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나 정치나 교육 등 어느 분야에서나 유교를 접근할 수 있지만, 단절적이고 폐쇄된 시야에서 유교를 보면, 유기적 전체로서 유교의 살아있는 모습을 찾아낼 수 없을 것이며, 유교의 종교적 세계를 모른다면 그것은 이미 살아 숨쉬는 유교가 아닐 것이다.
제1장에서는 제사대상으로서 ‘천·상제’(天·上帝)와 ‘신·귀신’(神·鬼神)의 존재에 대한 유교적 인식을 해명하고, 제2장에서는 제사의례의 구조와 ‘신-인’(神-人)의 감응을 통한 종교적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제3장은 유교의 제사의례에서 가장 대중적 제사양상인 조상제사를 이해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유교적 생명관을 해명한 것이요, 제4장은 합리성에 근거하기 때문에 종교와 대립된다고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주자학에서도 종교적 성격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제5장은 정약용(丁若鏞)이 교(郊)제사와 사직(社稷)제사를 통해 ‘신’존재와 제사의례를 인식한 내용을 점검해본 것이고,
제6장은 근대의 유교개혁사상가인 이병헌(李炳憲)이『역경』(易經)의 금문학적(今文學的) 재해석을 통해 유교의 종교적 근거를 밝히려는 시도를 해명한 것이다. 제7장은 ‘긍정’과 ‘융화’라는 두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 유교사상이 지닌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Contents
1:천-상제天·上帝와 신-귀신神·鬼神의 존재
1. 유교에서 ‘천’(天)과 ‘신’(神) 존재의 문제
2. ‘천’(天)·‘상제’(上帝)에 대한 인식
3. ‘천-인’(天人) 관계의 인식
4. ‘신·귀신’(神·鬼神) 존재와 ‘신-인’(神人) 관계의 인식
5. ‘천’(天)·‘신’(神)의 존재와 유교의 종교적 의미
2:제사의 구조와 의미
1. 유교에서 제사의 문제
2. 제사의 의미와 제사의례의 종류
3. 제사의례의 구성과 절차
4. ‘신-인’(神人)의 감응과 제사의례의 기능
5. 제사의례의 종교적 의미
3:조상숭배의 유교적 의미
1. 문제의 성격
2. 조상숭배의 근거-유교적 생명관
3. 조상신의 존재양상-유교적 신(神)존재의 체계와 조상신의 지위
4. 조상숭배의 도덕적 의미
5. 조상숭배의 사회적 기능
6. 현재와 장래의 문제
4:주자학의 종교적 성격
1. 주자학의 종교성 문제
2. 궁극존재로서 천(天)·상제(上帝)에 대한 신앙
3. 제사의례를 통한 신(神)과 인간의 교류
4. 인격실현의 수양과 선비(士君子)
5. 도통의식과 이단(異端)비판론
6. 주자학의 종교적 성격
5:『춘추고징』春秋考徵과 정약용丁若鏞의 교郊·사社제사 인식
1. 『춘추고징』과 제사의례 해석의 과제
2. 『춘추고징』의 체제와 제사의례의 유형
3. ‘교’제사에서 ‘상제’의 인식과 ‘오방천제설’의 비판
4. ‘교’제사의 의례
5. 사(社)제사의 ‘신’(神)존재 인식과 의례
6. 정약용의 ‘교’와 ‘사’제사 해석이 지니는 의미
6:『역경금문고』易經今文考와 이병헌李炳憲의 유교개혁사상
1. 『역경』해석과 이병헌의 유교개혁론이 지닌 과제
2. 이병헌의 유교개혁사상 체계
3. 『역경』의 제작과 체계에 대한 인식
4. 『역경』의 금문학적 해석과 종교적 성격
5. 이병헌의 유교개혁사상이 지닌 의의
7:긍정과 융화-한국 유교의 사유기반
1. 수용과 재창조
2. 긍정의 세계
3. 의리의 순정성(純正性)
4. 융화의 논리
5. 이상(理想)으로서 인도(人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