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그림과 이야기로 배우는 사람답게 사는 법
$22.68
SKU
978895733649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18
Pages/Weight/Size 152*214*20mm
ISBN 9788957336496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근대 이전 한국사회의 ‘사람다운 도리’, 삼강오륜

『오륜행실도』는 중국과 한국의 역대 문헌에서 오륜(五倫)의 행실(行實)이 뛰어난 인물을 가려 뽑아 해당 인물의 사적(事蹟)을 서술하고 시(詩)와 찬(贊)을 붙여 편찬한 조선후기의 교화서다. 풍속의 정화를 목적으로 편찬한 『오륜행실도』에는 정치는 조정에서 하고 풍속은 민간에서 만들어진다고 여긴 국왕 정조의 의지가 크게 반영되어 있다. 본 편역서는 규장각본 『오륜행실도』를 저본으로 일반 독자들이 손쉽게 접근하여 오륜의 내용과 스토리에 주목하도록 했다.

역해자에 따르면 국어학 연구자들이 중심이 된 기존의 번역서들은 표기법이나 언어형태 등을 밝히는 데 집중되어 있어 일반 독자들이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현대어 번역 또한 언해본을 토대로 한 것이어서 언해본의 틀린 해석을 그대로 쓴 경우도 있고, 언해본에 노정된 오역 부분과 한문 원전과 어긋난 부분을 그대로 따른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주석 또한 국어학과 관련된 것이어서 인문학적 요구를 가진 일반 독자들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점들을 보완하는 의미에서 본 편역서는 오륜 각 편의 내용을 소개하는 데 비중을 두었다.
Contents
해제 - 가족윤리를 통해 사회윤리를 확보하는 다섯 가지 인간관계

1부 효자도

01. 자로가 쌀을 지고 오다
02. 설포가 부모 집을 청소하다
03. 조아가 아버지의 시신을 찾다
04. 정란이 어버이를 나무에 새기다
05. 동영이 돈을 꾸어 아버지 장사를 치르다
06. 왕부가 부모를 생각나게 하는 시를 폐하다
07. 왕상이 얼음을 깨어 잉어를 건지다
08. 반종이 아버지를 구하다
09. 검루가 아버지의 똥을 맛보다
10. 길분이 아버지를 대신하여 죄를 청하다
11. 왕숭이 우박을 그치게 하다
12. 노조가 어머니께 순종하다
13. 서적이 극진한 효를 행하다
14. 왕천이 아버지의 수명을 보태다
15. 누백이 호랑이를 사로잡다
16. 자강이 여묘살이를 하다
17. 은보가 까마귀를 감동시키다

2부 충신도

01. 용방이 죽음을 무릅쓰고 간언하다
02. 난성이 싸우다가 죽다
03. 왕촉이 목을 끊어 죽다
04. 기신이 초나라를 속이다
05. 소무가 부절을 놓지 않다
06. 변호의 집안이 충효로 이름나다
07. 수실이 홀을 빼앗다
08. 악비가 등에 글자를 새기다
09. 문천상이 뜻을 굽히지 않다
10. 사방득이 곡기를 끊다
11. 보안이 충절을 온전히 하다
12. 박제상이 충렬을 보이다
13. 비녕자가 적진으로 돌진하다
14. 정추와 이존오가 상소하다
15. 정몽주가 죽임을 당하다
16. 길재가 절조로 항거하다
17. 김원계가 적진으로 뛰어들다

3부 열녀도

01. 백희가 화재를 맞다
02. 여종이 예를 알다
03. 기량식의 처가 남편을 곡하다
04. 송나라 여자가 개가를 거부하다
05. 고행이 코를 베다
06. 절녀가 남편 대신 죽다
07. 목강이 전처 자식들을 돌보다
08. 정의가 목을 찔러 죽다
09. 원강이 남편 대신 형을 받다
10. 영녀가 귀를 자르다
11. 숙영이 머리칼을 자르다
12. 이씨가 남편의 유해를 지고 돌아오다
13. 이씨가 감옥에서 목을 매다
14. 취가가 남편 대신 삶아 먹히다
15. 영씨의 딸이 절개를 지키다
16. 도미의 아내가 함께 달아나다
17. 김씨가 몽둥이로 호랑이를 쫓다

4부 형제도

01. 이복형제 급과 수가 함께 죽다
02. 허무가 스스로 욕을 먹다
03. 정균이 형에게 간하다
04. 조효가 삶기기를 청하다
05. 이충이 아내를 내쫓다
06. 강굉 형제가 같은 이불을 덮다
07. 왕람이 다투어 독약을 마시려 하다
08. 유곤이 병든 형을 살려내다
09. 왕밀이 아우 대신 아들을 희생시키다
10. 광진이 문서를 돌려보내다
11. 두연이 형을 돌보다
12. 군량이 처를 쫓아내다
13. 공예가 참을 인(忍)자를 쓰다
14. 범중엄이 종족 공동의 농장을 경영하다
15. 문사의 집안 10대가 동거하다
16. 장윤의 종족이 한솥밥을 먹다

5부 붕우도

1. 범식과 장소가 죽음을 함께하다
2. 오보안과 곽중상이 서로 은혜를 갚다
3. 이면이 금을 돌려주다
4. 서회가 신의를 저버리지 않다
5. 한억과 이약곡이 번갈아 종노릇하다
6. 순인이 보리를 배에 싣다
7. 후가가 벗에게 의원을 구해주다
8. 원정이 주희와 마주 앉아 토론하다
Author
정조,이숙인
조선 제22대 왕으로 1776년부터 1800년까지 재위했다. 대표적인 개혁군주로 규장각을 설치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사회 안정과 경제 발전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탕평책을 실시하여 당색에 구애받지 않고 인물과 실력 중심의 관리를 등용하는 등 대통합정책을 펼쳤다. 이런 사회적인 분위기는 문화를 크게 꽃피웠고, 조선 후기의 황금시대로 이어질 수 있었다.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는 정조가 신하와 유생들에게 국가의 정책과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와 대책을 주문한 시대의 기록으로, 그의 문집인 『홍재전서』에 실려 있다.
조선 제22대 왕으로 1776년부터 1800년까지 재위했다. 대표적인 개혁군주로 규장각을 설치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사회 안정과 경제 발전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탕평책을 실시하여 당색에 구애받지 않고 인물과 실력 중심의 관리를 등용하는 등 대통합정책을 펼쳤다. 이런 사회적인 분위기는 문화를 크게 꽃피웠고, 조선 후기의 황금시대로 이어질 수 있었다.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는 정조가 신하와 유생들에게 국가의 정책과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와 대책을 주문한 시대의 기록으로, 그의 문집인 『홍재전서』에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