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평화인문학’ 연구사업은 한국사회에 필요한 미래비전을 담고 있다. 평화를 종합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다학제적, 융합적 연구 프로젝트인 이 사업은 ‘한반도발 평화학’ 연구의 시발점을 표방하고 있다.
서보혁 HK연구교수가 엮고 쓴 이 책은 냉전시기 유럽에서 동서 양진영이 각자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상대방의 이익을 수용해야 하는 상호주의를 보여주는 현대 세계사의 협력안보의 전범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자안보협력이란 무엇인가? 왜 유럽에서 다자안보협력이 발전했는가? 유럽안보협력회의(CSCE)는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다시 말해 헬싱키 프로세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헬싱키 프로세스가 아시아에 가능한지, 그 필요성은 무엇인지 하는 질문과 맞닿아 있다.
그렇다면 유럽의 현대 국제관계사는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안보협력에 어떤 의미를 주는가? 이런 질문 앞에서 편저자는 헬싱키 프로세스를 통시적으로 정리하고 나서(1장), 헬싱키 프로세스에서 중시되는 10개 주요 합의 문서를 해제하고 그 원문을 제시하면서(2장) 그 의미와 시사점을 생각할 기회를 주고 있다.
Contents
서문
제1장 헬싱키 프로세스-유럽안보협력의 형성과 발전
제2장 헬싱키 프로세스 10대 문헌
1. 헬싱키 협의회 최종 권고(1973년)
2. 유럽안보협력회의 최종 의정서(1975년)
3. 베오그라드 최종 문서(1978년)
4. 마드리드 최종 문서(1983년)
5. 스톡홀름회의 문서(1986년)
6. 비엔나 최종 문서(1989년)
7. 새로운 유럽을 위한 파리 헌장(1990년)
8. 신뢰안보구축방안 협상에 관한 비엔나 문서 1992(1992년)
9. 헬싱키 문서 1992: 변화에 대한 도전(1992년)
10. 부다페스트 문서 1994 : 새 시대 진정한 동반자 관계를 향하여(1994년)
부록- 헬싱키 프로세스 일지
Author
서보혁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과 미국의 관계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이화여대와 서울대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였고,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며, 북한연구학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근래 저서로 『한국 평화학의 탐구』(2019),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2020, 공편),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2021, 공저), 『평화개념 연구』(2022, 공편) 등이 있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과 미국의 관계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이화여대와 서울대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였고,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며, 북한연구학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근래 저서로 『한국 평화학의 탐구』(2019),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2020, 공편),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2021, 공저), 『평화개념 연구』(2022, 공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