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명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신현숙, 상명대학교 대학원 외래교수 김영란의 『의미와 의미 분석』. 한국어를 연구하고 가르치면서 함께 논의한 다양한 문제를 특강 형식으로 담은 책이다. 한국어에 대한 관심 중에서도 의미와 의미 분석에 대한 이해를 높일 문제를 제시하고 그를 해결하는 방법과 과정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한국어 학습자와 교육자가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주제와 문제를 제시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Contents
1장 의미 연구
01. 언어 연구에서 의미 연구의 위상은 어떠한가?
02. 의미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3. 음성을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04. 음운을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05. 형태소를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06. 단어를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07. 통사 구조를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08. 발화 구조를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09. 담화 구조를 연구할 때 의미는 어떻게 관여하는가?
10. 의미론의 하위 분야를 정리한다면 어떤 분야가 있을까?
2장 의미와 의미 유형
01. 언어의 형식과 의미는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02. 언어 연구에서 의미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03. 공통의미와 개별의미의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4. 추상의미와 구체의미의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5. 사전의미, 문맥의미, 상황의미, 추리의미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6. 의미 유형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가?
07. 개념적 의미란 무엇인가?
08. 내포적 의미란 무엇인가?
09. 사회적 의미란 무엇인가?
10. 정서적 의미란 무엇인가?
11. 반사적 의미란 무엇인가?
12. 연어적 의미란 무엇인가?
13. 주제적 의미란 무엇인가?
14. 중심 의미와 주변 의미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15. 외연과 내포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장 의미 속성과 의미 관계
01. 어휘소 사이의 의미 관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2. 유의 관계와 동의 관계는 어떤 차이로 설명할 수 있을까?
03. 언어사용자가 유의어 목록 중에서 하나의 어휘소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4. 둘 이상의 유의어가 함께 쓰이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05. 유의어 경쟁 과정에서 우리는 어떤 원리를 발견할 수 있을까?
06. 유의어 의미 차이를 밝힐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없을까?
07. 유의어 {얼굴}과 {낯}은 어떤 공통의미와 개별의미를 지시하는가?
08. 대립 관계를 지시하는 어휘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9. 반의어 사이의 대립 관계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날까?
10. 하나의 어휘소나 단어는 하나의 반의어를 가질까?
11. 동사 {오르다}의 반의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2. 유의어와 반의어의 인지 거리는 어떤 현상으로 나타날까?
13. 상하 관계를 지시하는 어휘소 또는 단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4. 상하 관계의 유형은 무엇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을까?
15. 상하 관계를 이루는 상위어와 하위어는 어떤 함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을까?
16. 상하 관계를 지시하는 어휘소 또는 단어 사이에는 어떤 현상이 있을까?
17. 언어 형식이 결합할 때 형태와 의미는 어떻게 달라질까?
18. 결합 관계는 어떤 원리나 방법으로 새로운 언어 형식과 의미를 생성하는가?
19. 관용 관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0. 관용 표현의 생성과정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1. 연어 관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2. 연어 관계가 성립하는 어휘 사이에는 어떤 제약이 있을까?
23.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차이는 무엇인가?
24. 다의어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25. 동음이의어는 어떻게 생성되며 왜 생성되는가?
26. 중의성이란 무엇인가?
27. 중의성과 모호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28. 선택제한이란 무엇인가?
29. 잉여 자질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30. 한국어 사회와 한국어 사용자는 어떤 잉여적 표현을 사용하는가?
31. 개념화란 무엇인가?
32. 의미 변화는 어떻게 또 왜 일어나는가?
4장 어휘 분석이론
01. 한국어 의미 연구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장이론이란 무엇인가?
02. 장이론의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03. 트리어의 계열장 이론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4. 포르지히의 결합장 이론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5. 결합장 이론의 한계는 무엇인가?
06. 바이스게르바의 개념장 또는 의미장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7. 코세리우의 어휘장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8. 소쉬르의 장이론과 신훔볼트학파의 이론적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9. 발리의 연상장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0. 마토레의 장이론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1. 기라우드의 장이론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2. 의미 분석을 할 때 활용하는 성분분석 이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13. 의미 성분분석의 이론적 한계는 무엇인가?
14. 장이론과 성분분석 이론은 의미 분석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15. 한국어 색채어 어휘장을 분석할 때 어떤 의미 자질이 필요할까?
5장 어휘 분석
01. 동사 {가다/ 오다}의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02. 동사 {가다}와 {오다}는 어떤 형식과 의미를 생성하는가?
03. 방향과 관련지을 수 있는 이동 동사는?
04. 이동 과정과 관련지을 수 있는 이동 동사는?
05. {서다/ 앉다/ 눕다}의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06. {서다}는 어떤 형식과 의미를 생성하는가?
07. {앉다}는 어떤 형식과 의미를 생성하는가?
08. {눕다}는 어떤 형식과 의미를 생성하는가?
09. {웃다/ 울다}의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10. {있다/ 살다}의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11. {쉬다/ 자다/ 죽다}의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12. {자라다/ 늙다}의 의미를 분석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13. 대상을 이동하는 이동 동사의 어휘장은?
14. 결합 동사 범주와 분리 동사 범주 사이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15. {잇다/ 매다/ 묶다/ 엮다}의 공통의미와 개별의미는 무엇인가?
16. {끊다/ 풀다}의 공통의미와 개별의미는 무엇일까?
17. {받다}와 {얻다}의 공통의미와 개별의미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8. {버리다}와 {잃다}의 공통의미와 개별의미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9. 흉내 표현을 생성하는 {-거리다}, {-대다}, {-하다}, {-이다}의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20. 언어사용자는 왜 {-거리다}를 선택하여 흉내표현을 생성할까?
21. 흉내 표현을 생성하는 {-거리다}와 {-대다}의 선택제한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22. 흉내 표현을 생성하는 {-하다}의 선택제한은?
23. 흉내 표현을 생성하는 {-이다}의 선택제한은?
24. 색채어를 분석할 때 의미 자질 [색/ 정도/ 느낌]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25. 색채어를 분석할 때 의미 자질 [상태/ 긍정/ 부정]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6장 어휘장
01. 한국어에서 가족이나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02. 한국어에서 1년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03. 한국어에서 {달[月]}이나 {일[日]}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04. {일[日]}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05. 방향을 지시하는 어휘장은?
06. 방위를 지시하는 어휘장은?
07. 인간을 표현하는 어휘장은?
08. 결혼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09. 신체 기관 어휘장은?
10. 인간의 성격이나 태도와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11. 의생활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12. 음식의 맛을 표현하는 어휘장은?
13. 한국 음식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14. 한국어에서 집이나 건물을 지시하는 어휘장은?
15. {집}을 바탕으로 우리는 어떤 어휘장을 구성할 수 있을까?
16. 집의 내부구조를 지시하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17. 한국인의 언어생활을 표현하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18. 직업 관련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19. 한국어로 표현되는 동물 소리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20. 자연 현상과 관련지을 수 있는 어휘장은?
21. 교통수단을 지시하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22. 사물의 모양을 지시하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23. 사람, 동물, 식물의 수량을 셀 때 쓰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24. 사물의 수량을 셀 때 사용하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25. 한국어에서 색과 빛을 지시하는 어휘장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7장 의미와 문법
01. 문법 표지도 의미가 있을까?
02. 시간 표현에 속하는 {-은}, {-던}, {-는}, {-을}은 어떤 의미 자질로 분석할 수 있을까?
03. 관형형 어미 {-은}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자질은 무엇인가?
04. 관형형 어미 {-던}과 {-는}은 어떤 의미 자질로 분석할 수 있을까?
05. 관형형 어미 {-을}은 어떤 의미 자질로 분석할 수 있을까?
06. 의존명사 {척}과 {체}의 용법과 의미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7. 언어는 언어사용자의 주관에 의해 생성되는가, 아니면 객관적인 표현인가?
08. 한국어 대우 표현을 [거리] 개념으로 설명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09. 한국어 대우 표현을 [유동성] 개념으로 설명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10. 한국어 부정 표현의 의미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8장 문장과 담화 분석
01. 형식이 다른 문장도 같은 의미를 지시할 수 있을까?
02. 문장 구조에 의한 중의성은 언제 발생하며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까?
03. 문장의 의미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전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4. 문장의 의미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함의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5. 발화 의미와 문장 의미 해석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06. 화행 이론에서는 어디에 초점을 두고 의미 해석을 할까?
07. 언어사용자의 의도적 의미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8. 문학작품에 쓰인 시간 표현에서 우리는 어떤 특징을 인지할 수 있을까?
09. 문학작품에 쓰인 인물에서 우리는 어떤 특징을 인지할 수 있을까?
10. 문학작품? 쓰인 다양한 문장 표현을 통하여 우리는 무엇을 인지할 수 있을까?
11. 문학작품에 쓰인 인용 표현에서 우리는 어떤 특징을 인지할 수 있을까?
12. 한국어 담화 표지는 어떤 의미를 지시할까?
13. 비언어적인 표현에서 우리는 어떤 의미를 인지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