에 대한 일반의 견해들을 검토하고, 우정이 어떻게 생겨나는가를 설명하며, 어떻게 우정을 지켜갈 수 있는지 조언하는 순으로 이어진다. 키케로는 스키피오와 라일리우스의 우정을 기리는 형식으로 집필된 이 작품을 평생지기인 아티쿠스에게 헌정했다.
인류 역사상 서너 쌍이 되지 않은 우정의 쌍이 있었다고 전제하는 키케로에게 라일리우스와 스키피오는 진정한 우정의 대표적 사례이다. 라일리우스 집안은 선친 때부터 스키피오 집안과 인연이 깊었고, 라일리우스는 당시 집정관이던 소(少)스키피오와 함께 제3차 카르타고 전쟁에 참여했으며, 이 둘은 로마의 농지 개혁에도 입장을 공유했다. 기원전 2세기 ‘희랍 문화 수용’의 구심점이던 ‘스키피오 동아리’도 스키피오와 라일리우스의 활동 시기와 때를 같이한다. 키케로는 선한 사람들에게만 가능하다는 단서를 붙여 이들의 진정한 우정을 “의지와 열정과 생각의 완벽한 공감”이라고 정의한다.
참으로 행운이나 자연이 나에게 부여한 모든 것 가운데 스키피오와의 우정과 견줄 만한 것을 나는 갖지 못했다네. 그와의 우정 가운데 국사의 의견일치를, 그와의 우정 가운데 사적인 일들의 조언을, 그와의 우정 가운데 즐거움 가득한 유식을 나는 누렸다네. 내가 기억하는 한 그는 결코 한 번도, 어떤 사소한 일로도 나와 충돌하지 않았고, 그로부터 나는 듣지 말았어야 한다고 생각할 어떤 말도 듣지 못하였네. (103절, 101쪽)
Contents
‘정암고전총서’를 펴내며
‘정암고전총서 키케로 전집’을 펴내며
작품 내용 구분
일러두기
본문
부록: 크세노폰의 『소크라테스 회상』 Ⅱ, 4~65
작품 안내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
개념
옮긴이의 말
Author
키케로,김남우
고대 로마 최고의 연설가이자 철학자, 문필가. 키케로는 공화국 말기에 독재자 카이사르에 대항하여 공화정을 끝까지 지키려 했던 인물로서 이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핍박을 받았으며 딸의 죽음과 아내와의 이혼 등 많은 불행을 겪었다. 그러나 키케로는 희랍 철학들이 로마에 수용되고, 희랍의 철학적 용어들이 라티움 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투스쿨룸 대화』를 비롯하여 그가 남긴 철학적 저술들, 예를 들어 『최고선악론』, 『의무론』, 『우정론』, 『노년에 관하여』, 『아카데미아 학파』 등은 오늘날 우리에게 정확하게 전해지고 있지 않은 헬레니즘 시대의 희랍 철학의 중요한 전거다.
고대 로마 최고의 연설가이자 철학자, 문필가. 키케로는 공화국 말기에 독재자 카이사르에 대항하여 공화정을 끝까지 지키려 했던 인물로서 이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핍박을 받았으며 딸의 죽음과 아내와의 이혼 등 많은 불행을 겪었다. 그러나 키케로는 희랍 철학들이 로마에 수용되고, 희랍의 철학적 용어들이 라티움 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투스쿨룸 대화』를 비롯하여 그가 남긴 철학적 저술들, 예를 들어 『최고선악론』, 『의무론』, 『우정론』, 『노년에 관하여』, 『아카데미아 학파』 등은 오늘날 우리에게 정확하게 전해지고 있지 않은 헬레니즘 시대의 희랍 철학의 중요한 전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