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데모스 윤리학

$22.68
SKU
97889573375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30
Pages/Weight/Size 127*187*30mm
ISBN 9788957337516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정암고전총서 판으로 선보이는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정점
『니코마코스 윤리학』보다 통합되고 일관된 행복관 개진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에우데모스 윤리학(ΗΘΙΚΑ ΕΥΔΗΜΕΙΑ)』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8권으로 구성된 전체 원고에서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겹치는 공유서 세 권(4~6권)은 학계의 관례에 따라 번역에서 제외하고 충실한 주석과 해설을 실었다. 이번 정암고전총서 판으로 선보이면서 역자는 2012년 처음 출간 당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번역을 넘어서 “적극적이고 일관적인 해석”을 번역에서 지향했다. 서양 고대 윤리학사에서 소크라테스와 그의 후예들이 통상적인 행복관에 ‘역설의 윤리학’으로 도전했다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상식의 윤리학’을 옹호했다. 철학적 반성을 통한 상식의 완성이라는 그의 ‘현상구제적’ 방법론은 현대의 윤리학자들에게 재조명되고 있으며, 실제로 현대 덕 윤리학의 약진은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르네상스와 맞물려 있다.

1권에서는 ‘행복(eudaimonia)’을 인간 행동의 목적이자 최고선으로 제시하며, 행복한 삶의 내용과 조건을 탐구한다. 2권에서는 행복을 덕(德, arete)에 따른 활동으로 정의한 후, 덕의 일반적 개념을 중용, 쾌락, 자발성과 비자발성, 욕망, 사고, 선택과 같은 개념들을 통해 분석한다. 나아가 영혼의 이중적 구조에 상응해서 성격의 덕과 지성의 덕이 구분된다. 이러한 덕의 일반론에 이어 3권에서는 덕에 대한 각론이 펼쳐진다. 용기, 절제, 온화함, 후함, 긍지와 호탕함과 같은 성격적 덕이 그 대상이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5~7권과 겹치는 4~6권에서는 정의(正義), 지성의 덕, 자제력 없음과 쾌락이 다루어지고, 7권에서는 친애 내지 우정(philia)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8권에서는 덕과 앎의 차이, 행운(eutychia) 그리고 덕의 이상인 ‘아름답고도 좋음(kalokagathia)’이 논구된다.
Contents
‘정암고전총서’를 펴내며
일러두기
약어

1권

1장 행복은 가장 아름답고 가장 좋으며 가장 즐거운 것
2장 행복의 내용과 조건
3장 행복에 대한 탐구 방법
4장 행복한 삶의 방식
5장 삶을 택하게 하는 가치들
6장 방법론
7장 탐구 대상: 인간적 행복
8장 가장 좋은 것

2권

1장 행복의 정의와 덕의 종류
2장 성격의 덕
3장 중용의 덕(I)
4장 지성적 덕과 성격적 덕의 구분
5장 중용의 덕(II)
6장 행동의 원리
7장 욕망과 자발적인 것
8장 자발적인 것과 비자발적인 것
9장 사유와 자발적인 것
10장 선택과 자발적인 것
11장 덕, 선택 그리고 올바른 목적

3권

1장 용기
2장 절제
3장 온화
4장 후함
5장 긍지
6장 호탕
7장 칭찬과 비난의 대상이 되는 감정들

7권

1장 친애의 본성
2장 친애의 기반: 좋음과 즐거움
3장 친애와 동등성
4장 친애와 우월성
5장 친함과 닮음
6장 자기애
7장 한마음, 선의 그리고 친애
8장 선행을 베풀고 받기
9장 친애와 정의
10장 시민적 친애
11장 친애에 관한 난제들
12장 친애와 자족성

8권

1장 덕과 앎
2장 행운
3장 아름답고도 좋음

작품 안내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국어-그리스어
그리스어-한국어
옮긴이의 말
Author
아리스토텔레스,송유레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 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위인이다. 1998년 저명한 현대 철학자들이 뽑은 “서양철학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철학자”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최고의 목적”이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북부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스타게이로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왕의 주치의였다고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릴 때 죽었다. 그가 17살 때 어머니마저 죽은 뒤 후견인인 프록세노스에 의해 아테나이에 있는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로 보내졌고, 거기에서 20년간 머물렀다.

기원전 347년에 플라톤이 죽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데메이아를 플라톤의 조카인 스페우시포스에게 맡기고, 철학의 후원자였던 소아시아 아소스의 왕 헤르메이아스에게 갔다. 거기서 그는 헤르메이아스의 조카인 피티아스와 결혼해 딸 하나를 두었다. 기원전 345년에 헤르메이아스가 페르시아인들에게 살해되자, 그는 레스보스 섬의 미틸레네로 갔고, 거기에서 수제자이자 가장 가까운 동료가 된 테오프라스토스를 만났다. 기원전 342년에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의 초청으로 나중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된 왕세자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기원전 335년에 그는 다시 아테나이로 돌아와서, 자신의 독자적인 교육기관인 리케이온을 세웠고, 이것이 소요학파의 기원이 된다. 이 시기가 그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 그가 쓴 책들과 글들 다수는 이 기간에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지성과 폭과 깊이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그가 다룬 분야들은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동물학, 식물학, 자연학, 철학사, 정치사 등으로 아주 폭이 넓었다. 그의 대표적 저서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형이상학』, 『자연학』, 『정치학』, 『범주론』, 『명제론』, 『수사학』, 『시학』 등이 있다.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아테나이에서는 반마케도니아 정서가 강해지고 그는 불경죄로 고발된다. 그렇게 해서 그는 에우보이아의 칼키스로 떠났고, 그 다음 해 6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 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위인이다. 1998년 저명한 현대 철학자들이 뽑은 “서양철학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철학자”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최고의 목적”이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북부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스타게이로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왕의 주치의였다고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릴 때 죽었다. 그가 17살 때 어머니마저 죽은 뒤 후견인인 프록세노스에 의해 아테나이에 있는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로 보내졌고, 거기에서 20년간 머물렀다.

기원전 347년에 플라톤이 죽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데메이아를 플라톤의 조카인 스페우시포스에게 맡기고, 철학의 후원자였던 소아시아 아소스의 왕 헤르메이아스에게 갔다. 거기서 그는 헤르메이아스의 조카인 피티아스와 결혼해 딸 하나를 두었다. 기원전 345년에 헤르메이아스가 페르시아인들에게 살해되자, 그는 레스보스 섬의 미틸레네로 갔고, 거기에서 수제자이자 가장 가까운 동료가 된 테오프라스토스를 만났다. 기원전 342년에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의 초청으로 나중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된 왕세자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기원전 335년에 그는 다시 아테나이로 돌아와서, 자신의 독자적인 교육기관인 리케이온을 세웠고, 이것이 소요학파의 기원이 된다. 이 시기가 그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 그가 쓴 책들과 글들 다수는 이 기간에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지성과 폭과 깊이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그가 다룬 분야들은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동물학, 식물학, 자연학, 철학사, 정치사 등으로 아주 폭이 넓었다. 그의 대표적 저서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형이상학』, 『자연학』, 『정치학』, 『범주론』, 『명제론』, 『수사학』, 『시학』 등이 있다.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아테나이에서는 반마케도니아 정서가 강해지고 그는 불경죄로 고발된다. 그렇게 해서 그는 에우보이아의 칼키스로 떠났고, 그 다음 해 6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