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서론
1.1 말소리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을까?
1.2 두 얼굴을 가진 말소리
1.3 이 책의 구성
제2장 말소리의 생성
2.1 말소리를 만드는 기관 : 발음 기관 개관
2.2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2.2.1 발동 과정
2.2.2 발성 과정
2.2.3 조음 과정
제3장 우리말 듣고 적기
3.1 낯설게 듣기
3.2 말소리 듣고 적기
3.3 말소리를 적는 기호
3.4 국제 음성 기호(IPA) 이해하기
3.4.1 자음(폐에 의한 발동, consonants(pulmonic))
3.4.2 자음(폐 이외의 발동, consonants(non-pulmonic))
3.4.3 모음(vowels)
3.4.4 여타 기호(other symbols)
3.4.5 초분절음, 성조와 단어 악센트(suprasegmentals, tones and accents)
3.4.6 구별기호(diacritics)
제4장 우리말 음소의 설정과 분류
4.1 음소란 무엇일까?
4.2 음소 설정 방법
4.2.1 소리가 바뀔 때 뜻이 바뀌는가? : 최소대립 대 자유변이
4.2.2 소리의 분포를 확인해 보자 : 상보 분포
4.2.3 음성적 유사성을 찾아보자
4.2.4 체계를 살피자 : 동형성
4.3 우리말 음소의 분류
4.3.1 우리말의 자음 체계
4.3.2 우리말의 단모음 체계
4.3.3 우리말의 활음과 이중모음 체계
4.4 음소와 이음
제5장 음운 자질
5.1 말소리의 이름과 특징
5.2 말소리의 특징과 분류
5.3 음운 자질을 선정하는 기준
5.3.1 음운론적 행동을 같이 하는가?
5.3.2 음성적 특징으로 기술될 수 있는가?
5.3.3 최소의 자질로 최대의 효과를 보자 : 경제성
5.4 우리말을 위한 음운 자질
5.4.1 주요 부류 자질
5.4.2 자음의 분류를 위한 자질
5.4.2.2 조음 위치와 관련된 자질
5.4.2.3 발성 유형과 관련된 자질
5.4.3 모음의 분류를 위한 자질
5.5 자질 종합
제6장 우리말의 운율 단위
6.1 발화에서 운율의 기능
6.2 우리말의 운율 단위
6.3 음절
6.3.1 음절 구조
6.3.2 우리말의 음절 유형
6.3.3 우리말의 음절 만들기
6.3.4 음절과 음운 규칙
6.4 음운단어
6.5 강세구
6.6 억양구
제7장 말소리의 변화와 그 기술 방법
7.1 말소리의 변화
7.2 음운 규칙의 성격
7.3 기저형과 기저형 설정 방법
7.3.1 기저형이란?
7.3.2 기저형 설정 방법
7.4 규칙의 기술 방법
제8장 음운 변화(Ⅰ) : 대치
8.1 평폐쇄음화
8.2 비음화
8.2.1 장애음의 비음화
8.2.2 설측음의 비음화
8.2.3 설측음 앞 평폐쇄음의 비음화 과정
8.3 설측음화
8.3.1 설측음화① : /ㄹ/와 /ㄴ/의 연쇄
8.3.2 설측음화② : /ㄴ/와 /ㄹ/의 연쇄
8.4 양순음화
8.5 연구개음화
8.6 경음화
8.6.1 장애음 뒤 경음화
8.6.2 어간말 비음 뒤 경음화
8.6.3 관형형 어미{-을} 뒤 경음화
8.6.4 한자어 경음화
8.7 구개음화
제9장 음운 변화(Ⅱ) : 탈락, 축약, 첨가
9.1 탈락
9.1.1 자음군 단순화
9.1.2 동일 조음 위치 장애음 탈락
9.1.3 /ㅎ/탈락
9.1.4 /ㄴ/탈락
9.1.5 /ㅡ/탈락
9.1.6 /ㅏ, ㅓ/탈락
9.1.7 /j/탈락
9.2 축약
9.2.1 격음화
9.2.2 활음화(음절 축약)
9.3 첨가
9.3.1 /ㄷ/첨가
9.3.2 /ㄴ/첨가
9.4 규칙 종합
제10장 우리말 소리의 제약
10.1 표면 음성 제약
10.2 음절 구조 제약
10.3 음소 결합 제약
10.3.1 활음과 단모음의 결합 제약
10.3.2 자음과 모음의 결합 제약
10.3.3 모음과 자음의 결합 제약
10.4 형태소 구조 제약
10.5 형태 결합 제약
10.6 제약 종합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한대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