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평화를 달성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을 유엔 안보리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책이다. 국제사회의 평화 정착 노력은 분쟁 중재·예방에서부터 평화 유지, 군축, 반(反)테러리즘, 민간인 보호 등을 망라한다. 1장에서는 유엔의 평화정책을 관련 기구와 정책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2장에서는 1990년부터 2012년까지 채택된 안보리 결의 분석을 통해 유엔의 평화정책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주요 결의 40여 편을 번역·설명하고 있다. 책은 오늘날 국제분쟁의 양상을 이해하고 국제 평화정책에 관심 있는 학생,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교과서이다.
Contents
간행사
서문
제1장 유엔의 평화정책: 기구와 활동
1. 기구
1) 안전보장이사회 2) 안보리 부속기구 3) 안보리 자문기구
2. 활동
1) 중재·예방 2) 평화유지활동 3) 평화 구축 4) 군축
5) 반테러주의 6) 아동과 무장갈등 7) 여성과 평화·안보 8) 조직범죄
제2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분석(1990~2012)
1. 1990년대: 안보 위협의 다변화와 안전보장이사회의 응전
1) 1990년: 걸프전 발발과 캄보디아 내전 종식
2) 1991년: 냉전 해체의 명암
3) 1992년: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과 유고 사태의 충격
4) 1993년: 민간인 학살과 한반도 핵위기
5) 1994년: 평화유지활동과 예멘 내전
6) 1995년: 르완다 사태와 유고 사태의 악화
7) 1996년: 발칸의 불안정과 평화
8) 1997년: 지역분쟁의 지속과 알바니아 사태
9) 1998년: 핵확산과 연쇄 테러의 충격
10) 1999년: 동티모르 독립과 민간인 희생
2. 2000년대: 반테러리즘의 부상과 지역분쟁의 이동
1) 2000년: 반인도적 범죄 처벌과 여성
2) 2001년: 9·11 테러와 반테러 전쟁
3) 2002년: 국제 평화를 위협하는 테러
4) 2003년: 본격적인 반테러 전쟁
5) 2004년: 아프리카 분쟁과 반테러리즘
6) 2005년: 지역 안보와 평화 구축
7) 2006년: 분쟁 중 민간인 보호와 제재
8) 2007년: 다르푸르 사태에 대한 공동 책임
9) 2008년: 여성과 평화, 반테러리즘 활동의 제도화
10) 2009년: 아프리카의 평화와 핵 비확산
11) 2010년: 평화구축위원회와 여성
12) 2011년: 국민보호책임과 리비아 사태
13) 2012년: 북핵문제의 악화와 다르푸르 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