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을 공부하려는 사람들 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볼 수 있도록 명리학 기초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사주학에 따라다니는 신·살(神殺) 같은 원시적인 요소는 전혀 없다. 단지, 오행의 변화에 의해서 인간의 운명을 예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취급한 것으로 사주학의 최고봉이라는 명리학을 공부하려는 후학들이 반드시 익혀야 하는 필수적인 내용만을 담았다.
Contents
제1부 오행(五行)과 명리학(命理學)
ㆍ명리학(命理學) 입문
1. 음양오행(陰陽五行)
2. 삼원(三元)
3. 오행(五行)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에 대하여
4. 오행(五行)으로 알아보는 직업
5. 오행(五行)을 의인화(擬人化)하는 방법
ㆍ사주(四柱)를 보는 방법
1. 육친(六親)을 보는 방법
2. 용신(用神) 잡는 방법
3. 용신(用神)의 취용(取用)법
4. 격(格)에 의해서 용신(用神)을 잡는 법
5. 용신(用神)의 간합(干合)
6. 만세력(萬歲曆)에 대하여
제2부 일주론(日柱論)
1. 일주(日柱)의 강(强)함과 약(弱)함에 대하여
2. 일주(日柱)의 강(强)·약(弱)을 알아보는 방법
3. 일지(日支)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