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몽골 양국 문화의 동질성과 차이점을 함께 찾으려는 역사·문화적 접근으로, 저자는 최근 동북아 정책을 국정의 핵심 과제로 삼고 있는 한국에 양국의 역사·문화를 밝히는 문화적인 교류는 과거의 정치적인 유대와 확대되고 있는 경제적인 유대를 확고히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얘기한다.
Contents
서문
총론
제1부 한·몽 역사?민속
1장 솔롱고스(고려) 국명 고찰
머리글
솔롱고스(고려)의 어원
무지개 관련 어원설
민족과 지역 관련 기원설
맺음글
2장 몽골과 고려의 변발 연구
머리글
몽골 변발의 수용과 변용과정
북방민족의 두식
석인상을 통해서 본 중세 몽골인의 변발
맺음글
3장 한·몽 혼인사
머리글
순제와 공녀 기황후의 만남
원제국 기황후의 치적
맺음글
4장 한·몽 역사문화공동체
머리글
몽골 관광 산업
한·몽 “역사테마관광지” 개발의 필요성
맺음글
5장 제주도와 몽골
머리글
제주도 지명과 방언
대마도 지명
맺음글
제2부 몽골의 일생의례
6장 몽골인의 출생의례
머리글
몽골민족의 터럭과 수염의 사회사적 의미
중앙아시아 제민족의 터럭과 수염의 사회사적 의미
맺음글