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명리학 : 원리편

$19.44
SKU
978895717516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03
Pages/Weight/Size 172*225*30mm
ISBN 9788957175163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명리학(일명 사주학)은 우주변화원리를 인간의 삶에 접목시켜 인간의 생로 병사와 희로애락의 변화양상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현대 명리학의 대부분은 복잡하고 다양한 중국의 고전명리이론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절대적이었던 과거의 고전물리학이 현대에 와서 양자물리학에 의해 재해석되듯이 고전명리 또한 우주원리를 적용시켜 현대명리로 재해석되어야 할 때에 이르렀다.
사주는 타고난 천지기운을 단순하게 여덟 글자로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리의 완전한 해석에 이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것은 그만큼 명리이론이나 해석이 어렵고 난해하기 때문에 논리적 접근이 어렵다는 뜻이기도 한다. 명리원리가 분명하고 논리가 정연하다면 사주 해석 또한 그만큼 명료하고 쉬워야한다. 그러나 작금의 명리는 난해한 고전 이론의 답습과 감정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무리 배워도 명리학의 진수를 꿰뚫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명확한 우주변환원리를 인간의 삶에 접목시켜 해석하는 명리논리의 부재를 의미한다.
『천부명리학』은 과거의 명리해석에 대한 논리부재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전혀 새로운 차원의 사주명리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 면에서 천부 명리학은 명리를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방식 면에서 고전명리와는 맥을 달리 한다. 본 서의 핵심은 춘하추동의 사시변화에 의해서 사람의 생각, 뜻, 의지, 이상, 행위가 확연하게 반응하고 절대적으로 움직인다는 논리를 근간으로 삼고 있다. 천도는 지상에 계절을 만들어 내고 사람은 누구나 그 계절의 영향 속에서 살아간다. 즉 사람은 춘·하·추·동의 변화 속에서, 타고난 천부적 기질이 발현되기도 하고 잠식되기도 한다. 이러한 논리를 근거로 해서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간단명료한 명리이론을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Contents
제01장 천부명리 원리
01. 동양우주론
1.1 하도
1.2 낙서

02. 음양론
2.1 음양의 세계
2.2 음양의 운동성
2.3 음양의 분류
2.4 사상의 탄생

03. 오행론
3.1 오행의 발현
3.2 오행의 작용 및 특성
3.3 오행의 상생작용과 상극작용
3.4 오행의 삼오분기
3.5 음양오행과 사주팔자

04. 천간론
4.1 천간
4.2 천간의 특성과 작용
4.3 천간의 상생작용과 상극작용
4.4 천간의 합
4.5 천간의 충

05. 지지론
5.1 계절의 생성
5.2 지지의 특성
5.3 지지의 오행기운 생성
5.4 지지의 일반적 특성
5.5 천수상 지수형
5.6 지지글자의 동일성
5.7 지지의 괘상 및 특성
5.8 12지지의 순행운동
5.9 지지의 합
5.10 년지의 3합 오행운동
5.11 지지의 상충
5.12 육기론

06. 지지의 형, 파, 해, 원진
6.1 형
6.2 파
6.3 해
6.4 원진

07. 지장간
7.1 지장간의 내용
7.2 지장간의 구성

08. 12운성
8.1 12운성 해설
8.2 양간과 음간의 12운성
8.3 12운성의 운기
8.4 천간오행의 12운성 운기
8.5 생왕묘 글자의 작용
8.6 건록의 작용
8.7 지지의 12운성 작용

09. 12신살
9.1 12신살의 적용방법
9.2 12신살의 작용

10. 귀인 및 신살
10.1 천을귀인
10.2 월덕귀인
10.3 문창귀인
10.4 백호대살
10.5 괴강살
10.6 양인살
10.7 귀문관살
10.8 격각살(상문/조객)

11. 공망론
11.1 순중공망
11.2 록공망
11.3 공망의 작용

12. 근묘화실론
12.1 근묘화실의 내용
12.2 오행의 근묘화실 작용
12.3 12운성의 근묘화실 작용

13. 육십갑자
13.1 육십갑자의 이해
13.2 육십갑자 해설


제02장 십신론(육친론)


01. 사주의 주체와 객체

02. 십신의 이해
2.1 오행의 상생, 상극관계
2.2 십신의 상생, 상극관계
2.3 십신의 분류
2.4 십신의 도출
2.5 십신도출의 예

03. 일간 음양에 따른 십신도출
3.1 양일간의 십신도출
3.2 음일간의 십신도출

04. 십신의 작용과 특성
4.1 비겁작용
4.2 식상작용
4.3 재성작용
4.4 관성작용
4.5 인성작용

05. 십신의 오행작용

06. 십신의 12운성 작용

07. 십신의 세력에 따른 특성

08. 사주구조에 따른 육친활동
8.1 상생구조에 따른 활동성
8.2 상극구조에 따른 활동성

09. 육친의 작용
9.1 육친의 표출
9.2 육친의 애정심리

10. 해당육친의 작용
10.1 문서작용
10.2 직장활동
10.3 재물활동
10.4 식상활동
Author
김용혁
공학박사이다.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과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명예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명리담원 원장이다. 저서로는 『꿈에서 깨어나는 길』, 『행복에 물주기』(내하출판사), 『현자에게 길을 묻다』(내하출판사), 『천부명리학(원리편)』, 『천부명리학(해석편)』이 있다.
공학박사이다.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과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명예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명리담원 원장이다. 저서로는 『꿈에서 깨어나는 길』, 『행복에 물주기』(내하출판사), 『현자에게 길을 묻다』(내하출판사), 『천부명리학(원리편)』, 『천부명리학(해석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