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일명 사주학)은 우주변화원리를 인간의 삶에 접목시켜 인간의 생로 병사와 희로애락의 변화양상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현대 명리학의 대부분은 복잡하고 다양한 중국의 고전명리이론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절대적이었던 과거의 고전물리학이 현대에 와서 양자물리학에 의해 재해석되듯이 고전명리 또한 우주원리를 적용시켜 현대명리로 재해석되어야 할 때에 이르렀다.
사주는 타고난 천지기운을 단순하게 여덟 글자로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리의 완전한 해석에 이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것은 그만큼 명리이론이나 해석이 어렵고 난해하기 때문에 논리적 접근이 어렵다는 뜻이기도 한다. 명리원리가 분명하고 논리가 정연하다면 사주 해석 또한 그만큼 명료하고 쉬워야한다. 그러나 작금의 명리는 난해한 고전 이론의 답습과 감정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무리 배워도 명리학의 진수를 꿰뚫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명확한 우주변환원리를 인간의 삶에 접목시켜 해석하는 명리논리의 부재를 의미한다.
『천부명리학』은 과거의 명리해석에 대한 논리부재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전혀 새로운 차원의 사주명리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 면에서 천부 명리학은 명리를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방식 면에서 고전명리와는 맥을 달리 한다. 본 서의 핵심은 춘하추동의 사시변화에 의해서 사람의 생각, 뜻, 의지, 이상, 행위가 확연하게 반응하고 절대적으로 움직인다는 논리를 근간으로 삼고 있다. 천도는 지상에 계절을 만들어 내고 사람은 누구나 그 계절의 영향 속에서 살아간다. 즉 사람은 춘·하·추·동의 변화 속에서, 타고난 천부적 기질이 발현되기도 하고 잠식되기도 한다. 이러한 논리를 근거로 해서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간단명료한 명리이론을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Contents
제01장 천부명리 원리
01. 동양우주론
1.1 하도
1.2 낙서
02. 음양론
2.1 음양의 세계
2.2 음양의 운동성
2.3 음양의 분류
2.4 사상의 탄생
03. 오행론
3.1 오행의 발현
3.2 오행의 작용 및 특성
3.3 오행의 상생작용과 상극작용
3.4 오행의 삼오분기
3.5 음양오행과 사주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