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서과관리 관련 기존 연구 검토[이정희]
제1절 성과관리란 무엇인가?
1. 성과관리에의 접근방법
제2절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성과관리
1. 자활사업과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비교
2. 희망리본(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성과지표
제3절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 성과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1. 선행연구의 검토
2. 선행연구의 한계와 자활사업의 성과평가 방향
제3장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 현황 및 문제점 [김도한]
제1절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 제도 분석
1.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구성 요소
제2절 성과관리형 자활시범사업의 운영 성과
1. 참여자 특성
2. 주요사업 성과
3. 취 · 창업 성공자, 취 · 창업 유지자, 탈수급자의 특성 분석
제4장 외국의 자활사업과 성과관리 사례연구 [김도한]
제1절 미국 자활사업의 성과관리 현호아
1. 미국의 자활사업의 현황
2. 미국의 자활사업의 성과관리
제2절 영국 자활사업의 성과관리 현황
1. 뉴딜의 제도적 특징
2. 뉴딜 사업의 성과와 '유연뉴딜(Flexible New Deal)'사업으로 진화
3. 유연뉴딜과 성과관리
4. 유연뉴딜이 주는 시사점
제5장 성과관리형 자활사업 포괄적 성과평가 체계 개발 [신동면]
제1절 포괄적 성과지표의 구성
1. 포괄적 성과지표의 필요성
2. 포괄성 성과지표의 내용
제2절 사례관리 평가체계 개발을 위한실증조사
1. 사례관리자들의 인적 특성
2. 성과평가 기준에 대한 사례관리자들의 태도
3. 자활시범사업 성과평가에 관한 태도
4. 사례관리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4.1 제1차 서비스 만족도 평가 항목
4.2 제2차 서비스 만족도 평가 항목
4.3 제3차 서비스 만족도 평가 항목
제3절 조성성과지표의 개발: 통제불가능한 요인의 조정
1. 조정성과지표의 필요성 및 도입의 의의
2. 조정성과지표의 적용과정(미국 직업훈련법의 예시)
3. 조정성과지표의 희망리본사업의 적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