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라케스』는 초기 대화편의 전형으로 일컬어진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용기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두 명의 장군과 소크라테스 사이의 ‘문답’이 설전을 보여주는 듯하다가 대화가 이내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에 의해 ‘아포리아’로 끝나고, 우리에게 이 ‘용기’라는 덕을 직접 탐구할 것을 권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라케스』를 통해, 이 대화편의 표면적인 주제인 ‘용기’라는 덕에 대해 성찰하지만, 다른 한편 이 대화편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주제인 ‘자식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교육의 문제, 즉 ‘자식의 영혼의 돌봄’이 결국 ‘우리 자신의 영혼의 돌봄’에서 시작될 수밖에 없음을 깨닫게 된다.
『라케스』는 『에우튀프론』, 『카르미데스』, 『뤼시스』 등과 함께 소위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으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X는 무엇인가’라는 방식으로 개별적인 덕들에 대한 정의 시도가 이루어진다든지, 해당 주제에 관해 대화 상대자와 소크라테스가 문답을 나눈 끝에 논의가 표면상으로는 아포리아로 끝나고 대화자 모두가 자신의 무지를 깨달아 새로운 탐구를 다짐하는 모습을 보인다든지, 소위 중기 이후 출현하는 플라톤식 용어들이 아직 나타나지 않는다든지 하는 이유들 때문이다.
『라케스』는 이러한 특징 말고도 재미있는 읽을거리들이 많다. 짧은 대화편이지만 우리에게 철학적 논변의 구조와 타당성, 드라마적 박진감, 해당 주제에 대한 다른 대화편들과의 비교 및 검토 등 넘치는 생각거리들을 제공한다.
Contents
‘정암고전총서’를 펴내며 5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새롭게 펴내며 9
작품 내용 구분 14
등장인물 16
일러두기 20
본문 23
주석 81
작품 안내 111
참고문헌 142
찾아보기
한국어-그리스어 149
그리스어-한국어 158
고유명사 165
옮긴이의 말 167
Author
플라톤,한경자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